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토양 재배

Search Result 43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rm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 Solution and Root Media in Recycled Soilless Culture Systems (순환형 무토양재배시스템 양액 및 배지의 열적 특성)

  • 손정익;장진택;이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59-61
    • /
    • 1997
  • 무토양재배시스템은 가급적 경량화이면서 집약적인 형태를 가지며, 환경보존차원을 위하여 밀폐형 순환식 재배시스템이 중시되고 있다. 무토양재배시스템은 DFT에서 NFT나 고형배지로 갈수록 외기의 환경변화에 대하여 비교적 근권부근의 환경변화가 크기 때문에 노출되어 있는 뿌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략)

  • PDF

Changes of Pepper Yield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Green Manure Crops and No-Tillage Organic Cultivation (무경운 유기재배에서 녹비작물별 고추의 수량과 토양 화학성 변화)

  • Yang, Seung-Koo;Seo, Youn-Won;Kim, Yong-Soon;Kim, Sun-Kook;Lim, Kyeong-Ho;Choi, Kyung-Ju;Lee, Jeong-Hyun;Jung, Woo-Ji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9 no.2
    • /
    • pp.255-272
    • /
    • 2011
  • This work studied the growth and yield of green crops, changes of mineral composition in greenhouse soil and green crops, and infection with wintering green crops cultivation in greenhouse field. At 74 days after seeding of wintering green crops, dry matter was 710kg/10a in rye, 530kg/10a in barley, 230kg/10a in hairy vetch, and 240kg/10a in bean or weeds. Total nitrogen content in green crops was 4.5% in pea and hairy vetch, and 3~4% in barley and rye. $P_2O_5$, CaO, and MgO contents in all green crops were about 1.0%, and $K_2O$ content was the highest level by 4~5% among macro elements. Total nitrogen fixing content in shoot green crops uptaken from soil was 22.1kg/10a in rye, 20.6kg/10a in barley, 10.6kg/10a in hairy vetch, and 9.6kg/10a in pea and giant chickweed. $P_2O_5$ fixing content in shoot green crops uptaken from soil was 8.4kg/10a in rye, 6.3kg/10a in barley, and 2.3 kg/10a in hairy vetch and pea. $K_2O$ fixing content in shoot green crops uptaken from soil was 28kg/10a in rye, 24.7kg/10a in barley, and 11kg/10a in hairy vetch and pea. CaO fixing content in shoot green crops uptaken from soil was 2~3kg/ 10a in all green crops, and MgO fixing content was 1.7~2.6kg/10a in all green crops. Pepper growth in no-tillag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green manure crops. The number of fruit and fruit weight were higher in control, pea, hairy vetch and harvest barley than rye and barley. Soil mineral compositions in wintering green crops increased at pH, organic matter, CEC compared with control. Soil chemical compositions were stable level at green crops cultivation according as decreases of EC, available phosphoric acid, Ca, and Mg contents. After no-tillage by green manure crops, pH in soils was higher in green manure crops than control. EC content in soils was lower in green manure crops than control, and was remarkably low level in barley harvest. Organic matter content in soils increased in hairy vetch and barley green manure but decreased by 35% in barley harvest. Total nitrogen and avaliable $P_2O_4$ content in soils remarkably increased but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green manure crops. Cation (K, Ca, and Mg) content in soils decreased by 15~20% in K, 2~11% in Ca, and 3~6% in Mg at rye, barley and pea compared with control.

