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문절망둑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초

진동만 잘피발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 비교 (Comparisons of Fish Assemblages Associated with Eelgrass Bed and Adjacent Unvegetad Habitat in Jindong Bay)

  • 곽석남;허성회;최창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9-128
    • /
    • 2006
  • 진동만 다구리 잘피밭과 인근 잘피가 없는 해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형 빔 트롤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우점하였던 쥐노래미, 감성돔, 농어, 베도라치, 흰베도라치, 주둥치, 문절망둑, 그리고 실양태가 우점하였다. 특히 감성돔과 농어는 잘피밭에서 문절망둑과 실양태는 잘피가 없는 해역에서 많이 출현하였다. 청보리멸, 산호해마, 복섬 및 돌팍망둑, 실고기, 흰꼬리볼락 및 볼락 등은 잘피밭에서만, 양태 및 날개망둑 등은 잘피가 없는 해역에서만 출현하였다. 본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어류는 대부분이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잘피밭이 작은 크기의 어종들에게 좋은 성육장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어류군집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는데, 출현 종수는 2002년 5월에, 출현 개체수는 2002년 4월에서 7월 사이에 아주 높았다. 한편 생체량은 2002년 4월과 7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잘피밭과 잘피가 없는 인근해역의 어류 군집을 비교해보면,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잘피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잘피밭은 잘피가 밀생되어 있어서 먹이 이용 가능성 및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서식처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주요 우점종의 체장분포에서도 두 서식처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 분포하는 치어(稚魚)의 군집구조(群集構造)와 섭동(燮動) - 1. 일변동(日變動) (Community Structure and Variation of Juvenile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Shinsudo, Samchonpo - 1. Diurnal Variation)

  • 김영혜;강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95
    • /
    • 1992
  •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 분포하는 치어군집(稚魚群集)의 일변동(日變動)을 파악하기 위해 1986년 12월, 1987년 1월, 7월 및 8월에 RN 80net를 사용하여 1일 4회(回)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4과(科) 32종(種)이 채집되었다. 개체수에 있어서 우점종은 베도라치, 문절망둑 및 동갈양태속에 속하는 한 종(種)이었으며, 이들 3종(種)은 총 개체수의 55.3%를 차지하였다. 낮과 밤간에 류사도(類似度)는 개체수 보다 생체량이 더 높았다. 개체수와 생체량의 변동은 1월과 5월에 낮과 밤간에 차가 있었으며, 낮 보다 밤에 크게 나타났다. 여명(黎明)이고 저조위(低潮位)일 때 출현하는 치어(稚魚)의 종수(種數)와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 PDF

순천 상내리 갯벌역에 출현하는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tidal flat of Sangnae-ri, Suncheon, Korea)

  • 박종혁;정재묵;김현지;예상진;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2호
    • /
    • pp.169-175
    • /
    • 2016
  • The feeding habits of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were studi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stomach contents of 171 specimens collected from September 2013 to August 2014 in the tidal flat of Sangnae-ri, Suncheon, Korea. The size of A. flavimanus ranged from 10.6 to 18.3 cm in standard length (SL). A. flavimanus mainly consumed amphipods (especially Corophium sp.). Its diet also included shrimps, crabs, fishes and polychaetes. Ontogenetic changes in diet composition of A. flavimanus were evident. The portion of amphipods and polychaetes was inversely proprotional to the increase in fish size whereas it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shrimps and crabs increased.

한국 남해안 해산어에 기생하는 결맹흡충(Coitocoecum) 속 흡충류 3종 (Three Coitocoecid Trematodes (Digenea:Opecoelidae) from the Marine Fish of the Korean Southern Sea)

  • 김기홍;황윤정;허성회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5-111
    • /
    • 1998
  • 한국 남해안(광양만, 진해만)에 서식하는 해산어의 장에서 Coitocoecum 속 흡충류 3종을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C. orthorchis는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에, C. latum은 망상어(Ditrema temmincki)에 그리고 C. glandulosum은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의 장에 기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중 C. latum과 C. glandulosum은 한국 미기록종이었으며, 감성돔은 C. glandulosum의 새로운 종숙주로 밝혀졌다. 또한 C. acanthogobium과 C. koreanum은 C. orthorchis의 동종이명으로 분류하였다.

