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서 영상

Search Result 38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Baseline Searching Method for Document Skew Detection (문서 영상의 기울기 검출을 위한 기준선 탐색 기법)

  • Shin, Myoung-Jin;Kim, Do-Hyeon;Cha, Eui-You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0 no.2
    • /
    • pp.218-225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technique to detect a document skew that often occurs during document scanning. To correct a skewed document is essential for automatic processing system including character segmentation, character recognition and so on. The proposed algorithm can detect a skew angle exactly by searching characters baselines that have slant information of the document within a candidated area. To reduce processing time, we resized the image small and then established a ROI (region of interest) by morphology operations and connected components analysis. We compared our method with the existing method based on morphology operations and proved correctness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through experiments and analysis with various kind of document images.

  • PDF

The Off-line Verification System of Signature of Handwrite (필적 및 서명에 대한 Off-line 자동분석시스템)

  • Kim, Sei-Hoon;Ha, Jeung-Yo;Kim, Gye-Young;Choi, Hyung-I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c
    • /
    • pp.189-193
    • /
    • 2007
  • 필적 감정은 개인의 고유한 필적 개성을 이용하여 임의의 두 필기 문장 또는 텍스트가 동일인에 의해 작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기술로 유서대필 및 보안수사, 서명의 검증, 범죄 수사 등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감정 전문가의 판단기준에 의해 필적의 유사성을 판별하기 때문에 객관성 결여 및 과도한 소요 시간, 과도한 처리비용의 문제를 내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판별의 객관성과 업무의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통한 패턴 분석을 적용하여 두 필적의 유사성을 판별하는 방법을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학습단계와 자동분석단계로 나뉘며, 학습단계에서는 입력된 문서영상에서 필적의 영역을 추출한 후, 특징을 추출하고 DTW연산을 통하여 학습을 한다. 자동분석단계에서는 대조할 문서영상에서의 특징을 추출하고 입력된 문서영상과 대조할 문서영상간의 마할라노비스 거리(Mahalanobis Distance)를 구하여 서명 및 필적에 대한 유사도를 도출한다. 실험은 4명의 필적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Watermark Recognition Techniques from a Distorted Image (왜곡된 영상으로부터 워터마크 인식 기법)

  • Maeng, Il Hee;Park, JiSu;Shon, Jin G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5.10a
    • /
    • pp.1541-1544
    • /
    • 2015
  • 최근 스마트폰으로 워터마크가 인쇄된 문서를 촬영하여 유출을 하는 범죄가 일어나고 있으며, 특별한 감시 방안이 없다. 이를 위해 정부 및 기업에서는 문서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복사기 및 팩스 장치에 워터마크 패턴 보호 기법을 탑재하여 광학적으로 불법 복제를 방지한다. 특히 기업에 출입시 스마트폰에 보안 앱들을 설치하고, 스마트폰으로 문서를 촬영할 경우 앱이 보안 문서를 인식하여 경고를 시스템에 알린다. 그러나 스마트폰으로 촬영된 영상은 카메라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왜곡 현상이 발생되어 워터마크가 훼손된다. 이렇게 훼손된 영상은 기존 워터마크 패턴 인식 방법으로는 정상적으로 인식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훼손된 워터마크를 보정하고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률과 처리속도를 높인다.

Keyword Spotting on Hangul Document Images Using Character Feature Models (문자 별 특징 모델을 이용한 한글 문서 영상에서 키워드 검색)

  • Park, Sang-Cheol;Kim, Soo-Hyung;Choi, Deok-Jai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5 s.101
    • /
    • pp.521-526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keyword spotting system as an alternative to searching system for poor quality Korean document images and compare the Proposed system with an OCR-based document retrieval system. The system is composed of character segmentation, feature extraction for the query keyword, and word-to-word matching. In the character segmentation step, we propose an effective method to remove the connectivity between adjacent characters and a character segmentation method by making the variance of character widths minimum. In the query creation step, feature vector for the query is constructed by a combination of a character model by typeface. In the matching step, word-to-word matching is applied base on a character-to-character matching. We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keyword spotting system is more efficient than the OCR-based one to search a keyword on the Korean document images, especially when the quality of documents is quite poor and point size is small.

Human Friendly Documentation System of the Printed Hangul Images (인간에게 친밀한 인쇄체 한글 영상의 문서화 시스템)

  • 곽주원;강순대;백승복;박상욱;박정현;박홍선;손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61-36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문서를 CCD 카메라로 입력 받은 후,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손가락으로 선택하면, 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검출하고, 손가락으로 선택되어진 영역을 인식한 후, 선택되어진 영역으로 카메라를 이동시켜 획득된 영상을 문자 인식 가능한 크기로 확대/축소하며, 확대된 영상에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문서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이 시스템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할 만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Nonlinear Character Segmentation and Recognition Using Topographic Features in Hangul String Images (한글 문자열 영상의 지형적 특징을 이용한 비선형 문자 분할 및 인식)

