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작위임상시험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초

Risperidone(R 64766)의 제 1상 임상 연구: 일회 경구투여에 따른 약동학 및 내약성 검토

  • 신상구;이경훈;장인진;신재국;정원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6-56
    • /
    • 1992
  • Risperidone은 D$_2$-수용체와 HT$_2$-수용체 차단효과를 동시에 지녀, 차세대 항정신분열증 치료제로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약물이다. 그러나 risperidone의 주대사가 CYPIID1에 의할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항정신병 치료제의 임상 제 1상 연구의 적정 모형 검토를 위해 risperidone율 모델 약물로 체내 약물의 동태, 내약성 및 약물 유전학적 특성등을 검토하였다. CYPIID1의 대사능을 검정한 12명의 정상 성인(11명: extensive metabolizer, 1명: poor metabolizer)을 대상으로 risperidone 투여 시험(placebo, 1, 2 mg)을 무작위 단일맹검 교차시험으로 시행하였다. 투약후 72시간까지 경시적으로 혈액, 뇨 채취 및 ECG lead II, 혈압/맥박의 변동 등을 측정하고, visual analog scale에 의해 중추신경계 주관적 증상들을 관찰 하였다. 혈장 risperidone 및 그 활성형대사물 9-OH risperidone 및 prolactin 농도는 radioimmunoassay법으로 측정하였다.

  • PDF

항균제 임상시험 Guideline

  • 우준희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제2회 추계심포지움
    • /
    • pp.27-30
    • /
    • 1994
  • 잠재적으로 항감염 약제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약제들의 초기 연구과정에서 주된 관심사는 이들이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기타 기생충)에 대한 작용들이 있는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작용들이 실험적으로 충분히 연구가 된 후에야 실험동물에서 그 효과를 연구한다. 항 바이러스 제제의 경우에는 세포배양을 통한 연구가 그 약제의 독성과 효용성을 나타내는데 필수적인 것이 된다. 여러 종류의 동물을 이용한 생체실험에서 약제의 일반적인 흡수와 배설, 분포 등에 관한 정보와 약제 자체와 동물 내에서의 대사적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여러 가지 미생물로 감염을 시킨 적합한 동물과 여러 가지 용량으로 치료하는 실험을 통하여 약제의 항 감염 능력이 알려지게 된다. 동물에서의 생체실험과 실험관내에서 실험을 하고 나서야 사람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게 된다. 소위 전임상시험에서 대표적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생물학적효과, 약리학적 효과와 독성 그리고 동물실험모델에서의 가능한 효과가 결정된 후에 임상시험에 들어가기 마련이다. 항균제의 임상시험에는 각각의 감염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기준을 반영하는 것이 기본이다. 새로운 항균제의 임상시험에서는 안전성과 효과가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 1상에서는 인체에서의 약리효과, 안전성이 주목적이며, 2상과 3상은 겹쳐지는 점도 있으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적응증에 대한 항균제의 효과와 단기간의 부작용은 2상에서 관찰하여야하며, 다수의 환자에서 제안된 적응질환의 무작위임상시험과 다수에서의 안전성도 3상에서 관찰하여야 한다. 4상에서는 이상에서의 자료로 시판된 후에도 계속해서 감시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안전성을 관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사항외에도 소아, 임산부, 고령자등에서의 임상시험도 넓은 의미에서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질적인 면에서 조절하는 Quality Assurance도 중요하다.양상은 세 용량군 간 차이가 없었으나, 시험기에서 발열의 발현율이 낮았으며, 발열일 수와 항생제 사용일 수가 짧았다. 결론: 골수억제 조절 효과는 용량에 따른 혈액소견에 미치는 영향, 부작용, 감염의 빈도, 감염발생에 따른 항생제 사용기간 등을 고려하여 그 임상 유효성 평가시, 제 3상 시험에 사용할 권장량 (recommended dose) 은 250 ug/$m^2$/d $\times$ 10d 으로 관찰되었다.5주에 부검한 랫드의 간에서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모든 처리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발현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시험개시후 26주에 부검한 랫드의 간에서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랫드에서 화학적으로 유도한 간암발생 과정에서 NK 세포활성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c-myc 종양단백의 발현은 시험개시후 15주에 그 발현이 확실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 있음을 제시하였다.1과 항우울약들의 항혈소판작용은 PKC-기질인 41-43 kD와 20 kD의 인산화를 억제함에 기인되는 것으로 사료된다.다. 것으로 사료된다.다.바와 같이 MCl에서 작은 Dv 값을 갖는데, 이것은 CdCl$_{4}$$^{2-}$ 착이온을 형성하거나 ZnCl$_{4}$$^{2-}$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인체유

