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형문화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2초

프랑스 미식 문화의 사례를 통해 본 음식 문화의 유산화(heritagization)와 활용 및 가치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ritagization of food culture and its utilization and value enhancement through the case of the Gastronomic meal of the French)

  • 박지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4호
    • /
    • pp.296-312
    • /
    • 2022
  •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창조된 유산으로서 오랜 역사를 지닌 프랑스의 미식 문화의 사례를 통해 유산화(heritagization)의 개념 및 과정, 나아가 유산적 차원에서의 음식 문화의 지속가능한 가치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유산은 한 사회가 전승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산은 한 사회가 보존하기로 선택한 대상이자 그 사회 또는 집단의 정체성을 상징한다. 프랑스는 19세기에 역사적 기념물의 보전을 위해 정책적으로 유산을 지정 및 보호하기 시작하였으며, 유산은 사회적 구축의 창조물로서 가치를 보존·증진하는 대상이 되었다. 세계화와 함께 확산된 유산에 대한 관심은 1972년 유네스코의 국제기구 협약을 기점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은 점차 자연 및 도시적 관점의 경관이나 무형문화유산에까지 확장되었고, 2003년에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 채택되면서 세계 각국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한편 음식 관련 유산의 경우 등재기준 설정의 어려움과 잠재적 상업화 가능성의 이유로 목록에서 배제되어왔다. 그러나 2010년에 지중해·멕시코·프랑스의 음식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됨으로써 음식 문화에 대한 관심은 물론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음식 유산 등재에 대한 노력을 촉발시켰다. 프랑스의 음식 문화에 대한 관심은 자국의 문화유산이자 국가적 정체성으로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미식가들과 협회 등 민간단체는 물론 정부차원에서도 국가적 정체성과 유산으로서 미식 문화의 보전 및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고, 이론적 논의는 물론 유산목록 작성과 관련 정책을 통해 미식 문화를 유산으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미식도시 네트워크, 국가 식품 프로그램, 프랑스 미식의 해 추진 및 라벨링 등 제도적 접근을 통해 유산의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인쇄문화대상.직지상 수상자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제7권9호
    • /
    • pp.88-89
    • /
    • 2008
  • 2008년도 인쇄문화대상 수상자가 확정됐다. 대한인쇄문화협회 포상심사위원회는 최근 인쇄문화대상 수상자로 경영부문 대상에 조정석 (주)대원문화사 사장, 기술부문 대상에 이재환 태양씨앤피 사장, 진흥부문 대상에 김상래(주)성도GL 사장, 특별부문 대상에 홍종진 배첩장(무형문화재), 직지상에 한행수 (주)두산인쇄 반장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시상은 오는 9월 18일 오후 5시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리는 대한인쇄문화협회 창립 60주년 기념식장에서 정부포상과 함께 이루어진다.

  • PDF

역사탐구-세계를 빛낸 한국의 문화유산

  • 김광륜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호
    • /
    • pp.196-203
    • /
    • 2002
  • 현존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 직지심체요절이 지난해 9월 유네스코의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됨으로써 5천년 문화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기록문화유산 4건을 비롯 해인사대장경판 등 세계문화유산 7건, 무형유산 1건 등 12건의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세계유산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인쇄’ 또는 이와 관련된 것들이다. 문화재청의 자료협조를 받아 세계유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문화재보호제도와 전통 담론 (The Protection System of Cultural Property and the Discourse of Tradition)

  • 정수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172-187
    • /
    • 2014
  • 이 글은 문화재보호제도에서 전통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정의되고 통용되어 왔는지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오늘날과는 다른 의미로 쓰이던 '문화재'와 '전통'이 조우하게 되는 역사적 과정과 그 결합 양상을 살피고, 두 용어의 관계맺음이 이후 문화재보호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또 그 제도 운영 과정에서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를 고찰했다. 그러고 나서 문화재보호제도에서 견지해온 전통론이 균열되는 지점과 그 원인을 총괄적으로 짚어보았다. 이 글은 전통을 '과거로부터 현재로 전승된 모든 것'이라고 정의하는 기존의 통념과 달리, 과거와의 필연적인 연속성을 내세우려는 헤게모니적 실천을 통해 비로소 현재화된 것이라고 보는 비(非) 본질주의적 관점을 견지했다. 이 관점에서 보자면, 문화재와 전통의 관계를 살피는 것은 곧 국가 헤게모니 속에서 전통이 공식적으로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가를 고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문화재야말로 국가 차원에서 운영되는 제도의 산물인 까닭이다. 1920년대부터 이어져온 문화재 관련 제도의 변천 과정 속에서 전통은 고정적이고도 본질적이며 순수한 실체로 개념화되었다. 이러한 본질주의적 전통관은 그간 문화와 문화재를 천착한 수많은 연구들 속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관점으로 줄곧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오늘 우리는 이 전통관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음을 목도하고 있는 바, 급변하는 세계 경제 질서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을 둘러싼 등재 경쟁은 기존의 제도를 지탱해온 지적 담론으로서 전통론의 전격 선회를 견인하고 있다.