  • Lee, Dong-June;Lee, Seong-Wh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201-206
    • /
    • 1994
  • 문서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 중의 하나로 문자 분할 오류를 들 수 있는데 보다 우수한 성능의 문서 인식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정확한 문자 분할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기존의 문자 분할에 관한 연구들은 이진 영상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접촉되거나 겹치는 문자의 경계 부분에서 문자 분할에 유용한 정보들을 잃어 문자 분할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명도 영상을 분석해 보면 문자의 접촉 부분에서 주로 나타나는 지형적 특징이 있으며, 문자 경계에서 명도값이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와같은 명도 영상의 정보를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문자를 분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명도 영상으로부터 지형적 특징을 추출하고 다단계 그래프 탐색 방법을 이용하여 명도값을 추적함으로써 비선형 문자 경계를 찾는 새로운 문자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명도 문자열 영상을 입력으로 받아 명도 영상의 투영값과 명도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지형적 특성을 이용하여 문자 분할 영역을 결정하고 문자 분할 영역내에서 다단계 그래프 탐색에 의한 비선형 문자 분할 경로를 찾는다. 그리고 문자 인식기와 결항하여 최종 문자 분할 위치를 확정하는 인식 결과를 이용한 문자 분할을 수행함으로써 문자 분할 위치 및 문자 인식 결과를 확정한다. 다양한 문서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이진 정보만을 사용하는 방법보다 접촉 혹은 겹친 문자 분할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A Method of Movie Retrieval System Index based on MPEG-7 (MPEG-7에 기반한 동영상 검색 시스템 인덱스 기법)

  • 김택곤;김우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5-27
    • /
    • 2003
  • MPEG-7은 XM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검색하고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다양한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부분으로 나누어진 세부화된 장면들을 찾는 질의가 주어졌을때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하여 모든 문서의 내용을 검색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며, 일반적인 XML 문서의 인덱싱 기법을 적용할 경우 MPEG-7의 관점에서 부합되지 않은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MPEG-7 문서의 구조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인덱싱 기법을 제안하고 질의를 하여 동영상내의 원하는 부분을 효율적으로 찾는 방법을 보인다.

  • PDF

A Feature -Based Word Spotting for Content-Based Retrieval of Machine-Printed English Document Images (내용기반의 인쇄체 영문 문서 영상 검색을 위한 특징 기반 단어 검색)

  • Jeong, Gyu-Sik;Gwon, Hui-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10
    • /
    • pp.1204-1218
    • /
    • 1999
  • 문서영상 검색을 위한 디지털도서관의 대부분은 논문제목과/또는 논문요약으로부터 만들어진 색인에 근거한 제한적인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문 문서영상전체에 대한 검색을 위한 단어 영상 형태 특징기반의 단어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1) 기존의 단어검색시스템에서 사용된 특징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며, 2) 특징의 개수 및 위치뿐만 아니라 특징들의 순서를 포함하여 매칭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3) 특징비교에 의해 검색결과를 얻은 후에 여과목적으로 문자인식을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2단계의 검색방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문서 영상이 주어지면, 문서 영상 구조가 분석되고 단어 영역들의 조합으로 분할된다. 단어 영상의 특징들이 추출되어 저장된다. 사용자의 텍스트 질의가 주어지면 이에 대응되는 단어 영상이 만들어지며 이로부터 영상특징이 추출된다. 이 참조 특징과 저장된 특징들과 비교하여 유사한 단어를 검색하게 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IBM-PC를 이용한 웹 환경에서 구축되었으며, 영문 문서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의 유효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Most existing digital libraries for document image retrieval provide a limited retrieval service due to their indexing from document titles and/or the content of document abstracts. This paper proposes a word spotting system for full English document image retrieval based on word image shape features. In order to improve not only the efficiency but also the precision of a retrieval system, we develop the system by 1) using a combination of the holistic feature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existing word spotting systems, 2) performing image matching by comparing the order of features in a word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features and their positions, and 3) adopting 2 stage retrieval strategies by obtaining retrieval results by image feature matching and applying OCR(Optical Charater Recognition) partly to the results for filtering purpose. The proposed system operates as follows: given a document image, its structure is analyzed and is segmented into a set of word regions. Then, word shape features are extracted and stored. Given a user's query with text, features are extracted after its corresponding word image is generated. This reference model is compared with the stored features to find out similar words.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with IBM-PC in a web environment and its experiments are performed with English document imag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Word Image Decomposition from Image Regions in Document Images using Statistical Analyses (문서 영상의 그림 영역에서 통계적 분석을 이용한 단어 영상 추출)

  • Jeong, Chang-Bu;Kim, Soo-Hy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6 s.109
    • /
    • pp.591-600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algorithm to decompose word images from image regions mixed text/graphics in document images using statistical analyses. To decompose word images from image regions, the character components need to be separated from graphic components. For this process, we propose a method to separate them with an analysis of box-plot using a statistics of structural components. An accuracy of this method is not sensitive to the changes of images because the criterion of separation is defined by the statistics of components. And then the character regions are determined by analyzing a local crowdedness of the separated character components. finally, we devide the character regions into text lines and word images using projection profile analysis, gap clustering, special symbol detection, etc. The proposed system could reduce the influence resulted from the changes of images because it uses the criterion based on the statistics of image regions. Also, we made an experiment with the proposed method in document image processing system for keyword spotting and showed the necessity of studying for the proposed method.

Documentation of Printed Hangul Images of the Selected Area by Finger Movement (손가락 이동에 의해 선택된 영역의 인쇄체 한글 영상 문서화)

  • 백승복;손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05a
    • /
    • pp.51-54
    • /
    • 2002
  • 본 논문은 글자 문서를 배경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에 의하여 일정한 영역을 그린 후, 영역내의 한글영상을 편집 가능한 에디터에 출력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영상의 전처리 단계에서는 문서 배경과 손영역을 분리하고 최대 원형 이동법을 이용하여 손의 무게 중심점을 추출한다. 원형 패턴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손을 인식한 후, 거리 스펙트럼으로 손가락 위치를 찾는다.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선택되어진 문자 영역을 추출한 후, 한글 자소 간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추출된 문자 이미지 영역에서 문자단위로 분할하고 다양한 크기의 문자를 표준화한다. 퍼지 추론을 적용한 원형 패턴 벡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표준 패턴문자와 입력문자의 특징벡터를 비교하여 문자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의 문자들을 수정 가능한 문서로 변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