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 음향실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pplication of Combustion Stabilization Devices to Liquid Rocket Engine (액체 로켓엔진에서 연소 안정화기구의 적용 효과)

  • Sohn, Chae-Hoon;Seol, Woo-Seok;Lee, Soo-Yong;Kim, Young-Mog;Lee, D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6
    • /
    • pp.79-87
    • /
    • 2003
  • Application of combustion stabilization devices such as baffle and acoustic cavity to liquid propellant rocket engine is investigated to suppress high-frequency combustion instability, i.e., acoustic instability. First, these damping devices are designed based on linear damping theory. As a principal design parameter, damping factor is considered and calculated numerically in the chambers with/without these devices. Next, the unbaffled chambers with/without acoustic cavities are tested experimentally for several operating conditions. The unbaffled chamber shows the peculiar stabilit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 and it is found to have small dynamic stability margin. As a result, the acoustic cavity with the present design has little stabilization effect in this specific chamber. Finally, stability rating tests are conducted with the baffled chamber, where evident combustion stabilization is observed, which indicates sufficient damping effect.

The Effects of Surface Diffusivity on the Room Acoustics Using Scaled Models (축척모델을 이용한 실의 확산성 영향평가)

  • Yeon Chul-Ho;Park Kye-Kyun;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51-454
    • /
    • 2000
  • 실의 음향성능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음향인자가 개발되어지고 제시되어 왔다. 음향인자 중 확산은 실의 전반적인 음향성능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본 연구는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고 체적과 마감재료가 같은 2종류의 축척모델을 제작하여 각각의 모델에서 RT, EDT, SPL, C, IACC 등을 측정하여 확산체의 유$\cdot$무에 따른 실의 실내음향 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실내 표면의 확산성의 차이에 따라 표면의 확산성이 좋은 공간에서 초기음장에서 음에너지가 집중되고 분산되는 것을 입증하였다. 즉 확산성이 좋은 모델에서 잔향시간(RT)은 더 짧으나 초기감쇠시간(EDT)이 더 길게 나타남으로 인하여 음에너지의 분포가 실의 확산상태에 의하여 음의 발생이후 짧은 시간내에 집중하여 전달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실의 확산상태가 좋은 공간의 명료도가 확산이 되지 않은 실에 비하여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실내 표면의 확산성이 전반적인 실내 음장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밝혀 냈다.

  • PDF

우주비행체 음향 환경 시험을 위한 고음압 잔향실 개발

  • Kim, Young-Key;Kim, Hong-Bae;Moon, Sang-Mu;Woo, Sung-Hyun;Lee, Dong-Woo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2
    • /
    • pp.66-75
    • /
    • 2003
  • A high intensity acoustic test facility has been constructed at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Spacecrafts are tested in the facility to check the reliability on acoustic environment of launch vehicles. The reverberant chamber of the facility has a volume of 1,228 cubic meters and provides an acoustic environment of 152 dB over the frequency range of 25 Hz to 10,000 Hz. This paper describes how the basic parameters of the facility including a chamber and power generation system are designed. Moreover, design parameters including acoustic spectrum, acoustic modulator characteristics, reverberation time and isolation characteristics are experimentally verified during acceptance tests.

  • PDF

A study on acoustical environment of classrooms (강의실 내 음환경에 관한 연구)

  • Lee Chai-Bong;Kim Yong-Ma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501-50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건축공간에 있어서 음환경에 대한 관심이 놓아지면서 학교 건축물에 있어서 강의실내의 음환경을 측정하고, 학교건축물에 대한 음환경 기준을 확립하는 데에 기초자료와 필요한 제안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음환경 기준은 단순히 소음fp밸이나 잔향 시간과 같은 단순한 물리특성만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강의실 내의 잔향시간, D, STI 등외 물리지표와 설문조사 등 주관적 평가를 통해 새로운 음환경 기준을 제시하려고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물리지표로는 TSP(Time-Streched-Pulse)신호를 사용하여 잔향시간과 D(Deutlichkeit), STI(Speech Transmission index)를 산출하였다. 강의실의 화자의 위치에서 1.5m 높이에 스피커를 놓고 청취자의 위치인 여섯 점에서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을 1.2m 높이에 놓고 마이크로폰으로 들어온 임펄스 응답을 측정하고, 강의실 내의 잔향시간과 D, STI를 산출하였다. 다음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앞에서 측정한 물리지표와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주관적 평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 PDF

Automation of electrical acoustic experimental apparatus for the directivity measurement of sound (소리의 지향성 측정을 위한 전기음향실험기기의 자동화)

  • Jarng, Soon-Suck;Ko, Jae-H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c
    • /
    • pp.574-576
    • /
    • 2004
  • The directivity of the sound pressure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incoming sound from specific directions. The directivity measurement of the sound pressure is usually done in an anechoic room using a sloping motor. In this paper a replaceable anechoic chamber was designed for the acoustic directivity pattern measurement. Electrical equipments were interfaced with a PC for experiment automatic control. Some comparative results are shown in the result.

