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역실적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 Study on Estimating Ship's Emission in the Port Area of Mokpo Port (목포항 항만구역 내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산정에 대한 연구)

  • Bui, Hai-Dang;Kim, Hwa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9 no.3
    • /
    • pp.47-60
    • /
    • 2023
  • A thorough inventory of ship emissions, particularly ship's emission of in-port area is necessary to identify significant sources of exhaust gases such as NOx, SOx, PM, and CO2 and trends in emission levels over time, and reduce their serious effects on the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volume of emissions from ships in Mokpo port, which serves as a gateway to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using a bottom-up methodology and data from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and the Korean Por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ort-MIS). In this work, an analysis of ship movement utilizing AIS data and an actual set of data on ship specification were gathered. By examining ship movement using AIS data, We also proposed a new approach for identifying cruising/maneuvering mode. Finally, the results were classified by ship operating mode, by exhaust gas, by ship type, and by berth, which provides a thorough and in-depth analysis of the air pollution caused by ships in Mokpo port.

음료$\cdot$다류 산업

  • 손헌수
    • Food Industry
    • /
    • s.180
    • /
    • pp.27-64
    • /
    • 2004
  • 국내 제조업 전체에서 식음료품은 $6.31\%$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을 기준으로 식품산업의 총매출실적을 보면 32조 3,463억원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 중 식료품은 26조 921억원, 알콜올음료를 포함한 음료품은 6조 2,516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2001년, 음료시장의 규모는 약 2조 7,900억원 정도였다. 빠르게 성장하던 전체 음료시장의 매출은 IMF 이후 약간 주춤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지속적으로 매출액이 상승하여 2002년에는 3조 4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였다. 이것은 사이다, 후레바, 정통주스, 냉장주스, 스포츠 음료, 두유 및 기능성음료 등이 성장을 주도하였다. 2003년 상반기, 1조 6,50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3\%$ 감소하였지만 2003년 전체 실적은 대략 지난해와 비슷한 3조 5,000억원 규모로 전망된다. 내수량의 경우 탄산음료와 과즙음료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전체적으로는 증가하였다. 다류시장의 규모는 약 650억원, 캔커피시장의 규모는 2,400억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처럼 음료$\cdot$다류 시장은 전체적으로 약 4조원의 거대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어, 점차 시장규모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능성 음료 및 다류의 시장규모가 전체의 $20\%$에 달할 정도로 신장하였으며, 기능성음료 및 다류의 특허출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비단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기능성음료 및 다류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은 시대가 변하면서 현대인들의 생활방식과 식생활 변화, 질병형태 다양화 등 여러 사회적 여건이 변화되고 있는데 기인하며,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음료시장의 쾌속성장과 틈새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현재 세계 건강기능성 식품의 시장 규모는 약 160조원이며, 국내의 경우 약 1조원에 이르는 실정이다. 이 중 기능성음료 시장은 국내에서 약 4천억원 규모로 기능성식품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기능성음료 시장은 최근 연간 $7\%$ 정도의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6.7\%$의 실질 연간 성장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해질(이온)음료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다이어트음료에서 출발한 기능성음료는 숙취해소, 성인병 예방, 스트레스 해소에 이르기까지 각종 질병의 치료 및 예방으로 확대되고 있다. 앞으로는 BT 및 나노 기술 등을 이용한 신기능 소재들에 대한 다각적인 효능의 규명에 따른 음료$\cdot$다류 소재의 개발과 더불어 체질개선, 다이어트, 숙취해소 등의 특정한 기능성과 관련한 음료$\cdot$다류의 특허출원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복잡한 한약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여 티백이나 캔 형태로 만든 맛과 기능이 조화된 음료$\cdot$다류 분야의 연구개발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시장 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기능성과 간편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신세대 소비자들의 성향을 겨냥하여 기존의 음료$\cdot$다류 전문 업체 외에도 제약회사 등의 비음료 업체도 다양한 형태의 음료$\cdot$다류 기술개발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신기능성 소재를 개발하는 것은 고부가가치 기술로써 BT, NT 등의 최첨단 기술의 발전과 도입으로 인해 그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기능성 소재들도 국내 기업들의 축전된 기반기술을 통하여 대거 참입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러 업체의 음료$\cdot$다류시장 진출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비위생이고 효능이 불확실한 식품의 유통, 업체간의 과열경쟁에 따른 유통질서 문란 등은 모처럼 활기를 되찾은 음료$\cdot$다류 분야의 기술개발을 위축시킬 수도 있으므로 정부차원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원료적인 측면에서의 무역 불균형은 반드시 해소되어야 할 부분이다. 대부분이 수입 기능성 원료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내의 BT 기술 확충에 더욱 많은 투자와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적으로 경쟁이 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과 이를 통한 신기능 음료의 개발은 단순한 수학적 계산을 넘어서 국가의 기술력을 홍보할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음료$\cdot$다류 분야에 대한 열기가 식품시장을 주도하면서, 시장이 안정적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 PDF