Temperature Distribution of Nutrient Solution and Root Media in Recycled Soilless Culture Systems (순환형 무토양재배시스템의 양액 및 배지내 온도분포)

  • 손정익;박종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62-64
    • /
    • 1997
  • 작물생육은 근권 부근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운 단순 경량화된 순환형 무토양재배시스템내의 양액 또는 배지의 온도 변화를 파악하여 환경조절을 통한 적정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면, 작물의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순환식 무토양재배시스템의 위치별 온도 분포 및 배양액의 공급 과 온도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No-Tillage Agriculture of Korean-Style on Recycled Ridge III. Changes in Pepper Growth and Biodiversity at Plastic Film Greenhouse Soil in Organic Cultivation of No-tillage Systems (두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 III. 시설 무경운 유기재배 고추의 생육 및 생물다양성의 변화)

  • Yang, Seung-Koo;Shin, Kil-Ho;Kim, Sun-Kook;Kim, Do-Ik;Han, Yeon-Soo;Jung, Woo-Ji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5 no.1
    • /
    • pp.71-84
    • /
    • 2017
  • Hot pepper growth in no-tillage cultivation on recycled ridge was increased by 22% compared with tillage cultivation. At 3 years after no-tillage cultivation, hot pepper growth was increased by 12% compared with tillage cultivation. Dry weight of unripe hot pepper at 2 years of no-tillage cultivation was 348.4 kg/10a increasing 16% compared with tillage cultivation while dry weight of unripe hot pepper was decreased at 3 years of no-tillage cultivation. Bacteria flora at 2 years of no-tillage cul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illage cultivation. Bacteria flor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3 years of no-tillage cultivation. Actinomyces flora at 2 years of no-tillage cultiv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illage cultivation. Actinomyces flora was decreased at 3 years of no-tillage cultivation. Fungi flora at 2 and 3 years of no-tillage cultivation was increased by 1.3 and 1.7 times respectively, compared with tillage cultivation. Generation amount of carbon dioxide at no-tillage cultivation soil was remarkably decreased by 41% compared with tillage cultivation. Population of animalcule in early stage of hot pepper soil was 2 species and 6 individuals on Collembola and Acari at tillage cultivation. Population of animalcule in hot pepper soil was 5 species and 11 individuals including Chilopode at one year of no-tillage cultivation. Population of animalcule in hot pepper soil was 3 species and 5 individuals including Coleoptera and Chilopode at 2 years of no-tillage cultivation. Population of animalcule was 4 species and 40 individuals including Hypogastrurigae and 8 species and 97 individuals including Earwig (Labidura japornica) at 46 days after transplanting on tillage cultivation. Population of animalcule was 9~10 species and 101~107 individuals on no-tillage cultivation. Nature status for environmental change as index organism was 19 points and 33 points, at tillage and no-tillage cultivat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tillage agriculture of korean-style on recycled ridge plays a very important roles on pepper growth, biodiversity of animalcule, and greenhouse gases at plastic film greenhouse soil in no-tillage systems.

