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장 분리장치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항공기 장착 무장의 투하 안정성 검증을 위한 지상무장분리시험 (Ground Ejection Tests to verify the Safe Separation of an Aircraft Mounted Store)

  • 이종홍;최석민;이민형;이철;정재원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70-75
    • /
    • 2018
  • 항공기에 장착하는 무장은 실제 항공기에 장착하기 전에 안전 분리가 이루어졌음을 검증하기 위해 지상에서 무장분리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더미유도탄으로 지상에서투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지상무장분리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상무장분리시험의 필수장비인 무장분리장치는 공압으로 동작하며 압력이 크고, 오리피스 직경이 클수록 유도탄을 밀어내는 사출력이 크게 발생한다. 무장분리장치의 봄베 압력과 오리피스 직경을 변경하여 더미유도탄의 투하 움직임을 고속카메라로 계측하였고 투하변위, 투하속도를 분석하였다. 실제 비행하는 항공기에서 무장 투하 해석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추후 개발되는 항공기 무장의 지상무장분리시험 수행시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무장관리컴퓨터 탑재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Operational Flight Program for Stores Management Computer)

  • 이상철;김인규;김영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4-133
    • /
    • 2003
  • 본 논문은 항공기 무장의 목록관리, 무장의 활성화, 그리고 무장의 발사 및 투하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무장관리컴퓨터 탑재소프트웨어 개발 시 객체지향 설계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무장관리컴퓨터 개발을 위해 중앙처리장치 보드는 상용화된 PowerPC 603e의 군용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실시간 운용체계인 VxWorks와 Tornado개발환경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 시 객체지향 언어인 Ada95를 사용하였으며 소프트웨어 모듈간의 독립성을 위해 세 개의 층(Layer)으로 분리하여 설계하였다. 항송전자시스템컴퓨터 시뮬레이터와 테스트 벤치를 개발하여 무장관리시스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검증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공대지 폭탄용 유도키트 시험 (Tests of a Guidance Kit for Air-to-Surface Bomb)

  • 이인원;이기두;박영근;임상수;백승욱;이대열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14-318
    • /
    • 2013
  • 국내 최초로 개발되는 공대지 유도키트에 대하여 미국의 MIL-HDBK 및 STANDARD를 준용한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각종 지상시험을 통하여 유도키트의 작동 성능과 내구성을 검증하였으며, 유도키트를 일반목적폭탄에 장착한 활공탄으로 비행시험을 수행하여 중거리 활공비행성능 및 정확도가 매우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외부장착물 분리하중에 대한 파일런 구조 정적시험 (Structural Static Test of Pylon for External Attachment Separation Load)

  • 김현기;김성찬;홍승호;최현경;조상환;박형배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4-109
    • /
    • 2022
  • 파일런 내부에 장착되는 외부장착물 분리장치(BRU)는 외부연료탱크나 외부무장 등의 외부장착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비상시에는 외부장착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외부장착물을 분리시킬 때 BRU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펀칭하중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일런에 작용하는 BRU 펀칭하중 조건에서 파일런의 구조 건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한 구조 정적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구조 정적시험에서 외부장착물의 분리하중에 대한 구현방식과 BRU 펀칭하중 조건에 대한 시험 프로파일을 제시하였고, 각 시험에서 하중제어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해 하중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사이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파일런의 주요 위치에서 수치해석 결과와 시험에서 계측된 변형률을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수행 간에 시험하중이 잘 제어되었고, 수치해석이 시험결과를 잘 예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종적으로, 설계 제한하중과 설계 극한하중에 의해 수행된 구조 정적시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항공기용 파일런은 외부장착물 분리하중에 대해 충분한 구조 강도를 보유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