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화교육프로그램

검색결과 1,093건 처리시간 0.032초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Patterns for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Libraries)

  • 황금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73-94
    • /
    • 2008
  • 도서관은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문화시설이며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도서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여 도서관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지향할 바와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은 현행 학교 및 사교육시장에서 수행되어져 오는 문화예술교육과는 차별화된 도서관의 본질에 충실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지향점을 두었다. 또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안은 체험-이해-소통을 중심으로 제시하였으며, 문화기반시설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도 제시하였다.

  • PDF

전통 생활 문화 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Storytelling for Traditional Living Culture Education: Focusing on Traditional Patterns and Obangsaek(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 김샛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76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 생활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안하는 것이다. 가정 교과는 전통 생활 문화를 교과 내용으로 다루고 있으며, 현대생활에 적합한 새로운 문화를 재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기존 학교에서의 전통 생활 문화 교육은 이론 교육 위주 혹은 일회성의 체험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주로 초등학생과 중학생 대상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고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해 전통 문화 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식, 한복, 한옥에 공통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전통 생활 문화 교육 주제로 선정하고, ADDE의 단계를 따라 전통 생활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과 12종 가정 교과서의 만들기 활동, 교사와 학습자의 생활 문화 교육에 대한 경험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 교육 모형 설계와 수업 주제 도출, 만들기 활동, 메이커 도구와 재료를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전통 의·식·주 생활문화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 교육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 및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추후 연구로 이 프로그램을 적용해 학생들의 전통 생활 문화에 관한 인식과 전통 생활문화의 발전과 계승 의지 등의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를 제언한다.

전북지역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분석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Jeonbuk Provincial Area)

  • 최흥식;서진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7-24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고유의 정체성에 부합하고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자료를 기반으로 한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모색해 보자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의 이론적 내용을 살펴보고, 전라북도 지자체하에서 운영하는 공공도서관과 평생학습운영기관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본래의 특성을 살린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주시립도서관산하의 5개관을 비롯한 각 시단위의 공공도서관 10개관과 각 시의 지자체 직영의 평생학습센터, 문화의집,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여성문화회관, 여성문화센터 등의 명칭으로 운영하는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와 도서관 이용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Public Libraries'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and the Library Uses)

  • 이혜윤;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7-297
    • /
    • 2014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라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 즉 이용도, 관심도, 활용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교육문화프로그램 유형에 참여하는 이용자들이 이용성에 대한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프로그램 현황 및 설문 데이터를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참여하는 교육문화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도서관 이용방식, 자료대출횟수, 사이트 및 앱 접속횟수 등의 도서관 이용 패턴에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Collaboration with Public libraries in Facilitating Arts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 심효정;이용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3-177
    • /
    • 2003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지역의 핵심적인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여 실시할 경우 그 성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하에 공공도서관에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교육연계에 따른 현행 공공도서관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지체장애인의 공공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Library Education and Cultural Program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 표윤희;박은혜;이명희;김정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3-148
    • /
    • 2013
  • 지체장애인의 공공도서관 정보이용 증진,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는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연구와 정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 및 부모 20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지체장애인의 공공도서관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에 관한 욕구를 조사하고, 지체장애인이 실제적으로 정보를 이용하고 실효성 있는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핵심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여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시키는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별면담과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제(theme)와 1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1) 도서관에 대한 인식; 독서 및 교육 활동, 문화 프로그램, 도서관에 대한 이해, (2) 도서관 이용의 어려움; 환경적 접근의 어려움, 서비스 및 프로그램 부족, 심리적 어려움, 보조기기 부족, 정보 및 홍보 부족, 지원인력 부족, (3)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 기초서비스 측면, 독서교육 및 문화프로그램 측면, 인식개선 측면, 정책 지원 측면.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을 위한 교육 및 문화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공도서관과 문예회관의 문화교육프로그램의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in the Public Libraries and the Culture & Art Cente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오동근;여지숙;최성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1-307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공공도서관과 문예회관에서 운영하는 문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자들의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도서관 수강자들은 전반적인 만족도와 충성도, 프로그램 내용 및 강사 품질을, 문예회관 수강자들은 기관의 지원 및 제반서비스와 시설 및 환경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수강자의 고객만족도(LCSI)는 78.02점으로 나타났으며 문예회관 수강자의 고객만족도는 77.22점으로 산출되었다.

  • PDF

창업보육센터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김보윤;황보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7-192
    • /
    • 2023
  • 1990년대 후반 정부는 경기부양의 일환으로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ir: BI)를 전국에 설치·운영하도록 지원하였다.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벤처기업이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시기까지 시설, 기술, 행정, 경영지원 뿐만 아니라 입주지원까지 다양한 지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은 입주업체들의 기업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스타트업을 움직이는 심장이며 그 영향력은 실핏줄을 타고 회사의 가장 사소한 결정에까지 미친다. 조직문화마저 없다면 스타트업은 제품, 브랜드 무엇 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한 그저 꿈을 쫓는 집단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 서비스품질 구성요인 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과 스타트업에게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실천중심설계가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교육만족이 조직문화에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Concepts, Adjustments and Social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부성숙;정연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하고 있는 H어린이집 만 5세 다문화가정 유아를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자아정체성과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의 자아개념,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를 측정하여 통제집단인 일반가정 유아의 점수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유아의 자아개념, 기관 적응도 및 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주지역 특성을 활용한 성인 과학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cience and Culture Education tapping into Jeju's Special Characteristics for Adults)

  • 윤민희;박남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20-1723
    • /
    • 2012
  • 과학기술,사회(STS,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란 과학과 기술을 역사적이고 사회학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자는 관점을 뜻한다. 이는 시민들이 이런 시각을 가져야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 쟁점에 대한 올바른 판단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체제 이후의 평생교육으로써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문화 소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국내와 해외의 성인 대상의 과학 문화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올바른 과학문화 소통을 위한 프로그램 과정은 어떤 모습으로 설계되어야 하는지를 제안한다. 제주대학교 과학기술사회연구센터(STS연구센터)에서 연구하고 있는 제주 특성을 활용한 과학기술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향후 정보과학 기반의 연구방향도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