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서 영상

Search Result 38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모폴로지를 이용한 문서 영상내의 특징영역 추출

  • 이상협;이경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6.06a
    • /
    • pp.67-75
    • /
    • 1996
  • 컴퓨터를 이용한 문서정보의 처리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문서영상내의 각 특징영역을 분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노이즈가 존재하는 non-manhattan layout 이치 문서영상내의 halftone 이미지, 선 및 텍스트 등의 중요한 특징영역들을 자동으로 구분 추출하는 효과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먼저 처리속도의 고속화를 위하여 원본 영상을 축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인 바, 축소 시 노이즈의 제거와 동시에 축소된 영상 내에서 원하는 영역의 특징들이 잘 나타나도록 하는 임계치 축소기법을 제안 사용하여 축소영상을 만든 다음, 축소영상에 다양한 모폴로지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각 알고리즘의 성능을 이용한 노이즈 문서영상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보인다.

  • PDF

Keyword Spotting on Hangul Document Images Using Image-to-Image Matching (영상 대 영상 매칭을 이용한 한글 문서 영상에서의 단어 검색)

  • Park Sang Cheol;Son Hwa Jeong;Kim Soo Hy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3 s.99
    • /
    • pp.357-364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ccurate and fast keyword spotting system for searching user-specified keyword in Hangul document images by using two-level image-to-image matching. The system is composed of character segmentation, creating a query image, feature extraction, and matching procedure. Two different feature vectors are used in the matching procedure. An experiment using 1600 Hangul word images from 8 document images, downloaded from the website of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system is superior to conventional image-based document retrieval systems.

Table recognition algorithm for camera-captured document images based on junction detection and labeling (교차점 검출과 분류를 통한 카메라 문서영상에서의 테이블 구조 인식 알고리듬)

  • Seo, Won Kyo;Koo, Hyung Il;Lee, DongHyuk;Kim, Sang Ho;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263-266
    • /
    • 2013
  • 표는 중요한 정보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문서 요소로서 문서 영상에서 표의 내용과 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표의 검출과 인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평판 스캐너로 취득한 문서 영상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이 보급됨에 따라 평판 스캐너 대신 카메라를 이용한 표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로 획득한 문서 영상에서 표 인식에 대한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먼저 표가 선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정 아래 문서 이미지에 존재하는 선을 이진화와 강인한 곡선 맞춤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검출한다. 검출된 선들의 교차점은 표의 요소일 수도 있으며 오검출의 결과일 수도 있는데 교차점 주변의 관찰 결과와 교차점 사이의 연관 관계를 에너지 식으로 표현하고 이 식을 최소화함으로써 각각의 교차점에 최적의 레이블을 할당한다. 얻어진 레이블은 표로 유일하게 변환되며 표의 구조를 셀 단위까지 추정할 수 있다. 다양한 표 영상에 대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문서영상의 기하학적인 왜곡에도 불구하고 영상에 존재하는 표를 성공적으로 인식함을 보여준다.

  • PDF

A Block Classification and Rotation Angle Extraction for Document Image (문서 영상의 영역 분류와 회전각 검출)

  • Mo, Moon-Jung;Kim, Wook-H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4
    • /
    • pp.509-516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algorithm which recognizes the mixed document image consisting of the images, texts, tables, and straight lines. This system is composed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he detection of rotation angle for complementing skewed images, the second is detection of erasing an unnecessary background region and last is the classific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document images. This algorithm performs preprocessing of detecting rotation angles and correcting documents based on the detected rotation angles in order to minimize the error rate by skewness of the documentation. We detected the rotation angie using only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in document images and minimized calculation time by erasing unnecessary background region in the detecting process of component of document. In the next step, we classify various components such as image, text, table and line area included in document images. we applied this method to various document image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ocument recognition system and show the successful experimental results.

Study on Measuring Geometrical Modification of Document Image in Scanning Process (스캐닝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문서의 기하학적 변형감지에 관한 연구)

  • Oh, Dong-Yeol;Oh, Hae-Seok;Rhew, Sung-Y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8
    • /
    • pp.1869-1876
    • /
    • 2009
  • Scanner which is a kind of optical devices is used to convert paper documents into document image files. The assessment of scanned document image is performed to check if there are any modification on document image files in scanning process. In assessment of scanned documents, user checks the degree of skew, noise, folded state and etc This paper proposed to how to measure geometrical modifications of document image in scanning process. In this study, we check the degree of modification in document image file by image processing and we compare the evaluation value which means the degree of modification in each items with OCR success ratio in a document image file. To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OCR success ratio and the evaluation value which means the degree of modification in each items, we appl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alculate weight value for each items to score total evaluation value of image modification degrees on a image file. The document image which has high rating score by proposed method also has high OCR success ratio.