  • PDF

지역사회 임상시험시 개인별 무작위배정과 군집 무작위배정의 효율성 비교 (Comparison of Efficiency between Individual Randomization and Cluster Randomization in the Field Trial)

  • 구혜원;곽민정;이영조;박병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1호
    • /
    • pp.51-55
    • /
    • 2000
  • Objectives . In large-scale field trials, randomization by cluster is frequently used because of the administrative convenience, a desire to reduce the effect of treatment contamination, and the need to avoid ethical issues that might of otherwise arise. Cluster randomization trials are experiments in which intact social unit, e.g., families, schools, cities, rather than independent individuals are randomly allocated to intervention groups. The positive correlation among responses of subjects from the same cluster is in matter in cluster randomization. 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ree randomization methods by standard error of estimator of treatment effect. Methods : We simulated cholesterol data varing the size of the cluster and the level of the correlation in clusters and analyzed the effect of cholesterol-lowering agent. Results : In intra-cluster randomization the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or of treatment effect is smallest relative to that in inter-cluster randomization and that in individual randomization. Conclusions : Infra-cluster randomization is the most efficient in its standard error of estimator of treatment effect but other factor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 specific randomization method.

  • PDF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과 자궁경부 이형성증과 관련된 한방 임상연구 동향 - 무작위 대조 비교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A Review o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Research against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Cervical Dysplasia - Focu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nd Cervical Dysplasia -)

  • 정재령;황덕상;이진무;장준복;이창훈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66
    • /
    • 2019
  • Objectives: This review is to figure out evidence that suggests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against Human Papilloma virus (HPV) infection and Cervical Dysplasia. Methods: Studies on HPV infection and cervical dysplasia were searched through 5 database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China Academic Journal (CAJ), Pubmed. After that, the articles were extracted with reference poin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Results: 21 studies were included lastly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In 21 studies, HPV turning - negative rat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group. Conclusions: 21 studies indicate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is effective in HPV infection and Cervical Dysplasia.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여성에서 정맥 내 아스코르브산 투여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배정 양측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 (Effect of intravenous ascorbic acid administration on fatigue after laparoscopic myomectomy: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 황우연;김기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34-439
    • /
    • 2021
  • 본 논문은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여성에서 정맥 내 아스코르브산 주입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는 무작위 배정 양측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의 2차 평가변수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받은 환자 50명은 수술 중 아스코르브산 (2g)이나 위약을 수술 중 투여받았다. 환자 비율은 임의로 1:1 비로 하였다. 수술 후 2일차에는 간이 피로 평가지 (Brief Fatigue Inventory-Korean version, BFI-K)을 사용하여 피로수준을 평가하였다. 대상자가 동의를 철회하거나 수술을 취소한 경우 또는 평가변수가 측정되지 않은 5명은 제외되어 총 45명(시험군 23명, 대조군 2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은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 피로도 점수도 실험군 (4.56 ± 2.63). 대조군 (5.21 ± 2.02 P = 0.351)으로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군의 피로도 점수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대조군의 피로도 점수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받은 여성에서 정맥 내 아스코르브산 주입은 피로도를 크게 줄이지 못했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간암에 대한 한약치료: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프로토콜 (Herbal Medicine for Liver Cancer: A Protocol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권승원;송가연;양승보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59-566
    • /
    • 2022
  • 서론: 본 체계적 문헌 고찰의 프로토콜 논문은 간암의 한약 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본 체계적 문헌 고찰은 간암에 한약 치료에 대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을 포함할 것이다. 오직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유형의 임상 연구만 포함할 것이다. 시험군의 한약 치료는 한약을 사용한 모든 제형을 포함할 것이며, 대조군은 다른 치료, 플라시보 치료, 서양의학적 치료 등을 포함할 것이다. 다음 11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검색할 것이다: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MEDLINE, EMBASE, AMED, CINAHL, Chinese database(CNKI), 그리고 다섯 개의 한국데이터베이스(OASIS, DBpia, RISS, KISS, and NDSL). 연구의 선정, 데이터 추출 및 분석 등의 업무는 3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할 것이다. 비뚤림 위험 평가를 포함한 연구의 질적 평가는 Cochrane risk-of-bias assessment tool을 사용할 것이다. 결과: 본 간암에 대한 한약 치료의 체계적 문헌 고찰은 최신의 근거를 요약적이고 분석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결론: 간암의 한약 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의 근거를 제시할 것이며, 이는 종양학이나 한의학과 보완·대체의료 분야의 종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진단법의 임상시험연구와 진단정확도 (Clinical Trials and Accuracy of Diagnostic Tests)

