• 제목/요약/키워드: 문화기술적 주제 분석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맞벌이 자녀를 둔 할머니의 손자녀 양육 지원 양태(樣態)와 그에 따른 삶의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Childrearing by Grandmothers in Dual-Earner Families)

  • 안희란;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3호
    • /
    • pp.1-20
    • /
    • 2014
  • This study explores the grandchild-rearing experience of grandmothers whose children are part of dual-earner couples. Twelve participants provided in-depth interview data that were analysed according to Spradely's ethnographic method. We present three main themes in our research, as well as ten smaller themes: (i) the grandchild-rearing mo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ult, the child, the grandchild, and the grandmother); (ii) the mode of grandchild-rearing support (residential, total weight of childrearing support, availability of a daycare center); (iii) the change in the grandmother's way of life (positive changes and negative changes). Fi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integrity of the grandmother's identity as their productivity increases through providing grandchild-rearing support. It also looks at the importance of governmental policies that support their burdens according to the level support they provide.

현대 과학문화의 간학문적 이해에 대한 연구 - '과학기술과 사회' 교양강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Modern Science Culture - Focusing on Case Study of 'STS Course')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33-66
    • /
    • 2004
  • 오늘날 과학은 더 이상 과학지식으로 환원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고 포괄적인 과학활동으로 증대되었고, 이 활동에 관여하는 행위자들 역시 과학기술자의 좁은 범위를 넘어 연구지원체계, 언론, 교육, 기업 등 넓은 범위로 확산되었다. 따라서 과학이라고 총칭되는 이 활동은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문화인 셈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요구되는 소통은 문화로서의 과학에 대한 이해이다.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지는 과학"이다. 흔히 STS라 불리는 과학기술학은 이처럼 포괄적이고 끊임없이 변모하는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간학문적 접근방식이다. STS라고 총칭되는 학문 영역이 탄생하게 된 배경자체가 날로 사회에 대한 규정력이 높아가는 과학에 대한 이해의 시급한 필요성 때문이었다. 따라서 간학문적 접근방식인 STS의 연구성과를 과학교육을 비롯한 과학커뮤니케이션에 적용시키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지난 2002년에서 2004년까지 고려대학교의 자유교양 과목으로 개설되었던 "과학기술과 사회" 강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학문적 배경과 관심사가 다양한 학부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새롭고 낮선 과학기술적 주제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그리고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가지는지를 분석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날로 복잡해지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다양한 쟁점들을 이해하는데 간학문적 접근방식이 어떤 도움이 되는지 밝히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과학문화의 간학문적 이해라는 주제에 접근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80년대 후반이후 과학기술과 대중의 소통을 연구한 "대중의 과학이해(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의 접근방식을 중심으로 오늘날 과학지식과 이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과학기술과 사회"의 사례 분석은 발표와 토론 수업에서 수강자들이 간학문적 접근방식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에 대한 이해를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 PDF

국민기초생활보장개정법률안 공동발의에 대한 연구 : 구조적 요인에 대한 ERGM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ponsorship Network in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Legislative Revision : Focusing on the ERGM Analysis on the structrual Factors)

  • 정의룡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13-320
    • /
    • 2020
  • 네트워크 분석에 있어서 기술적인 네트워크의 속성에 대한 연구 외에도 네트워크의 형성에 대한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는 것 또한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개정안에 대한 공동발의망이 어떠한 구조적 원인에 의해 형성되는 지를 ERGM 방법으로 분석하였이다, 분석결과 해당 공동발의 네트워크는 대표발의자의 역할에 의존하는 외향성 변수, 제3자적 관계로 이어지는 이행성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표발의자와 공동발의자가 상보적인 관계를 주고받는 호혜성은 유의미하지 못했다. 이는 복지정책에 대한 우리 의회조직의 비활성화된 행태 및 '작은'복지국가로서 진행되고 있는 것과 연관됨을 시사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The Experiences of Virtual Reality-based Simulation in Nursing Students)