팔엽심련만다라(八葉心蓮曼陀羅)의 의미분석과 시각화 (Semantic Analysis and Visualization on The Palyupsimryun Mandala)

  • 김경덕;김영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68-67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전통문화유물 중 고도의 정신세계를 나타내는 팔엽심련만다라의 특징과 구조적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화를 기술한다. 다양한 국외 만다라에 대한 연구가 소개되고 있으나, 현존하는 한국의 만다라에 대하여 그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팔엽심련만다라의 종자를 형상 위주의 만다라에서 나타난 존상과 매칭하여 시각화하고, 이런 과정을 통하여 우리 고유의 종자(種字)만다라가 기존 금강계만다라와 태장만다라가 융합된 만다라로서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응용 분야로는 만다라의 캐릭터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게임 등이다.

<진주검무>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의 변화에 관한 소고 (An Essay on the Change of Jinju Sword Dance after being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 이종숙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1호
    • /
    • pp.4-21
    • /
    • 2016
  • 본 연구는 <진주검무>가 1967년 1월 16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이래 변화되고 있는 모습과 그 변화의 특징 및 보존 전승의 현황을 파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진주검무>가 대를 이어가면서 변화를 거듭했고, 그로써 현재의 춤을 정립하게 된 정황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진주검무>는 1967년부터 2015년 현재 3대째의 보유자를 인정하였다. 제1세대 보유자는 권번 기녀 출신 8인이 1967년 인정되었다. 보유자들 간의 불화와 일부 보유자의 사망, 개인적인 경제활동 등의 이유로 전승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전승교육과 활동의 구심점이 필요한 가운데 1978년 6월 21일에 성계옥이 제2세대 보유자로 추가 인정되었다. 비 기녀출신 성계옥의 활동 시기에는 <진주검무>의 새로운 시도와 변화를 가장 크게 보였다. 2009년 성계옥의 사망 후 제3세대 보유자는 김태연과 유영희로 2010년 2월에 인정되었다. 1966년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부터 2014년의 영상을 기초하여 비교한 춤과 그 주변의 변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주음악편성에 3세대 간 변화가 있었다. 1세대 영상(1970년)은 약 15분 공연했는데, 2세대 영상(2002년)는 25분여를 춤추도록 했다. 염불도드리 장단을 긴염불(상령산)로 해석하여 느리게 연주하였고, 본래 염불 15장단의 춤을 39장단까지 추가함으로써 시간을 길게 했다. 3세대(2013 2014년)에는 다시 15장단으로 환원된 춤을 추고 있다. 다만 긴염불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면서 1세대 때는 3분간 추었던 염불을 3세대에서는 5분여를 춤추고 있어서, 2세대로부터 느림을 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춤 구성면에서 2세대에는 긴염불을 20여 장단 추가하면서 아(亞)자 모양의 춤 대형구성이 추가되었다. 3세대 공연에서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춤사위 면에서 방석돌이 동작의 허리재기가 눈에 띄게 유연성을 잃어가고 있는 양상이다. 또 1장단의 시가가 늘어진 경향을 보인다.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당시 1967년에는 칼 목이 돌아가는 것을 사용했는데, 2세대 보유자에 의해 1970년대 말부터 현행과 같이 칼목이 돌아가지 않는 것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칼의 모양도 1966년의 "조사보고서"는 반월형의 뾰족한 모습인데, 현재와 같은 직선형 칼을 사용한 것은 1970년 영상에서부터 보인다. 전립과 전복, 한삼착용의 기본 양식은 변화가 없으나, 한삼 색동 배열이 "조사보고서"와 달라졌다. 또 남색치마를 입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진주검무>는 지정 이후 약 50년 동안 변화가 능동적으로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로 제2세대 성계옥 보유자를 주축으로 변화가 일어났다. 중요무형문화재의 전승과 보존이라는 명제에서 볼 때, 춤 종목은 장단과 춤의 조화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서 검무의 오랜 전통성을 보존 전승하려는 노력이 강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학습 형식이 양면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 지원 인식의 매개 및 관계 문화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Learning Type on Ambidextrous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al Culture)

  • 박영용;권상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88-401
    • /
    • 2019
  • 본 연구는 학습 형식이 탐험과 활용이라는 양면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프로세스에 관해 구성원들이 인지하고 있는 조직 지원과 관계 문화의 특성은 어떤 매개 또는 조절효과를 발휘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제공하는 인적 자본 기업 패널 조사를 활용, 설문에 응답한 548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성원들에게 제공되는 형식 학습과 무형식 학습은 기업의 성과인 탐험 성과와 활용 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들이 느끼는 조직 지원 인식은 형식 학습과 무형식 학습이 양면적 조직성과에 미치는 방향에 대해 완전매개,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계 문화는 무형식 학습이 조직의 활용 성과에 미치는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해주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법우 송재섭 승무의 가치 연구 (A Study on the Seungmu of Bup Woo Song Jae-Sub)

  • 최석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311-317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시지정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된 법우 송재섭 승무에 관한 문헌연구이다. 승무는 국가지정문화재와 시도지정문화재로 구분된다. 국가문화재로 지정된 승무의 경우 비교적 많은 연구결과가 있으나, 시도문화재로 지정된 법우 송재섭 승무에 대한 연구결과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승무 예능보유자인 법우 송재섭의 생애를 파악하였으며 한국 전통춤인 승무의 춤사위, 진행장단, 무복·무구 등을 살펴보고 법우 송재섭 승무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법우 송재섭의 승무는 부드러운 모습을 담아 내는 것이 특징이며, 자연에 동화되고 순응하는 과정을 춤사위에 녹여 내었고, 자신보다는 상대방의 의견을 먼저 생각하는 겸손의 미학을 담고 있다. 법우 송재섭의 승무는 겸손과 유연함이 춤으로 표현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