녹비작물과 고추재배에 의한 시설 유기토양 이화학성 변화

  • Yang, Seung-Gu;Seo, Yun-Won;Kim, Hyeon-U;Lee, Yu-Seok;Choe, Gyeong-Ju;Lee, J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8.12a
    • /
    • pp.87-102
    • /
    • 2008
  • 시설재배 토양에 녹비작물 재배와 고추재배, 휴경을 반복하면서, 외부 유기자재 투입을 최소화 하고 2년 동안 토양에 물리, 화학성에 변화를 추적하여 궁극적으로 녹비작물을 이용한 유기고추 시설 무경운 재배기술을 개발 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1. 고추 시설재배지 녹비작물 재배가 녹비 수량 및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시설재배지의 겨울 녹비작물을 1월 30일 파종하여 4월 5일에 조사한 결과 수량은 호밀과 보리녹비가 $518{\sim}677kg/10a$로 완두콩과 헤어리베치 $287{\sim}354kg/10a$에 비하여 건물수량이 현저하게 많았다. 녹비작물의 식물체내 총질소 함량이 완두콩과 헤어리베치, 보리가 호밀에 비하여 많았으며, 보리가 타 작물에 비하여 $P_2O_5$, $K_2O$ 함량이 높았고, 두과작물인 완두콩과 헤어리베치가 화본 과인 호밀과 보리녹비에 비하여 CaO과 MgO 함량이 많았다. 녹비작물의 토양중 무기성분 고정량이 화본과인 호밀과 보리녹비의 총질소량은 10a당 $17{\sim}18kg$, $P_2O_5$, 4.7kg, $K_2O$ $31{\sim}33kg$ 수준으로, 두과 녹비작물인 완두콩과 헤어리베치에 비하여 총질소, $P_2O_5$, 양이온인 $K_2O$ 높았으나, CaO과 MgO 고정량은 큰 차가 없었다. 2. 녹비작물 재배 후작 유기재배 고추의 생육 및 수량 겨울 재배 녹비작물을 트렉터로 로터리 작업하여 토양에 환원한 후 홍고추를 2007년 4월 27일 정식하여 조사한 결과 생육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추 수량은 호밀녹비 재배지가 헤어리베치 재배지에 비하여 증수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시설재배지 2차 녹비작물 재배 시 녹비수량 및 토양 이화학성 2007년 12월 18일 2차 녹비작물을 파종 재배하여 생육량을 조사한 결과 건물 수량은 10a당 호밀은 720kg, 보리는 528kg, 헤어리베치는 230kg, 완두콩과 잡초는 217kg 수준이었다. 녹비작물 생체중의 일일 증가량은 호밀과 보리는 100kg/10a/day, 헤어리베치는 10a당 65kg 정도가 하루에 증가되었다. 녹비작물의 총질소 고정량은 화본인 보리와 호밀 녹비작물이 두과작물보다 건물수량이 많아서 2배정도 많았고, 인산은 $2.7{\sim}3.7$배, 가리의 고정량은 $2.2{\sim}2.6$배 정도 많았다. 4. 녹비작물 재배 후작 무경운 고추 유기재배의 생육 및 수량 2차 녹비작물 재배 토양에 무경운으로 풋고추를 2008년 4월 1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녹비작물 종류에 따른 고추의 생육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고추 수량은 무처리와 보리예취 이용 처리 및 녹비 생산량이 적은 완두콩 재배지에서 많았다. 5. 녹비작물과 고추 유기재배에 따른 시설토양 이화학성의 경시적 변화 비닐온실내의 토양에 무기화학성의 경시적 변화를 추적하여 본 결과 토양 pH는 녹비작물 재배 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고추재배 후에는 다시 토양 pH가 감소되었다. 토양에 EC는 녹비작물 재배 후 감소되었으나, 고추재배 후에는 다시 토양 EC농도가 증가되었다. 1차 녹비작물 재배 후에는 토양에 증가되었으나, 고추 재배 후에는 유기물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에 총질소 함량은 녹비작물 2회 재배와 첫 번째 고추재배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두 번째 고추재배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인산에 함량은 녹비작물재배와 고추 재배 시 미미하지만 공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양이온 치환용량과 양이온인 토양 K, Ca, Mg함량은 녹비작물과 고추재배 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고추재배에서는 같은 경향을 보였다.

  • PDF

Estimation of Transpirtion Rate using a Metering Pump in Soilless Culture System and its Application (정량펌프를 이용한 무토양 재배시스템의 증산량 추정 및 그 응용)

  • 손정익;박종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11a
    • /
    • pp.34-35
    • /
    • 1997
  • 무토양재배에서의 효율적인 관수량 결정은 정확한 증산량에 근거한다. 작물의 생육과 환경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서 실제의 재배시스템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증산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가능하더라도 대규모의 시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작물의 실제 증산량을 위해서 개체 측정 등의 대표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증산량 측정을 위해서 정량펌프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의 구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관수량 제어를 위한 환경과 증산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중략)

  • PDF

Effects of No-Tillage on Pepper Growing in the Greenhouse with Organic Soil (시설 고추 무경운 유기재배 효과)

