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항 수출변동의 요인별 분해: 근린공간효과를 중심으로

Decomposition of Daesan Port's Exports: Neighbor Spatial Effect

  • 투고 : 2018.11.08
  • 심사 : 2018.12.28
  • 발행 : 2018.12.31

초록

대산항 수출은 석유제품, 석유화학중간원료, 기초유분, 합성수지 4개 품목이 92%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대산항의 주요 품목의 수출실적은 경쟁항만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현상을 규명할 수 있는 공간변이할당모형의 새로운 버전을 개발하여 대산항의 수출 변동요인을 밝힌다. 먼저 표준변이할당분석을 통해 석유제품과 기초유분에서는 지역-국가 전부문 변이효과와 지역산업구조효과가, 석유화학중간원료와 합성수지에서는 지역-국가 전부문 변이효과가 주요 수출변동요인임을 밝힌다. 석유제품을 포함한 4개 품목 모두 지역-국가 전부문 변이효과가 양의 부호를 가져 대산항의 수출이 다른 항만들에 비해 원활함을 보인다. 또한 석유제품과 기초유분의 지역산업구조효과가 양의 부호로 빠르게 수출이 증가하는 품목인데 비해, 석유화학중간원료와 합성수지는 음의 부호로 수출활동이 활발하지 못함을 보인다. 공간변이할당분석에서 대산항은 석유제품에서 경쟁력이 약한 울산항은 물론 경쟁력이 강한 온산항과 인천항에 대해서도 경쟁우위를 가지나, 경쟁력이 높은 여수항에 대해서는 열위상태에 있다. 기초유분에 있어서는 높은 경쟁력을 갖는 인천항과 온산항에 대해 그리고 경쟁력이 약해진 여수항에 대해 우위를 가지나, 경쟁력을 회복한 울산항에 대해서는 경쟁력 우위를 상실하고 있다. 석유화학중간원료에 있어서 수출경쟁력이 높은 울산항, 온산항, 여수항에 대해 경쟁력을 상실한 반면에 경쟁력이 약해진 인천항에 대해 경쟁력을 회복하고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에 있어서는 경쟁력을 가진 울산항, 부산항, 인천항에 대해 경쟁력을 잃고 있으며, 경쟁력이 약한 광양항에 대해서는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밝힌다.

The standard shift-share analysis decomposes a region's sectoral growth into three components: national, industry-mix, and regional-shift effects. Nevertheless, the three components of the traditional shift-share are not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regional economies that are neighbors of the region under analysis. We incorporate a spatial structure within this basic formulation, and consider spatial interaction in the decomposition analysis. Daesan Port's export grew steadily at an annualized average rate of 4.0% during 2011-2017, and its rank, in terms of export performance, was 13 in 2010; this rose to 6 in 2016, then declined slightly to 7 in 2017 before reaching 6 as of June, 2018. However, not all ports have a similar growth path. The Onsan Port's share declined from 27.4% in 2011 to 21.0% to 2017, whereas the share of petroleum product exports of Daesan Port increased rapidly, from approximately 8.5% in 2011 to 16.0% in 2017. The standard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petroleum products and basic petrochemicals have a positive regional in dustry-mix effect, but petrochemistry materials and synthetic resins have a negative sign, indicating that the former's exports grow faster than national export, while the increase of the latter's export is slower than national one. The spatial shift-share model indicates that for both petroleum products and basic petrochemicals, Incheon and Ulsan Ports have a positive value for the neighbor-nation regional shift effect and a positive value for the region-neighbor regional shift effect. This paper also shows that Yeosu Port for petroleum products; Ulsan Port for basic petrochemicals; Ulsan, Onsan and Yeosu Ports for petrochemistry materials; and Ulsan, Busan, and Incheon Ports for synthetic resins have a positive value for the neighbor-nation regional shift effect but a negative value for the region-neighbor regional shift eff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훈(2008),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부산 북항의 물동량 예측",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2호, 1-17.
  2. 김창범(2007), "해상운송의 물동량 예측과 항만물류정책",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1호, 149-162.
  3. 이충배.노진호(2018), "우리나라와 동아시아 항만간의 수출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4집 제2호, 97-113.
  4. 이충배.권아림(2014), "변이할당기법과 DEA를 활용한 동북아시아 항만간 경쟁력 비교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0집 제4호, 219-254.
  5. 최봉호.김상춘(2010),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의 물동량간 인과관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6집 제1호, 61-82.
  6. Arcelus, F. J.(1984), "An extension of shift-share analysis", Growth and Change, Vol. 5 No. 1, 3-8. https://doi.org/10.1111/j.1468-2257.1974.tb00275.x
  7. Barff, R.A., and P.L. Knight III (1988), "Dynamic shift-share analysis", Growth and Change, Vol. 19 No 2, 1-10. https://doi.org/10.1111/j.1468-2257.1988.tb00465.x
  8. Dinc, M., and K. Haynes(2005), "Productivity, inter national trade and reference area interactions in shift-share analysis: Some operational notes", Growth and Change, Vol. 36 No. 3, 374-394. https://doi.org/10.1111/j.1468-2257.2005.00282.x
  9. Dunn, E. S.(1960), "A statistical and analytical technique for regional analysis", Papers and Proceedings of th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ol. 6, 97-112.
  10. Esteban-Marquillas, J. M.(1972), "A reinterpretation of shift-share analysis", Regional and Urban Economics, Vol. 2 No. 3, 249-261. https://doi.org/10.1016/0034-3331(72)90033-4
  11. Markusen, A. R., H. Noponen, and K. Driessen (1991), "International trade, productivity, and US regional job growth: A shift-share interpretation",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Vol. 14 No.1, : 15-39. https://doi.org/10.1177/016001769101400102
  12. Sihag, B.S., and C.C. McDonough (1989), "Shift-share analysis: The international dimension", Growth and Change, Vol. 20 No. 3, 80-88. https://doi.org/10.1111/j.1468-2257.1989.tb0049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