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인 비행기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4초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고철체적산정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scrap metal weight using UAV)

  • 김성훈;채정환;이종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282-28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무인비행기를 활용하여 재철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량의 원재료인 고철의 체적을 산정하고 수량을 파악하여 기존의 재고량산정 방법의 문제를 개선하고 보다 효율적이며 객관적인 고철량을 파악하는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고철량 산정에 있어 무게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체적을 산정하여 비중값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비행기(UAV)를 이용하여 체적을 산정하고 정확성 검증을 위해 정형의 컨테이너 박스와 크기가 작은 휴지통을 촬영 분석하여 비교 검증한 후 고철의 체적 측정 시험을 시행하였다. 무인비행기는 고정익 드론을 사용하였으며 격자비행방식을 적용하여 촬영하였으며, 촬영 전 지상기준점을 구하고자하는 물제의 주변에 배치하고 측량하여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체적산정을 위한 검증시험에서는 측량한 치수 및 체적 값과 무인비행기분석 값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제철소에서 검증한 고철의 무게와 체적을 기준으로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체적 값을 비교한 결과 기존 방식에 비해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값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무선조종 모형비행기의 제어기 개발 (Development of Radiocontrolled Airplane Controller for Leisure Industrial)

  • 김종훈;양승현;이석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63-165
    • /
    • 2001
  • 본 연구개발은 입력된 항로를 스스로 비행하며 사진 촬영, 국토 및 환경을 감시ㆍ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무인 비행 시스템 개발을 위한 레저 산업용 무선 조종 모형 비행기에 관련된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상업화를 위한 전 단계의 시작품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조종 비행 관련 데이터를 확보 및 습득하고, 이의 활용으로 표준조종 기술을 확립하도록 했다. 또한, 자동 비행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자동 비행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했으며, 확보된 비행기술을 데이터화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수행한 정보를 프로그램화하여 자동 비행을 하도록 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이용하여 서보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고정익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수계 내 녹조 모니터링 연구 (A Study on Green Algae Monitoring in Watershed Using Fixed Wing UAV)

  • 박정일;최승영;박민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64-169
    • /
    • 2017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수계 내 녹조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고정익 무인비행기에 멀티스펙트럴 센서를 탑재시켜 금강 유역의 하천을 촬영하고, NDVI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수계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대상지역은 금강 유역의 백제보 인근이며, 연구수행에 사용된 데이터는 녹조 발생 초기인 2016년 7월에 촬영된 영상이다. 데이터 처리과정으로서, Pix4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NDVI 영상을 생성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생성된 NDVI 영상을 클로로필 실측값과 비교하여 관계식을 도출하고 영상 수치 변환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측값이 반영된 클로로필 영상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수계환경관리를 위한 녹조 관측 및 모니터링, 그리고 재해예방 측면에서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클로로필 정보 취득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 레이놀즈수 유동에서 Bumpy Airfoil의 공력 특성 연구 (A Numerical Study on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Bumpy Airfoil in a Low Reynolds Number Flows)

  • 고건;이수호;김희재;이도형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3회(2014년)
    • /
    • pp.521-526
    • /
    • 2014
  • 현대에 이르러 초경량 무인 비행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비행체는 저레이놀즈수 영역에서 사용되는 특성으로 인해, 경계층 내에서 박리현상과 난류영역으로의 천이 등과 같은 여러 복합적인 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비행체의 공력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Bumpy Airfoil은 저레이놀즈수 유동에서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익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산열유체해석 프로그램인 EDISON_전산열유체를 이용하여 Bumpy Airfoil 형상에 대한 공력특성을 연구하였고, 발생하는 양항비를 원 익형과 비교하였다. 비압축성 조건 내에서, 공력 성능 향상을 위한 Bumpy Airfoil의 형상 변수로 Bump 개수와 높이를 선정하여 받음각에 따른 유동장을 분석하고 양항비를 수치해석 및 고찰하였다.

  • PDF

AR. Drone을 이용한 실내 군집비행용 충돌회피 기동 설계 (Collision Avoidance Maneuver Design for the Multiple Indoor UAV by using AR. Drone)

  • 조동현;문성태;장종태;류동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752-761
    • /
    • 2014
  • 뛰어난 기동성으로 인한 최근 쿼드로터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로터 비행체의 개발 및 상용화를 이끌었으며, 레져용으로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쿼드로터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 중에서 최근 Parrot사에서 제작한 AR.Drone은 사용자를 위한 내부 안정화 루프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AR.Drone의 시스템을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의 다수 무인기 시스템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다수의 AR.Drone을 이용한 실내 군집비행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다수의 무인비행체를 이용한 실내 군집비행을 위해서는 개개의 비행체에 대한 위치제어 및 서로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실내 무인기의 원활한 기동을 위해 개발한 충돌회피 기동 제어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무인정찰기 카메라의 진동 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vibration analysis of UAV camera)

  • 곽재혁;정광영;전성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153-115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무인정찰기 카메라의 진동에 대한 해석을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 ADAMS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정찰시 카메라에 진동이 발생할 경우 시선 불안정화에 의해 정확한 촬영이 불가하다. 이에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진구의 최적화를 위하여 정적 처짐량 및 비행기의 운행에 따른 진동에 대한 해석으로 sine sweep, RMS white noise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PDF

유도조종기술 현황 및 전망

  • 황익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30
    • /
    • 2009
  • 현대전에 있어서 유도무기의 역할은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의 무인비행기 및 로봇제어 기술발전 등과 연관되어 유도탄의 유도조종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탄의 유도조종기술을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기존의 유도조종 알고리듬 설계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나날이 발전하는 부시스템 기술에 부응하여 향후 발전될 것으로 예상되는 유도조종기술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