  • 이순희;정승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151-16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기술적 질적 연구이다. 연구는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성인간호학 I, II'를 수강하면서 가상현실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을 시행한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학생들이 익명으로 작성한 성찰일지를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주제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으며, 5개의 주제범주는 "필요한 간호역량을 깨달음", "지식이 확장됨", "심리적으로 안전함을 느낌", "문제 중심으로 사고함", "만족감을 얻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상현실 온라인 실습이 안전한 실습 환경에서 사고와 지식을 확장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가상현실 실습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정보검색분야의 지적 구조와 변화에 관한 연구 : 영어문화권 저자들을 중심으로 (Researach Patterns of Information Retrieval in Information Science: The Changing Structure Across A Decade)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5-82
    • /
    • 1992
  • 정보검색분야의 연구는 정보를 소장, 처리하는 방법 및 기술의 영향을 받아 변화할 수 있다는 가설아래 그 기술적 환경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1980년대의 정보검색분야의 지적 구조 및 지적 변화를 저자동시인용기법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영어문화권의 정보학자 22명으로 정보검색분야의 영역을 나타내었고, 다차원 축적기법과 군집분석을 통하여 이차원 공간상에 하위주제간의 관계를 표시하였다. 이차원 지도상에 나타난 저자의 군집과 저자들의 위치는 저자 저작물의 전반적인 성격과 상응하여 잘 나타났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뚜렷한 지적 재구성을 보여주었다.

  • PDF

공연예술에 있어 영상 활용을 통한 배우의 연기술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or's Dramatics Expansion using Practical use of Media in Performing Arts)

  • 어일선;한정수;진운성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9-98
    • /
    • 2019
  • 연극, 뮤지컬과 같이 무대 위에서 행해지는 공연예술은 사회적 흐름과 시대성 등을 인지하고, 이를 주제로 다양한 내용과 형식을 통해 관객들을 맞고 있다. 공연예술을 행하는 다수의 예술가들 역시도 주제적인 측면에서 시대성과 사회성을 담은 주제를 통해 이를 무대화 시키고 있다. 예술가들은 공연의 질을 높이기 위해 주제적인 측면에 있어 미학적, 철학적 완성도를 높일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이룩한 새롭고 다양한 기술, 즉 테크놀로지의 활용을 통해 주제의 부각 및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무대화를 실현하고 있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과학기술은 지대한 발전을 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대기술 역시도 계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게 되면서 공연예술의 미학적, 철학적 완성도를 높이는 데 이바지하고 있으며, 새롭고 다양한 형식을 위해 공연의 형식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와 방법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대 위의 배우들의 연기 및 정서를 증폭시켜 관객으로 하여금 하나의 체험할 수 있는 공연 예술로 그 범주를 넓힐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접어들면서 예술영역에 있어 새로운 영상 미디어를 접목하고 활용하게 되면서 예술의 범위를 점차적으로 확대되어지고 있고, 공연예술에 있어 다양한 영상기술의 활용이 배우의 연기술 확장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배우의 연기술의 활용에 있어 어떻게 진행되고자 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 공연예술에 있어 단연 화두가 되고 있는 배우의 연기예술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전망해보고 예측해보고자 한다.

디자인공학전공의 모빌리티 관련 졸업작품 주제 유형 연구 - K대학교의 최근 5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opic Types of Mobility-Related Graduation Works of Industrial Design Engineering Majors - Focusing on Cases from K-University over the Past 5 Years)