  • PDF

The Lossless Compression Algorithm for Medical Images (의료영상에 적합한 무손실 압축 알고리즘)

  • 오명신;한승조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8
    • /
    • pp.34-4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일반 X-ray 필름을 사용하는 기존 아날로그 의료 영상 진단 체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포괄적인 영상관리 전송 시스템(PACS)에서의 효율 적인 영상 전송과 저장을 위해 병원에서 매일 다량으로 발생하는 의료 영상들 중 CT와 MR영상을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무손실 영상 압축 기법인 CRAC 압축 알고리즘을 설계하 였다. CRAC 압축 알고리즘에서는 CT와 MR 영상의 파일구조를 분석하여 런랭스 코딩에 적합하도록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전처리 작업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CT와 MR 영상에 최적 화 시킨 개선된 런랭스 알고리즘으로 1차 압축시켜 그 결과를 산술 부호화 알고리즘과 결합 함으로써 압축효율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CRAC 압축 알고리즘은 무손실 압축 기법으로, 의 료 영상을 압축한 수 손실 없이 원 영상을 그대로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PACS에서의 CT, MR 영상의 판독을 위한 단기 저장시에 적합한 압축 알고리즘으로 CT와 MR 영상의 무손 실 압축에 대해 새로운 전처리 방법을 제시하였고, 기존 무손실 압축 방법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압축률이 2.1%∼5.9% 정도 향상되었다.

  • PDF

Design for the Reflection Free Zone with the Adequate Initial Time Delay Gap at the Control Room (음향조정실에서 적절한 초기지연시간을 갖는 무반사지역의 설계연구)

  • Rhee, Esther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1
    • /
    • pp.32-41
    • /
    • 2007
  • The control room has been usually designed by the consideration of only one listening position for the sound engineer. By this study. many listening positions with the very similar acoustical condition were located in the specific region, so-called 'the reflection free zone', where the several engineer could evaluate the quality of sound at the same time. For constructing the reflection free zone, the control room has been designed by the concept of the $LEDE^{TM}$, and the initial time delay gap has been controled by the structure of control room and the properties of sound-absorbing materials. diffuser, Helmholtz resonator and image source of sound. The occurrence of any harmful phenomena like the standing wave, acoustic focusing. coloring. Hass effect and flutter echo, has greatly reduced in the reflection free zone.

Automatic control of experimental apparatus for sound's directivity measurement direction acoustic wave (소리의 방향성 측정을 위한 실험기기의 자동제어)

  • Jarang, Sun-Suck;Ko, Jae-Ha;Lee, Je-Hyeong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4.11a
    • /
    • pp.591-594
    • /
    • 2004
  • The directivity of the sound pressure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incoming sound from specific directions. The directivity measurement of the sound pressure is usually done in an anechoic room using a steping motor. In this paper a replaceable anechoic chamber was designed for the acoustic directivity pattern measurement. Electrical equipments were interfaced with a PC for experiment automatic control. Some comparative results are shown in the result.

  • PDF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Anechoic Chamber (무향실의 설계 및 제작)

  • 이득웅
    • Journal of the KSME
    • /
    • v.35 no.10
    • /
    • pp.896-902
    • /
    • 1995
  • 소음의 저감 대책은 소음원의 소음 감쇠, 소음 전달 경로의 소음 저감 및 수음자에 대한 대책 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소음원의 소음 저감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소음원의 주파수 특 성을 정확하게 분속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자유음장이라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음향학적 으로 자유음장이란 점음원으로부터 무지향적으로 방사되는 음의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 )을 따르는 음장으로 정의된다. 이는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두 배 증가함에 따라 음압레벨이 6dB 감소함을 의미한다. 즉, 주변 소음으로부터 발생한 음이 다른 물체나 벽으로부터 반사된 반사음 이나 회절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음장을 말한다. 자유음장은 자연계에서 극히 제한적으로 존재 하지만 인간이 측정장비 및 측정 대상물을 이동시켜 이용할 수 없으므로 인공적인 시설로서 무 항실을 만들어 자유음장 환경을 조성한다. 이 글에서는 무항실의 특성 및 국내에서 시공되는 무향실의 설계 및 제작 과정을 간단히 소개하고 현재의 국내 무항실의 수준과 앞으로 나아갈 방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Acoustic Performance of Music Halls Using Measure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국악기의 음향방사특성에 따른 국악당의 음향성능조사)

  • Haan Chan-Hoon;Lee Wangu;Jeong Cheol-H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8
    • /
    • pp.469-480
    • /
    • 2005
  • There have been always some difficulties in target setting and conditioning of acoustic performances 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hall due mainly to the lack of the information on the sou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sources. As the 2nd experiment succeeding the previous study[1],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eight typical Korean traditional musical sources were investigated if precision. The selected musical sources were Geomungo, Haegeum (string), Piri, Taepyeongso (woodwind), Buk, Kwaengguari, Jing (drum), and male Pansori Chang (voc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directivity pattern of each instrument is different and has their own directivity characteristics. Measured directional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ources were implemented into the computation of architectural acoustic measur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oustic measures at receiver posi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results in using the omni-directional source and the directional 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s depending on the spatial variation four different shapes of halls were introduced including rectangular, fan. horse-shoe and geometrical shapes. Room acoustical parameters such as RT, SPL, C80, LF, STI were calculated at each type or hall. As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ectangular hall has the most high clarity. lateral energy and STI values among low shapes of halls. It is thought that the suggested source data and design method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in the future acoustic design of performance hal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