  • PDF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문절망둑의 지리적 분포와 유전적 거리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Genetic Distance of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off the Coast of Korea)

  • 신현상;최윤;이기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5-247
    • /
    • 2024
  • A total of 64 individual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which inhabit the coast of Korea, were collected from 8 regions from July to August 2023. A haplotype network and a phylogenetic tree were created. The genomic DNA of the target fish specie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genomic DNA of four regions in Japan downloaded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In the haplotype network of Acanthogoboius flavimanus, Eocheong-do (EC) and Goseong (MAJ) exhibited low genetic similarity with other regions in Korea and Japan. The Phylogenetic tree showed that the population of MAJ exhibited differences in genetic structure compared to populations in other regions of Korea and Japan, indicating a distant relationship. Most marine organisms are known to migrate and spread via ocean currents, which is the most crucial factor promoting gene flow through larvae between populations. The haplotype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MAJ differs from the haplotypes in Korea and Japan. The population in MAJ is believed to have limited genetic exchange due to the North Korea Cold Currents. We identified haplotype patterns based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Acanthogobius flavimanus off the coast of Korea and inferred that ocean currents have some influence on genetic distances.

전남 해남군산 반염수어의 이형흡충류 피낭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with the metacercariae of heterophyid flukes in the brackishwater fish from Haenam-gun, Chollanam-do, Korea)

  • 손운목;한경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3호
    • /
    • pp.163-170
    • /
    • 1994
  • 1991년 11월파 12월에 전남 해남군 해남읍 시장에서 구입한 전어(30마리). 농어(20 마리). 숭어(30마리). 문절망둑(30마리) 등에서 이형흡충류 피낭유충 감염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어에서는 조사한 30마리 중 20마리(66.7%)에서 긴이형흡충(Hetenphyopsis coninua)의 피낭유충이 총 53개가 검출되었다. 농어에서는 조사한 20마리 중 19마리(95.0%)에서 긴이형흡충 피낭유충이 총 327개(감염 어체 당 평균 17.2개)가 검출되었다. 숭어에서는 조사한 30마리 중 11 마리(36.7%)에서 유해이형흡충(Hetenphyes nocens)의 피낭유충이 총 567개(감염 어체당 평균 51.5개)가 검출되었고. 10마리(33.3%)에서 표주박이형흡충(Fygidiopsis summa)과 자루이형흡충 (Stictodora fuscatum)의 피낭유충이 각각 31개 및 349개가 검출되었다 문절망둑에서는 조사한 30마리 중 3마리에서 유해이형흡충의 피낭유충이 총 96개가 검출되었고, 8마리(26.7%)에서 긴이형흡충의 피낭유충이 총 101개(감염어체당 평균 12.6개)가 검출되었으며 3마리에서 자루이형흡충의 피낭유충이 9개가 검출되었다. 이상과 같이 전남 해남군산 반염수어들이 이형흡충류 피낭유충에 농후히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마산만에 출현하는 난자치어 종조성과 출현량의 시공간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s of Ichthyoplankton in Masan Bay)

  • 곽석남;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2-49
    • /
    • 2014
  • 조사기간 동안 총 4종의 부유성 어란과 24종의 자치어가 마산만에서 채집되었다. 어란의 우점종은 멸치 (Engraulis japonicus) 어란이었다. 그러나 자치어는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돛양태류 (Repomucenus sp.), Scartella cristata, 망둥어과(Gobiidae sp.)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들 7종은 전체 출현개체수의 78.5%를 차지하였다. 어란과 자치어는 시공간적으로 큰 변동을 보였다. 어란과 자치어의 현존량은 2007년 7월에 가장 높았으며, 2007년 2월에 가장 낮았다. 그리고 난자치어는 다른 정점에 비해 정점 5에서 현존량이 높았다. 어란과 자치어 현존량의 시간적 변화는 수온에 영향을 받았다. 부유성 어란과 자치어는 수심, 지형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 요인에 따라 좀 더 얕은 만 안쪽 정점과 깊은 만 외곽 정점 간 군집 차이를 보였다.

