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법요소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arts-Of-Speech Tagging System Using Grammar Rule and Eojeol Relativity (문법 규칙과 어절 상관도를 이용한 품사 태깅 시스템)

  • Do, Mi-Sook;Choe, Ho-Seop;Ock,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481-48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문법 규칙과 어절 상관도를 이용한 품사 태깅 시스템을 제안한다. 원시 말뭉치와 품사태그 부착 말뭉치에서 중의 어절(ambiguity eojeol)의 앞뒤 어휘와 품사 정보를 파악하여 문법 규칙을 마련하였으며, 한국어의 품사와 문장성분적 요소를 고려한 7개의 어절 태그를 설정하여 이 어절 태그간의 확률값을 이용해 어절간의 상관도를 구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품사 태깅을 실험한 결과, 150 만 어절의 학습 말뭉치와 3 만 어절의 실험 말뭉치에서 각각 평균 92%와 91%의 정확률을 보였다.

  • PDF

Introduction of Bridge-Language for cognitive burden reduc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학습자의 인지부담을 줄이는 중간언어 도입에 대한 연구)

  • LEE, SEUNG-UN;SON, YUN-SIK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49-52
    • /
    • 2018
  • SW 교육에 있어서 입문자의 흥미를 유발하고자 블록 기반인 스크래치와 엔트리가 도입되었고 많은 교육 기관에서는 이후 ARDUINO, C, JAVA, PYTHON 등을 선택 교육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코딩보다는 사고력을 강조하며 정보 교과 내에서 문법 공부하는 것을 기피하는 풍토를 보인다. 이러한 점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지침에서 특정 언어의 기능습득에 치우치지 않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도록 하여 사실상 교수자의 재량에 두고 있는 점에서도 파악할 수 있다. 코딩의 문법학습을 피하는 경향은 코딩교육 도입 초기의 취지와는 다르게 공교육 내에서의 코딩교육의 활성화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여지가 크다고 우려된다. 따라서 현재 출판된 정보 교과서에서 다루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를 조사하고 코딩 문법학습을 최소화를 할 수 있으며 블록코딩에서 텍스트 코딩으로 전환 시 학습자의 부담을 감소할 수단으로 PROCESSING를 통한 과정을 제안하는 바이다.

  • PDF

Designing the Moving Pattern of Cleaning Robot based on Grammatical Evolution with Conditional Probability Table (문법적 진화기법과 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청소 로봇의 이동 패턴 계획)

  • Gwon, Soon-Joe;Kim, Hyun-Tae;Ahn, Chang Wook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2 no.4
    • /
    • pp.184-188
    • /
    • 2016
  • The cleaning robot is popularly used as a home appliance. The state-of-the-art cleaning robot can clean more efficiently by using information gathered from its sensor, which is difficult for low-price cleaning robots due to limitation in this aspect.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method for the moving pattern of cleaning robot based on grammatical evolution. Optimized program is generated by using moving pattern grammar, which is defined by Backus-Naur form. In addition, conditional probability is used between each of the grammar elements during the program creation process.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by robot simulation in order to verify its performance and further compare it with existing algorithm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compared algorithms.

Convergence Class for Basic Video Grammar and Communication Ability - Through Interview Video Production - (기초 영상 문법과 소통 능력 향상 융합 수업 -인터뷰 영상 제작을 통해-)

  • Kim, Leo;Huh, Yoon 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7
    • /
    • pp.341-349
    • /
    • 2019
  • Today, art education needs education of media image production or media in the extended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asic visual grammar and communication ability. We developed and applied the teaching plan for the interview video production as the fusion lesson. 3 classes were conducted for 30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 & post questions and student work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used the shot size and stable composition through the interview video production. As a result, this class was effective for the acquisition of the basic video grammar. Second, students improved their ability to ask and listen, understand and organize through interview. As a result, students were able to apply the basic video grammar through the interview video production lesson, effectively producing the interview image.

Effects of College English FnF (Focus on Form) Class Types on Target Vocabulary and Grammar (대학 교양영어 FnF수업유형이 목표어휘와 목표문법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Kim, You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7 no.12
    • /
    • pp.371-380
    • /
    • 2017
  •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comparative instructional effects among meaning-base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input-enhanced FnF instruction and output-enhanced FnF instruc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teaching methods of target grammar and vocabulary. The experiment selected three homogeneous groups of 30 students in each group for the comparison: One comparative group with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one input-enhanced FnF group and another output-enhanced FnF group.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input-enhanced group outperforme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grammar tes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output-enhanced group overweighte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vocabulary test. However,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input-enhanced group and the output-enhanced group.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could bear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 The general English education must use the eclectic method of adopting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with FnF of input-enhanced target grammar and output-enhanced target vocabulary to supplement the students with the basic vocabulary and grammar.

