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헌정보학 교육

검색결과 790건 처리시간 0.032초

문헌정보학 교육의 변화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 한국.미국.호주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the Changes in LIS Education in Korea, U.S.A. and Australia)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7-34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호주의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북미 대학교 문헌정보학과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현재 전 세계 33개 대학으로 확산된 iSchool(Information School) 운동의 사례 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 교육의 주요 현안 및 과제 그리고 미래의 발전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외 문헌정보학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문헌정보학 교육의 변화 및 본질 그리고 연구 동향을 조사하였다. 둘째, 한국, 미국 및 호주 대학교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현황을 조사하고 국가 간 교육과정의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현재 전 세계 대학으로 확산되고 있는 iSchool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 교육의 미래와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문헌정보학의 교육방향에 관한 고찰 (The Education Direc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김명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1-138
    • /
    • 1997
  • 본 연구는 학부제가 실시되고 있는 현재의 교육개혁 상황 아래에서 대학교육과 학문의 관계, 문헌정보학의 위치, 문헌정보학 현황 및 고등교육개혁과 문헌정보학의 관계를 살펴보고 문헌정보학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정보학의 소속을 인문과학에 두었으며, 학부제의 장단점을 논의하였고, 앞으로의 교육방향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의 도서관경영 분야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Library Manage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김영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3-196
    • /
    • 2014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의 세부 영역인 도서관경영 분야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조사방법과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결과 도서관경영은 문헌정보학의 핵심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정보학 교육의 영향으로 교과목의 수가 자주 변동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현재 도서관경영 교육은 도서관 현장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첫째, 문헌정보학 전반에 대한 표준교육과정이 만들어지고, 도서관경영 영역의 교과목 수, 교과목 명 그리고 교과내용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둘째, 도서관경영 교과과정을 개설할 때 도서관의 사서들과 충분히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urriculum Design of the Practical Training Cours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차성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57-491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 현장실습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현장실습교육 구성요인으로서 적합한 NCS 능력단위를 도출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연계된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고 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실습교육 내용의 기준 및 지침을 구체화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추진 현황 특히 문헌정보학 전공분야 NCS 현황을 분석하였고, 둘째,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 조사를 통해 현장실습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고, 실습기관인 도서관 현장에서의 NCS와 연계된 현장실습 구성요인의 중요도 및 활용도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셋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조사결과 등을 통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실제 도서관 현장의 업무와 적절하게 부합되는 방향으로 NCS와 연계된 문헌정보학 실습교육과정 모델을 설계하였고, 넷째, NCS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실습교육 내용의 기준 및 지침을 구체화하여 현장실습 실습생에게 요구되는 현장실습 교육지침서를 제안하였다.

미국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내 연구방법론 교육의 특성과 현황 (Research Methods as a Core Competency in the U.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

  • 박소연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9-252
    • /
    • 2001
  • 본 연구는 미국 AL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가 인정한 문헌정보학 석사과정 (Master of Library Services) 교육과정에서 연구방법론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이 개설된 기관 내 다른 대학원 프로그램에서의 연구방법론의 위상을 문헌정보학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문헌정보학의 경우, 연구방법론에서 다루어지는 내용들이 매우 다양하고 일관성이 없었으며, 다수의 문헌정보학 프로그램들 내에서 연구방법론이 필수과목이 아니었으며, 상위20위에 드는 학교 중 절반만이 연구방법론을 필수과목으로 요구하였다. 그러나,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이 개설된 기관 내의 자연과학 프로그램, 대부분의 사회과학 프로그램, 경영학 석사과정 (MBA), 사회복지학 석사과정들이 연구방법론을 핵심과목으로 요구하였으며, 이들 분야들은 자신의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연구방법론 과목을 개설하였다. 또한 이들 분야의 프로그램들을 승인하는 국가적인 기관들이 연구방법론의 필수과목 개설을 명시하였다. 털 연구는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헌정보학 학문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의 개발과 연구방법론의 핵심과목 지정이 중요함을 제시한다.

  • PDF

디지털정보환경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Curriculum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Digital Information Environment)

  • 구본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3-108
    • /
    • 2000
  • 문헌정보학 교육은 실제적인 기술요소를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한다. 문헌정보학을 포함하여 전문직을 위한 어떤 종류의 교육이건 한 가지 필수적인 요소는 교육과정에서 실무를 준비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정보환경과 기술 도입, 그 기술 도입이 도서관환경에 미친 영향 그리고 미국의 변화된 교육과정을 고찰하였고 교유과정의 이상적인 버전을 제시하였다.

  • PDF

국내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의 현황 및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esent status and curriculum reform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 in Korea)

  • 박일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7-221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한 후, 이와 개선을 통하여 효율적인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인 서술방식과 계량적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질적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현황에 근거한 문헌정보학의 최근 동향에 대하여 서술하고, 기록보존 관련과목과 사서교사교육과정과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계량적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는 먼저 문헌정보학을 3개분야 (도서관학, 정보학, 서지학과 기타분야), 15개 세부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 분류방식에 근거하여 준비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대구경북지역 내 도서관 현장근무자 및 재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6개의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여러 종류의 기술적, 추리적 통계분석방법과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한 계량적 연구의 주요발견사항을 함께 기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속히 변화되는 사회 및 교육환경에 맞는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개편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조찬식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년도 제6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65
    • /
    • 1999
  • 교육개혁 등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특성과 위상의 재정립이 중요해 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문헌정보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대학의 학제상의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위치를 조사 분석하고, 각 대학 문헌정보학의 교과를 중심으로 학문적 특성을 파악한 뒤, 교수진의 학문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들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특성을 이해하고 나아갈 바를 도색하고 있다.

  • PDF

미국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grams in the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U.S.A.)

  • 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1-122
    • /
    • 2002
  • 본 연구는 미국의 문헌정보학 대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록관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기록관리학 교과과정개발에 필요한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분석과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록관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소속 및 명칭 학위 명칭 및 과정, 이수학점,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실습, 연구, 시설, SAA지침서를 비교하였다. 미국에서 기록관리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헌정보학 대학원은 많지 않았으며 SAA 지침서에서 제시한 기록관리지식을 모두 반영하지 못하는 대학원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기록관리학이 문헌정보학 대학원 안에서 이루어지는 특성화 프로그램의 한계로 볼 수 있었다. 기록관리학의 핵심 교과과정은 역사와 기록물 보존, 기록물과 레코드경영, 정보 기술, 경영원칙, 실무 경험, 연구와 석사학위 논문으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교육 기관과 현장이 함께 많은 연구와 대화를 나눔으로써 이러한 요소를 중심으로 한 기록관리 분야의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에 관한 연구 - S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hool's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cused on a Case of S Public Library)

  • 이수영;김유승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47-168
    • /
    • 201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습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론연구로서, 표준교과목과 실습교과목 분포 변화를 중심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논한다. 전국 4년제 문헌정보학 관련 학과 및 학부에 개설된 도서관 실습 교과목 현황을 파악하고, 서울시 소재 42개 구립 공공도서관의 실습교육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기본업무형, 참여형, 주도형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을 살펴본다. 또한 사례연구로서 서울시 소재 S공공도서관과 C대학 문헌정보학과 간 실습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참여 학생과 현장 사서들의 실습교육에 대한 요구들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에 갈음하여, 문헌정보학 분야 공공도서관 실습교육의 개선을 위해, 교수 교육기관, 사서 실습기관, 학생 등 실습교육 주체들의 당면 과제와 단계적 발전 방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