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통각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volvement of Serine Phosphorylation of Spinal Cord NR-2B Subunit of the N-methyl-D-aspartate Receptor Following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전침자극이 척수 N-methy1-D-aspartate receptor외 NR-2B Subunit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 Kang, Byeol-Rim;Choi, Byung-Tae;Yoon, Hyun-Min;Min, Young-Kwang;Ahn, Chang-Beoh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4 no.2
    • /
    • pp.63-71
    • /
    • 2007
  • 목적 : 저주파에 해당하는 2Hz 전침 자극이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의 NR-2B subunit의 발현 및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Sprague-Dawley계 흰쥐를 Storkson등의 방법에 의해 척수막의 지주막하강에 catheter를 삽입하는 수술을 행한 후 마비등의 척수 손상을 나타내지 않는 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N-methyl-D-aspartate (NMDA) antagonist인 D-2-amino-5- phosphonopentanoic acid (AP-5)를 투여한 후 족삼리와 삼음교에 해당하는 부위에 30분간 전침 자극하였다. 무통각 여부는 hot plate test를 시행하였으며 NMDAR NR-2 subunit 발현과 인산화 여부는 Western blot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 : 전침 무통각은 전침 자극 후 180분 후까지 지속되었으며 NMDA antagonist인 AP-5를 투여하였을 때 전침 무통각이 저하되었으나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Western blot 분석으로 보아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의 발현은 전침자극에 의해 미약한 증가를 보이나 AP-5투여에 의해 현저한 저해를 보였다. 면역조직화학에 의한 척수배각 구역별 발현을 보면 NMDAR NR-2B 및 인산화 NR-2B는 전 배각에 걸쳐 관찰되나 경부(층판 V-VI)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전침 자극에 의한 각 군별 NR-2B 발현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는 천층(층판I-II) 및 고유핵 층판(III-IV)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전침 자극시 AP-5 투여는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인산화 NR-2B 발현을 저해하였다. 결론: 저주파 2Hz 전침에 의한 무통각은 NMDA antagonist인 AP-5 투여에 의해 저해될 뿐 아니라 NMDAR NR-2B subunit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전침 무통각의 과정에 NMDAR 및 NMDAR NR-2B의 인산화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 PDF

Therapeutic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the Trigger Points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

  • Cho, Soo-Hyun;Park, June-Sang;Ko, Myung-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331-343
    • /
    • 2000
  • 구강안면통증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임상 효과는 많은 임상가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여 구강안면부위의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저작근 중 교근, 측두근과 경부근육 중 승모근에 발통점을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69명중 37명은 레이저 조사군, 32명은 레이저 모의 조사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둘째 방법으로 동일 근육에 발통점이 있는 19명의 환자와 발통점이 전혀 없는 20명의 정상인을 무작위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다시 레이저 조사군과 모의 조사군으로 나누어 실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와 위약효과를 평가하였다. 50mW, 820nm의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첫 주는 2회, 이후 3주 동안 각 1회씩 총 5회를 조사하였고, 레이저 모의 조사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반응은 전자통각계를 이용하여 압력통각역치를 치료 전, 치료 2주 및 4주에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 조사군의 각 근육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5), 모의 조사군과의 차이는 이후 점점 더 증가하였다(P<0.001). 모의 조사군에서는 압력통각역치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보다 그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정상 대조군은 레이저 조사와 관계없이 압력통각역치에 유의성이 없었다. 3. 약간의 위약 반응이 레이저 모의조사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관찰되나,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실제 레이저 치료효과가 위약 반응보다 우세하였다.

  • PDF

Clinical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the Trigger Points of Orofacial Pain Patient (구강안면동통 환자의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치료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연구)

  • Ko, Myung-Yun;Park, June-Sang;Cho, Soo-H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4 no.3
    • /
    • pp.269-280
    • /
    • 1999
  • 구강안면동통환자의 발통점에 대한 보존적 치료방법중 저출력레이저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교근, 측두근과 승모근에 발통점을 가진 치과대학생 69명을 무작위로 분류하여 37명에게는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조사하였고 나머지 32명은 레이저를 실제로 조사하지 않고 대조군으로 삼았다. 50mW, 820nm의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첫 주는 2회, 이후 3주 동안 1회씩 총 5회 조사하였고 전자통각계를 이용하여 압력통각역치를 측정한 후 이를 대조군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 및 조사군과 비조사군의 치료 전 압력통각역치는 차이가 없었다. 2. 조사군의 각 근육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하게 높아졌으나 비조사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비조사군의 치료 전, 후 압력통각역치에는 성 차가 없었다. 반면 종사군의 압력통각역치는 치료 전에는 성 차가 없었으나 치료 후에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 PDF

Effect of Intracellular Calcium Chelator on Phosphorylation of Spinal N-Methyl-D-Aspartate Receptor following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in Rats (칼슘 저해제가 전침자극에 의한 척수 N-Methyl-D-Aspartate 수용체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 Jung, Taek-Guen;Cho, Sung-Woo;Kang, Yeon-Kyeong;Chang, Dong-Ho;Lee, In-Seon
    •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
    • v.20 no.1
    • /
    • pp.27-36
    • /
    • 2010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role of intracellular calcium chelator, bis-(2-aminophenoxy)-ethane-N,N,N',N'-tetraacetic acid(BAPTA), on the modulation of phosphorylation of the spinal N-methyl-D-aspartate receptor(NMDAR) NR1 and NR2B subunits following electroacupuncture(EA). Methods : Bilateral 2 Hz EA stimulation with 1.0 mA was delivered at those acupoints corresponding to Zusanli(ST36) and Sanyinjiao(SP6) in man via needles for 30min. Results : EA analgesia was re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at a higher dose of BAPTA from termination of EA stimulation. At 60 min after EA treatment, the total number of c-fos-immunostained neurons in each regions of the dorsal horn in the $L_{4-5}$ segments was decreased by BAPTA injection, especially in nucleus proprius. The mean integrated optical density (IOD) of NR1 and NR2B subunits were increased only in superficial laminae of EA-treated rats when compared with normal rats. However, the mean IOD of pNR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BAPTA injection in both the superficial laminae and neck region and pNR2B in the superficial laminae. Western blot analyses confirmed the decreased expression of pNR1 and pNR2B. Conclusions : We concluded that intracellular calcium may well play an important role in EA analgesia by modulating the phosphorylation state of spinal NMDAR subunits.