  • Yang, Seung-Koo;Seo, Youn-Won;Kim, Hyun-Woo;Kim, Byeong-Ho;Kim, Yong-Sun;Im, Gyeong-Ho;Kim, Hong-Jae;Kim, J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87-287
    • /
    • 2009
  • 우리나라의 시설재배면적은 51,237ha에 이르며 수경재배 면적을 제외하면 대부분 경운재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운 작업은 대형 농기구를 이용하여 경운하기 때문에 시설내 토양 입자가 단립으로 잘게 부서지며 대형농기구로 인하여 토양이 답압되고 경운층 아래 경반층이 형성되어 뿌리 발육과 배수 불량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경운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관수시설과 지주, 멀칭을 제거한 후 유기물을 투입하고 2~3회 경운작업 후 다시 소형농기구를 이용하여 이랑을 조성한다. 그리고 제거된 관수시설, 멀칭, 지주를 다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설의 경운재배는 가장 고통스러운 악성노동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시설 고추 유기재배 시 무경운재배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전남 나주시 남평읍 평산리 "JD 중동통 미사질양토"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2009년 3월 11일 "녹광" 고추 품종을 재식 거리 135${\times}$38cm로 정식하여 7월 27일까지 재배한 후, 시험포를 1/2로 나누어 트렉터를 이용하여 경운작업을 실시하고 2009년 8월 1일 억제작형으로 "녹광" 고추 품종을 정식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시험포 1/2은 전작물을 재배한 이랑에 경운작업을 생략하고 전작물 고추의 식물체는 지제부를 절단하여 분해되도록 고랑을 피복하였으며, 고추 포기와 포기 사이에 무경운으로 고추를 정식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고추 정식 전 7월 30일에 경운 시험포에 10a당 29톤의 물을 관수하였으며, 무경운 시험포에는 10a당 48톤의 물을 관수하고, 관수 2일 후 시험포의 습도와 이랑에 발생되는 균열수를 조사하였다. 이랑의 수분함량은 표토 0.23%, 토양 30cm 깊이의 수분함량은 0.18%로 경운방법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토양 20cm 깊이의 수분함량은 경운은 0.25%, 무경운은 0.14%로 경운재배 토양에 비하여 뿌리의 주요 분포지역인 작토층의 수분함량이 44% 정도 낮았다. 그리고 경운재배 이랑에서는 7~35cm 정도 되는 균열이 m당 22개정도 발생되었으나 무경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설 토양의 생물다양성 지표가 되는 미소동물의 분포를 조사한(9월 16일) 결과 경운재배 토양에서는 보리톡톡기 등 8종 97개체가, 무경운 토양에서는 10종 101개체가 포획되었다. 경운 방법에 따른 시설 유기재배 고추의 수확과수는 주당 139~141과, 수량은 1,367~1,431g/주가 수확되고 10a당 수량은 경운재배가 2,790kg, 무경운재배는 2,666kg이 생산되어 경운방법에 따른 수량 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경운방법에 따른 경영비를 분석한 결과 무경운은 경운재배에 비하여 10a당 유기질 비료비 178천원, 대농구상각비 211천원, 노력비 261천원의 절감으로 경운재배 경영비 4,815천원/10a 대비 약 14%의 경영비가 절감되었다. 그리고 작기마다 반복되는 경운작업과 관수시설, 멀칭, 지주설치 작업을 1회 설치 작업으로 연속사용이 가능하여 시설재배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악성노동의 회피가 가능하였다.