The Effect of Preferential Purchase Policy for Technologically Developed Products on Growth of SMEs (기술개발제품 우선구매 제도가 중소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Young-Jin Kim;Yong-Seok Cho;Woo-Hyoung Kim
    • Korea Trade Review
    • /
    • v.48 no.3
    • /
    • pp.43-68
    • /
    • 2023
  • In this study, in relation to "Chapter 3 Support for Priority Purchase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s" of the 「Market Channel Support 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ve growth impact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s subject to preferential purchase o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data used for empirical verification is for 371 companies that obtained certification for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s subject to preferential purchase in 2016 and Data from SMEs were collected from 2017 to 2021, Sales, operating profit, and net profit was identified, and empirical verification. And conduc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factors of SMEs. In addition, data from 225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 certification companies were collected, and empirical testing was conducted through t-test analysis on the change in growth factors before and after acquiring certification.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ssets, certified sales, operating profit, and net profit, which are the growth factors of a company, are all positively aff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 certifi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authentication types, some authentication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results. In addi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that after acquiring cert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growth factors than before acquiring certification. Consistent with this conclusion, I think that it is effective for technology development-based SMEs to enter the public procurement market and utilize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duct priority purchase policy for market exploitation and corporate growth. And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market support policy to create demand so that SMEs can enter the procurement market and actively utilize the preferential purchase system, and come up with an improvement plan so that public institutions can actively utilize the preferential purchase system.

Decomposition of Daesan Port's Exports: Neighbor Spatial Effect (대산항 수출변동의 요인별 분해: 근린공간효과를 중심으로)

  • Mo, Soo-Won;Park, Jeong-Hwan;Lee, Kwang-Bae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4 no.4
    • /
    • pp.1-16
    • /
    • 2018
  • The standard shift-share analysis decomposes a region's sectoral growth into three components: national, industry-mix, and regional-shift effects. Nevertheless, the three components of the traditional shift-share are not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regional economies that are neighbors of the region under analysis. We incorporate a spatial structure within this basic formulation, and consider spatial interaction in the decomposition analysis. Daesan Port's export grew steadily at an annualized average rate of 4.0% during 2011-2017, and its rank, in terms of export performance, was 13 in 2010; this rose to 6 in 2016, then declined slightly to 7 in 2017 before reaching 6 as of June, 2018. However, not all ports have a similar growth path. The Onsan Port's share declined from 27.4% in 2011 to 21.0% to 2017, whereas the share of petroleum product exports of Daesan Port increased rapidly, from approximately 8.5% in 2011 to 16.0% in 2017. The standard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petroleum products and basic petrochemicals have a positive regional in dustry-mix effect, but petrochemistry materials and synthetic resins have a negative sign, indicating that the former's exports grow faster than national export, while the increase of the latter's export is slower than national one. The spatial shift-share model indicates that for both petroleum products and basic petrochemicals, Incheon and Ulsan Ports have a positive value for the neighbor-nation regional shift effect and a positive value for the region-neighbor regional shift effect. This paper also shows that Yeosu Port for petroleum products; Ulsan Port for basic petrochemicals; Ulsan, Onsan and Yeosu Ports for petrochemistry materials; and Ulsan, Busan, and Incheon Ports for synthetic resins have a positive value for the neighbor-nation regional shift effect but a negative value for the region-neighbor regional shift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