Effect of Microcurrent Therapy on Interleukin-6 Expression in Adjuvant Induced Rheumatoid Arthritis Rat Model (미세전류치료가 아주반트 유도 류마티스관절염 유발 흰쥐의 인터루킨-6 발현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Min;Lee, Sang-Yeol;Chang, Jong-Sung;Lee, Myoung-Hee;Kang,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 /
    • v.5 no.4
    • /
    • pp.551-558
    • /
    • 2010
  • 연구목적 : 미세전류 자극이 아주반트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한 실험동물의 염증반응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발허리발가락관절내 염증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인터루킨-6(interleukin-6)의 발현과 핫플레이트(hot plate)를 이용한 발도피지연시를 측정하여 미세전류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실험동물은 무작위로 대조군(n=18)과 미세전류를 적용한 실험군(n=18)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당 6마리씩 1일군, 7일군, 14일군으로 배정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유발후 1일, 7일, 14일에 모든 실험동물의 열통각 역치를 나타내는 발도피지연시와 발허리발가락관절내 인터루킨-6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집단 내의 기간에 따른 발도피지연시와 인터루킨-6의 면역반응성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Duncan의 다중범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주반트 주사 1일후,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인터루킨-6 면역반응성과 발도피지연시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2) 인터루킨-6 면역반응성은 아주반트 주사 7일, 14일 후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3) 발도피지연시는 아주반트 주사 7일, 14일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결론 : 이상의 결과로부터, 미세전류 자극이 아주반트로 유발된 류마티스관절염 모델에서 활액 조직내 염증반응을 감소시키고 열통각역치는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ifference of Sensory Changes by Central and Peripheral Stimulation for Improving Life Care in Chronic Low Back Patients (만성 허리통증환자의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중추성과 말초성 자극에 따른 감각변화의 차이)

  • Kim, Kyung-Yoon;Park, Chi-Bok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8
    • /
    • pp.221-230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ensory changes by central and peripheral stimulation for improving life care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Twelv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entral stimulation (CS, n=6) and peripheral stimulation (PS, n=6). Quantitative sensory test (QST), pressure pain threshold (PPT) and Korean oswestry back pain disability index (KODI) were used to quantitatively measure and analyze. As a result, QST, PPT and KOD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period (p<.01) but did not showed an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5). Therefore, both stimula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creased sensory threshold and function improvement of the muscles that became sensitive due to pain. It is thought to be significant in improving life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otulinum Toxin type A injection Versus Lidocaine Injection for Myofascial Pain Involving upper Trapezius (승모근 근막동통에 대한 보툴리눔 독소와 리도카인 주사의 치료효과 비교)

  • Ahn, Sung-Woo;Park, Eun-Hee;Kim, Mee-E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0 no.3
    • /
    • pp.345-3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double-blind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effects of botulinum toxin type A (BTX-A) injection on myofascial pain syndrome (MPS) involving upper trapezius and compare with those of lidocaine injection. 21 patients presenting with active TrP1 and/or TrP2 in the upper trapezius over 6 month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njected with BTX-A (15 unit of $Botox^{(R)}$ / 0.3 ml per trigger point (TrP)) and the other group injected with 0.5% lidocaine (0.3 ml /TrP). The clinical effects were evaluated by VAS and PPT at baseline, 2, 4, 6 and 8 weeks after treatment. BTX-A group showed persistent decrease of VAS values and increase of PPT values following treatmen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values between BTX-A and lidocaine groups (p=0.347),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PT values after treatment between two groups (p=0.000). The subjects received BTX-A showed noticeable improvement in PPT values after treatment, suggesting more reliable effect of BTX-A injection compared with lidocaine inj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the direct injection of BTX-A to a TrP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MPS involving upper trapezius.

The Effects of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Complex Pain Scales of Neck-Shoulder in 20s Adults with VDT Syndrome due to prolonged Smartphone Use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으로 VDT증후군을 가진 20대 성인의 체외충격파적용이 목-어깨의 복합적 통증지수에 대한 효과)

  • Seo, Kyo-Chul;Park, Seung-Hwan;Cho, Mi-S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1
    • /
    • pp.135-14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for the neck-shouler muscles of complex pain scales of the 20s adults with VDT Syndrome to prolonged smartphone use. Twenty subjects with neck pain due to VDT syndrom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10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Experimental subjects were conducted for 4 weeks, 5 days a week.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2000 times at an intensity of 5 Hz and 2.0 bar once,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self-stretching exercise for 30 minutes once. Subjects measured and compared neck-shoulder pain with VAS and PP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SPSS win 18.0, and correspondence comparis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more in VAS and PPT of the neck-shoulder muscle. but the control group was no difference. Though these results,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was showed a reduction in pain after treatment than before treatment but there are no difference in the pain reduction after self-stretching exercise. Thus,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variety of treatments to reduce neck-shoulder pain as a cause of VDT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