  • PDF

Reduction of NPS pollution in the No-till field (무경운을 적용한 밭에서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 Lee, Su In;Won, Chul Hee;Shin, Min Hwan;Jeon, Je hong;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6-426
    • /
    • 2015
  • 무경운 농법은 경작지의 토양을 교란시키지 않고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토양의 물리성 개선과 토양 침식 예방, 생산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농업기술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무경운의 재배 지속 기간 등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내 환경조건에 맞는 실험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적관리기법의 하나인 무경운(No-till)을 적용한 밭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장기적으로 살펴보고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무경운 농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동계피복작물(밀, 보리)을 재배작물 정식하기 전해 겨울에 파종하여 이듬해 6월 말 수확하였다. 이후 7월에서 8월 사이 재배작물(들깨, 무)을 정식하였다. 시비는 2011년에는 축산퇴비, 2012년에는 축산액비 그리고 2013년과 2014년에는 화학비료를 시비하였으며, 매년 경운과 무경운의 시비량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유출 시험포의 면적은 $150m^2$(폭 5 m, 경사장 30 m)이며, 8개(경사도 3% 4개, 경사도 8% 4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여 각각 2개씩 경운(관행)과 무경운을 적용하였다. 모니터링은 재배작물(들깨, 무) 정식 이후부터 작물 수확 전까지 강우사상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기간동안 총 13회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운대비 무경운 시험포의 평균 오염부하 삭감율을 분석한 결과 경사도 3% 시험포의 경우 BOD는 35.1%, $COD_{Cr}$은 37.4% 그리고 영양염류인 TN과 TP는 각각 36.9%와 33.5%가 삭감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경사도 8% 시험포의 경우 BOD가 36.4%, $COD_{Cr}$은 45.8%, TN과 TP는 각각 45.5%와 40.6%가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운(관행) 농법이 영농관리 차원에서 대부분 이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할 때 무경운 농법으로 영농할 경우 강우유출수 및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부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No-Tillage and Split Irrigation on the growth of Pepper Organically Cultivated under Plastic Film Greenhouse Condition (무경운과 분할관수가 시설 유기재배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 Yang, Seung-Koo;Shin, Gil-Ho;Kim, Hee-Kon;Kim, Hyun-Woo;Choi, Kyung-Ju;Jung, Woo-Ji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3 no.4
    • /
    • pp.781-796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o-tillage and split irrigation on the growth of pepper plant under green house condition in Jeonnam province. Moisture content of soil at whole quantity irrigation in tillage was increased rapidly regardless of soil depth for initial irrigation and then was decreased continuously until next irrigation. Deviation of moisture content in soil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depth of soil. Moisture contents of top soil and subsoil (20 cm) at whole quantity irrigation in no-tillage were increased with sunrise, and then decreased with sunset. Moisture contents of top soil in tillage, and top soil and subsoil (20 cm) in no-tillage at half quantity irrigation indicated a cyclic diurnal variation by evapotranspiration. Salinity of soil was increased after initial irrigation and then was decreased continuously until next irrigation. With increasing depth of soil, increases of salinity in soil was delayed. Salinity of top soil in no-tillage was increased between AM 11:00 and AM 12:00, and then showed the highest level between PM 2:00 and PM 6:00 on a cyclic diurnal variation by evapotranspiration. Salinity of subsoil (30 cm) in no-tillage was not measured a cyclic diurnal variation. Moisture content and salinity of soil was positive correlation regardless of tillage and no-tillage cultivation. Growth of pepper in no-tillage cultivation was higher than that in tillage cultivation. Main branch Length and stem diameter of half quantity irrigation plot was higher than that of whole quantity irrigation plot regardless of tillage and no-tillage cultivation. After harvesting, the number of pepper fruits of half quantity irrigation plot was increased remarkably by 49% and 47%, in tillage and no-tillage cultivation, respectively. Pepper yield of no-tillage cultivation plot was higher by 8% than that of tillage cultivation plot. Pepper yield of half quantity irrigation plot was increased remarkably by 36% and 39%, in tillage and no-tillage cultivation, respectively.

Changes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under Different Tillages of Paddy Soil (경운방법(耕耘方法)에 따른 논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변화(變化))

  • Yoo, Chul-Hyun;Shin, Bog-Woo;Jeong, Ji-Ho;Han, Sang-Soo;Kim, Seong-Jo;Han, Seong-So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0 no.2
    • /
    • pp.140-145
    • /
    • 1997
  •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was monitored under different tillag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Jeonbug silty cly loam, in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for four years starting from 1992. Different tillage involved (1)Continued no tillage, (2)Rotavation only with tractor every year, (3)Spring plowing with power tiller plus rotavation with tractor every year.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Non tillage, when continued for some years, tended to increase 1)the hardness of soil, 2)the root density in the top soil, 3)the occurrence of annual and perennial weeds, and tended to lower the yield of rice compared to normal tillage(tilling with ow tiller in the spring plus rotavation by tractor before plan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