  • 김성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81-287
    • /
    • 2024
  • 일반적으로 운송기기 관련 디자인 교육은 운송 디자인에 특화 된 학과나 또는 산업디자인 전공 내 운송 세부전공의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기술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모빌리티 개념 및 모빌리티 산업 관련 생태계의 다변화가 진행중이고, 그에 따라 모빌리티 관련 디자인의 범주도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모빌리티 디자인 특화 전공은 아니지만, 디자인공학 전공에서 수행된 최근 5년간의 졸업설계주제 가운데, 모빌리티 생태계 관련 주제 선택의 추이 및 유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최근 5년간 진행된 총 131개의 졸업설계 작품 가운데 모빌리티 관련성이 높은 작품은 30여 작품이었으며, 그 유형도 매우 다양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용자 중심 및 사용자 경험 차원에서 접근한 다양한 주제들이 제안되고 작품화되었다는 점에서, 제품에서 서비스 및 시스템으로 확장되고 있는 모빌리티 생태계의 변화 및 확장이 졸업작품 주제선정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의 영상디자인 구성요소 연구 (Study of the Image Design Components of Urban Landscape Media Facade)

  • 유정선;정진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478-6483
    • /
    • 2014
  • 미디어파사드는 건물 외벽을 스크린으로 삼아 영상을 투사하는 것이다. 미디어파사드는 도시 공간에서 고도의 시장 경쟁 상황에 지쳐있는 수용자의 문화적 감성을 회복하며, 도시미학으로 발전하였다. 그래서 도시가 주제가 되기도 하고 투사 대상이 되기도 하면서 영상디자인으로 재해석 될 수 있다. 문화적인 면에서의 미디어파사드는 예술적 가능성과 공공성의 강화가 논의되고 있다. 가장 고려해야 할 부분 중의 하나는 건물 또는 투사 대상 주변과 소통되는 미디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014 광화문 미디어파사드, 2014 세종문화회관 미디어파사드, 2013 남산 미디어파사드 등의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를 비교분석 결과 모티브, 컨셉, 스토리, 투사형태 등 네 가지 영상디자인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캔버스와 극장 스크린을 박차고 나아가 새로운 기술적 장르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미디어파사드는 앞으로도 한 차원 높은 도시의 상징적 예술행위로서 메시지와 테마 그리고 기술적 진보를 담아내야 한다. 본 논문은 상징적인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영상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텍스트 마이닝과 연관 관계 분석을 이용한 건축역사 용어 분석 (Analyzing Architectural History Terminologies by Text Mining and Association Analysis)

  • 김민정;김철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443-452
    • /
    • 2017
  • 건축의 한 분야인 동시에 역사학의 한 분야이기도 한 건축역사는 건축양식의 변천을 다루기는 하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기술적 상황 등의 시대 배경을 종합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건축역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는 다양한 분야를 아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역사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과 연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여 어떤 용어가 건축역사에서 핵심적인 용어인지를 파악해보았다. 우선 국내 건축역사 분야 유일한 학술지인 "건축역사연구"를 선정하여 지금까지 게재된 논문의 제목과 주제어, 초록에 사용된 용어 중 고빈도로 출현하는 핵심 용어들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분야별 문헌들을 구분하여 핵심 용어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관 관계 분석을 통해 핵심 용어들 간에 유기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건축역사 핵심 용어의 파악은 건축역사 분야의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과 향후 방향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중소기업의 기업경영 환경을 고려한 사이버 보안 관리 (Cyber Security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th Consideration of Business Management Environment)

  • 전용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59호
    • /
    • pp.9-35
    • /
    • 2019
  • 지금까지 사이버보안에 대한 부분적인 연구는 많이 시도되었으나, 기업 내부적인 요인과 외부 요인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내부 요소 뿐 아니라 기업경영 환경을 고려한 사이버보안 관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혼합적 연구방법론을 통하여 1차 질적 분석, 2차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은 반구조적 인터뷰 방식을 통해 진행하였고 사이버보안 관리체계의 미비, 사이버보안에 대한 내부적인 비협조, 의사결정체계에 파생되는 문제점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양적 분석은 설문 조사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 중에 사이버위협에 대한 인식과 내부적인 지지가 종속변수인 사이버보안 관리체계에 (+)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의 사이버보안에 있어서는 외부적 환경 변수보다는 내부적인 변수가 사이버보안 관리체계에 인과적 영향이 있었으며, 이는 직원들의 인식 등 조직 문화와 관련되는 변수가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러한 결과는 중소기업에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높이는데 실질적인 의의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