Automatic Evaluation of Document Image for OCR (OCR을 위한 문서 영상의 자동평가)

  • Yoon, Byoung-Hoon;Ha,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412-4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의 정확도를 위해 인쇄체 한글 문서 영상에 대한 자동 평가방법을 제안한다. 자동 평가방법은 문서가 스캔된 상태에 따라 낮은 해상도, 영상 자체의 기울어짐, 많은 잡음 등을 판단하여 인식하지 않고도 인식률을 추측할 수 있다. 평가방법은 영상 자체의 밝기, 기울기, 영역의 특징, 문자의 상태 등을 특징 항목으로 만들어 점수를 산출한다. 각 항목의 점수는 가장 높은 인식률을 가지는 영상의 특징 값을 기준으로 삼는다. 각각의 특징에 대해 점수가 산출되면 인식률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특징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최종 점수를 산출한다. 영상 평가방법을 통해 높은 점수를 얻은 영상은 상용 인식기를 통해 인식한 결과 높은 인식률을 나타냈고, 평가방법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영상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률을 나타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문서영상을 위한 자동 평가방법은 인식기를 사용하지 않고 영상의 품질을 측정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인식률을 추측할 수 있고, 낮은 인식률을 보일 수 있는 영상에 대해서는 항목별 점수를 피드백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인식하기전 문서 영상의 전처리에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Text Extraction by Skew Normalization and Block Split & Merge (기울기 보정과 블록 분할 합병을 통한 문자 추출)

  • 김도현;차의영;강민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424-426
    • /
    • 2001
  • 신문, 잡지, 공문서, 영수증 등의 문서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자동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문서영상 이해 시스템의 구현에 있어서 문서영상에 존재하는 문자를 추출하는 연구는 문자 인식의 전처리 단계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문서 자체가 가지는 다양한 형태 및 배경 등에 의하여 범용화되고 일반화된 방법을 찾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배경이 선이나 도표 등으로 이루어진 문서 영상에서 Hough Transform을 사용하여 기울어짐을 보정하고 문자들이 선에 겹친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정하며 추출된 영역에 대한 분할 및 합병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완전한 문자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 PDF

Image restoration using 4-neighborhood mask (4방향 마스크를 이용한 영상 복원)

  • 최선아;강동구;차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219-22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잘못된 인쇄로 인한 문서상의 잡영이 생기거나 문자 훼손이 있는 문서영상을 복원 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문서영상을 스캐너로 읽어들여 잡영을 제거 한 뒤 훼손된 숫자 영상에 대해서 프로젝션을 이용하여 숫자 열을 낱낱의 숫자로 분할한다. 각각의 숫자에 대해서 크기가 일정하도록 정규화를 시킨 다음, Backpropagation을 이용하여 훼손된 숫자를 학습하였다. 학습시킨 다음 원 영상과 훼손된 영상을 각 픽셀단위로 비교하여 4-방향 마스크를 이용하여 원래의 숫자 영상으로 복원하도록 한다.

  • PDF

Adaptive Binarization for Camera-based Document Recognition (카메라 기반 문서 인식을 위한 적응적 이진화)

  • Kim, In-J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2 no.3
    • /
    • pp.132-140
    • /
    • 2007
  • The quality of the camera image is worse than that of the scanner image because of lighting variation and inaccurate focus. This paper proposes a binarization method for camera-based document recognition, which is tolerant to low-quality camera images. Based on an existing method reported to be effective in previous evaluations, we enhanced the adaptability to the image with a low contrast due to low intensity and inaccurate focus. Furthermore, applying an additional small-size window in the binarization process, it is effective to extract the fine detail of character structure, which is often degraded by conventional methods. In experiments,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as well as other methods to a document recognizer and compared the performance for many cm images. The result showed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for recognition of document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 PDF

Automatic Title Detection by Spatial Feature and Projection Profile for Document Images (공간 정보와 투영 프로파일을 이용한 문서 영상에서의 타이틀 영역 추출)

  • Park, Hyo-Jin;Kim, Bo-Ram;Kim, Wook-H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1 no.3
    • /
    • pp.209-214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of segmentation and title detection for document image. The automated title detection method that we have developed is composed of two phases, segmentation and title area detection. In the first phase, we extract and segment the document image. To perform this operation, the binary map is segmented by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operation and CCA(connected component algorithm). The first phase provides segmented regions that would be detected as title area for the second stage. Candidate title areas are detected using geometric information, then we can extract the title region that is performed by removing non-title regions. After classification step that removes non-text regions, projection is performed to detect a title region. From the fact that usually the largest font is used for the title in the document, horizontal projection is performed within text area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segmentation and title detection for various forms of document images using geometric features and projection profile analysis.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hav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document title recognition, multimedia data searching, real-time image processing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