한국의 간흡충에 관한 연구 XI. Heterophyes heterphyes nocens의 인체감염 2례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I. Two Cases of Human Infection by Heterphyes heterphyes nocens)

  • 채종일;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37-42
    • /
    • 1984
  • 이형흡충류의 하나인 Heterophyes heterophkes nocens에 의한 인체감염 2례가 치료후 충체를 얻세(제1예) 및 24세(제2예) 남자로 전남 고흥군 해안마을이 고향이거나 현재 거주지이며 제1예는 상복부 통증 및 소화불량 등의 증상을, 제2예는 EKG검사상 불정맥 및 ventricular premature be각 등 심장 기능이상과 설사, 복통 등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였다. 1983연 4월 및 8월에 bithionol 30mg/kg 또는 prasiquantel 15mg/kg을 투여하고 설사편을 입체해부현미경하에서 검사한 바 각각 35및 67마리의 H. heterophyes noces가 수집되었다. 대편검사 또는 충체검사상 제 1예는 간흡충이, 제2예는 3종의 다른 이형흡충류와 광절렬두조충이 동시 감염되어 있었다. 환자들은 H. heterophyes nocens의 중간숙주인 숭어 (Mugil cephalus), 농어 (Lateolalabrax japonicus) 및 문절망둑(Acanthogobius navimanus) 등 반염수산 어류를 회로 먹은 정력이 있었다.

  • PDF

영암호 갑문식어도를 통한 어류의 회유 (The Fish Migration through Fishlock at Youngam Lake)

  • 황종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61-568
    • /
    • 2000
  • 1999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남 영암의 영암호 갑문식어도에서 매주 1회씩 어도로 들어오는어류를 채집한 결과 25종 116,014개체를 채집하였으며, 이중 웅어, 줄공치, 숭어 등 10종이 하천과 바다를 오가며 서식하는 회유성어류로 전채개체수의 99.5%를 차지하였다. 회유성어류중 개체수로는 줄공치, 빙어, 웅어 숭어의 순으로 많이 채집되고 이들 4종이 전 채집 개체수의 99%에 해당하고 나머지 6종은 매우 드물게 채집되었다. 빙어는 63%가 7월 20일, 숭어는 43%가 7월 15일, 웅어는 42%가 5월 10일, 줄공치는 35%가 5월1일에 채집되어 어종별로 뚜렷한 회유시기가 있었다. 회유성 어류중 담수호에서는 웅어, 빙어, 숭어, 문절망둑 등 7종이 채집되고 유입하천에서는 은어, 빙어, 뱀장어 등 10종이 채집되어 어도를 통하여 소상한 회유성 어류가 담수호를 통하여 하천으로 올라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여수 돌산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농어(Lateolabrax japonic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f Dolsan-do, Yeosu)

  • 허성회;박주면;박세창;정달상;박찬일;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27
    • /
    • 2009
  • 여수 돌산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농어의 주먹이생물과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 변화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5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낚시, 자망, 정치망 등에 의해 어획된 시료를 여수어시장에서 구입하였다. 총 344개체의 농어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체장은 표준체장 8.7~52.8 cm의 범위를 보였다. 농어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농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로 나타났다. 어류 중에서는 멸치, 전갱이, 문절망둑 등을 많이 섭식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로 나타났으며, 그 외 단각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곤쟁이류, 게류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농어는 체장 25 cm 이하의 비교적 작은 체장에서는 단각류와 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그러나 성장함에 따라 이들 먹이생물의 비율은 줄어들어 체장 25 cm 이상에서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