An MDA-based Ontology Architecture to Support Integration of Ontologies (온톨로지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MDA 기반의 온톨로지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Lee Jeong-Su;Chae Hui-Gwon;Kim Gwang-Su;Kim Cheol-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90-1697
    • /
    • 2006
  • 온톨로지는 사람들 간의 정확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 기술이다. 온톨로지의 구축은 기존 온톨로지들간의 통합을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온톨로지들이 표현 언어, 대상 도메인, 온톨로지 구성요소 등의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지므로, 온톨로지 통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온톨로지들 간의 상호운용성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분류하는 체계적인 프레임워크의 제공을 통해 온톨로지들 간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지원하는 온톨로지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온톨로지 아키텍처는 온톨로지를 바라보는 3가지 관점에 따라 MDA에 기반한 온톨로지 표현 분류축, 시맨틱 도메인 분류축, 온톨로지 구성요소 분류축의 3개 분류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MDA의 4계층 메타모델링을 문법적인 기반으로 하고 있다. 온톨로지 아키텍처의 3개의 분류축은 온톨로지들 간의 문법적인 상호운용성과 의미적인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화롭게 설계됨으로써 온톨로지 통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 PDF

Detection of Syntactic and Semantic Anomaly in Korean Sentences: an ERP study (언어이해과정에서의 구문/의미요소 분리에 대한 ERP특성연구)

  • 김충명;이경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61-67
    • /
    • 2000
  • 본고는 텍스트로 제시된 한국어 문장의 형태통사론적 오류와 의미적 논항결합시 하위범주화요건을 위배하는 논항선택 오류의 인식 및 판단에 따른 ERP(Event-Related Potential)를 검출하여, 이에 대한 문장이해과정의 시간추이적 양상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한 피험자로부터 각각의 유형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 통사적 오류 추출에서 의미적 오류 추출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오류패턴 요소들(ELAN, N400, P600)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한국어 문장이해과정의 특이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문장묵독시 일어나는 여러 종류의 문법오류에 대한 개별적 성격규명과 함께, 이들의 문법틀 내에서의 상호관계에 대한 일련의 가설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문장이해 메커니즘의 신경적 기전의 특성 규명으로 부수될 인간지능 모사가능성에 생리학적 토대가 더해 질 것으로 추정되는 바, 언어이해와 대뇌기전지형을 결정짓는 또 다른 규준이 될 것이다.

  • PDF

Improving a Korean Spell/Grammar Checker for the Web-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웹기반 언어 학습시스템을 위한 한국어 철자/문법 검사기의 성능 향상)

  • 남현숙;김광영;권혁철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2 no.3
    • /
    • pp.1-18
    • /
    • 2001
  • The goal of this paper is the pedagogical application of a Korean Spell/Grammar Checker to the web-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for Korean writing. To maximize the efficient instruction of our learning system \\`Urimal Baeumteo\\` we have to improve our Korean Spell/Grammar Checker. Today the NLP system\\`s performance defends on its semantic processing capability. In our Korean Spell/Grammar Checker. the tasks accomplished in the semantic level are: the detection and correction of misused derived and compound nouns in a Korean spell-checking device and the detection and correction of syntactic and semantic errors in a Korean grammars-checking device. We describe a common approach to the partial parsing using collocation rules based on the dependency grammar. To provide more detailed semantic rules. we classified nouns according to their concepts. and subcategorized verbs referring to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Improving a Korean Spell/Gl-Grammar Checker makes our learning system active and intelligent in a web-based environment. We acknowledge the flaws in our system: the classification of nouns based on their meanings and concepts is a time consuming task. the analytic unit of this study is principally limited to the phrases in a sentence therefore the accurate parsing of embedded sentences remains a difficult problem to solve. Concerning the web-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consider its interface design and structure of its contents.

  • PDF

Warum werden die Passivkonstruktionen in den wissenschaftlichen Fachsprachen besonders bevorzugt? (왜 수동구문이 학술적 전문어에서 특히 선호되고 있는가?)

  • Gang Gook-Jin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1
    • /
    • pp.119-139
    • /
    • 1999
  • 일상어는 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사회생활에서 아무런 어려움이 없이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언어의 표현 수단이다. 이에 반하여 학술어는 각각의 전문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의 한 형태이다. 학술적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은 글이 객관적이면서도 명확하게 기술된다는 점이다. 일반독자는 자주 사용되는 전문어휘를 통하여 학술적 텍스트를 가장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텍스트의 구성에 있어서도 학술적 텍스트가 일반 텍스트와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독일어에서는 일정한 문법적 현상들이 학술적 전문어의 요소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삼인칭 단수, 부사구, 명사화 경향, 기능동사구의 선호, 수동구문 등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학술적 전문어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문법적 요소 중의 하나가 수동구문이다. 학술어의 요소로서 수동구문이 갖는 언어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수동구문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언급되지 않음으로써 사실이 객관적으로 표현되며, 동시에 행위자의 억제는 언어의 경제성에 기여한다. 2. 경우에 따라서 행위자가 표현될 때, 직접적인 행위의 주체를 나타내는 von-전치사구 혹은 매개체나 원인을 표현하는 durch-전치사구를 통하여 사건을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다. 3. 테마-레마 구조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문장구성 혹은 문장연결을 위한 표현수단으로도 수동구문은 활용된다. 4. 수동구문을 사용함으로써 문체상의 단조롭고 획일적인 점을 회피할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수동구문이 지니고 있는 언어적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학술적 전문어의 특징과 전문어를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 PDF

The Effect of Overseas Language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Accuracy (해외어학연수의 외국어 정확성 향상에 대한 효과)

  • Cha, Mi-Ya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93-99
    • /
    • 2020
  • The Journal of Industrial Management Society in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 of overseas language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accurac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rrors in English compositions produced by 27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d overseas language training for 15 weeks. For data collection, students were made to take two tests, a pretest and a posttest, a semester apart. The differences in composition elements and errors between the two tests were examined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average length of the compositions and sentences increased, the number of sentences decreased in the posttest. Also, more errors were found in the posttest where the students tried to construct more complex sentence structures. The students' ability to generate sentences were found to have improved, while their competence in using grammatical elements accurately within sentences did not see great improvement. This implies that overseas language training was not effective for aiding the development of one's grammatical accuracy of a foreign language over a 15-week period for th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