  • 이유경;이상무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28-34
    • /
    • 2011
  • 대부분의 의사들은 임상시험을 치료약제개발 후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진행되는 과정으로 생각할 것이다. 실험실에서 개발된 기술이 진단검사로써 도입되기 위해서는 치료약제의 경우와 유사한 임상시험 과정을 거쳐 그 안정성과 유효성에 대한 검증을 필요로 한다. 치료약제의 효과검증에서 가장 우수한 근거를 얻을 수 있는 연구방법은 무작위대조연구 방법이지만, 이를 검체진단검사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검체진단검사의 경우 비교연구가 진단정확도의 검증을 위해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지만 대상군의 모집 방법과 구분 방법, 질환대상자의 질환 심각도, 참고표준의 선택과 적용, 눈가림 여부 등 여러 요인들이 진단정확도 지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좋은 근거수준의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한 잘 고안된 연구디자인이 중요하다. 또한 검체진단검사는 치료약제의 경우와 달리 결과를 얻기 위한 검사과정이 사용자인 일선 검사실에 의해 계속 생산되어야 하고, 검사의 개발과 발전의 속도가 빠르며, 일선검사실이 최종사용자이자 개발자인 경우가 흔하다는 특성이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검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검사법 자체의 수행능력에 대한 검증으로부터 검사법 성능평가를 위한 질환확진군과 정상군에 대한 비교연구, 일련의 질환의심자 대상의 진단정확도 평가와 임상 효과성 평가, 도입 후 일상감시로 이어지는 임상시험의 진행단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B형 및 C형 간염에 대한 한약 치료의 효과 - 체계적 고찰 연구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Viral Hepatitis B and C: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김승모;이유리;조나경;최홍식;김경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55-474
    • /
    • 2021
  • 본 연구는 B형 및 C형 간염에 대한 한약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 임상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검색엔진은 EMBASE, Pubmed, NDSL, KMBASE, KISS, KISTI, Koreamed, Koreantk, Oasis database를 이용하였으며 국내의 검색 엔진 키워드는 '간염' 또는 '바이러스성간염', '한약',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을, 국외 검색 엔진 키워드는 'hepatitis' or 'viral hepatitis' and 'herbal medicine' 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15개의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을 선택되었으며, 그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 연구는 한약과 양약 복합치료군이 양약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HBV DNA loss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한약과 양약 복합치료군이 양약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HBeAg los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한약과 양약 복합치료군이 양약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ALT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B형 및 C형 간염환자를 대상으로 한약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에 시행된 RCT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으며, 한약과 양약의 복합치료가 양약 단독치료에 비해 치료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성 질증의 한방외치요법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비교 임상시험 중심의 고찰 (Analysis fo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of Korean Medicine External Treatment on Bacterial Vaginosis)

  • 황영식;이진욱;김규태;박승혁;이진무;이창훈;장준복;황덕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0-70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external treatment on bacterial vaginosis by analyzing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Methods: We searche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elated with Korean external treatment on bacterial vaginosis through national and overseas database and analyzed them in detail. Results: 15 articles were included according to our selection criteria and 2,176 women were involved. 1. All treatment groups were treated with intervention including Korean medicine external treatment and their results were statistically more effective than control groups. 2. External wash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llowed by vaginal tablet, fumigation and powder. 3. The most frequently used herbal medicine was Sophorae Radix followed by Phellodendri Cortex, Cindi Fructus, Dictamni Radicix Cortex and Kochiae Fructusa. 4. There were 4 studies reporting side effects of treatment and no significant side effects were observed. Conclus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including Korean external therapy. Based on the analysis, it could be an effective way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vaginosis in clinical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