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역마케팅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초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nsumer Awareness in Fair Trade Product)

  • 옥정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1호
    • /
    • pp.143-162
    • /
    • 2015
  • 본 연구는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간 구조적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과 관련된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은 특정 상황에 국한되어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관련된 핵심 요소로서 적합성, 신뢰성, 소비가치, 태도, 구매의도를 제시하고,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대부분의 가설들이 채택이 되었지만, 신뢰성과 구매의도간의 관계(가설 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정무역제품의 소비자 인식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함께 공정무역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dot}$소 수출기업의 전자무역 활성화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Activation of Electronic Trade by Korean Middle and Small Firms)

  • 박기남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50
    • /
    • 2005
  •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 및 확산은 국제무역에 있어 일대 혁신을 초래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시장조사, 해외홍보 및 마케팅, 거래선 발굴, 신용조사, 거래협상 등 계약체결까지 거래경로를 시간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며, 적은 비용으로 글로벌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용절감, 시장업무 프로세스 혁신, 업무처리개선, 외부요구, 내부요청 등과 같은 주요 전자무역의 동기요인이 e-mail, 웹 서비스, EDI, Internet-EDI와 같은 전자무역을 위한 정보기술의 활용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국내 수출기업들의 기업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 본 연구는 동기요인이외에 기업이 인터넷을 통한 전자무역의 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요인, 기업특성 요인 및 산업특성 요인들을 함께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들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믹스요인이 마케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por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Marketing Mix on Marketing Performance)

  • 범경기;김원겸;맹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6
    • /
    • 2011
  •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국민경제에서의 고용창출 효과와 수출기여도 측면에서의 중요도는 매우 크다. 날로 높아져가는 세계시장의 글로벌화와 환경변화 속에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제품 가격 유통 촉진 즉, 마케팅믹스 전략과 경쟁력이 수출성과 거양에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출 중소기업의 마케팅믹스요인과 마케팅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중소기업이 실행해야 할 최적의 마케팅전략을 제시하면서 수출마케팅과 중소기업정책 발전의 토대를 이루기 위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국내 338개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MOS 18.0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마케팅믹스와 마케팅성과 관계에서는 4P's Mix요인 중 유통과 촉진관련전략이 마케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 가격전략은 통계분석상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기각되었다. 따라서 향후 수출중소기업입장에서는 마케팅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내부적이고 전사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수출마케팅성과가 더욱 극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획 - 인쇄물 수출 - 인쇄물 내수물량 한계 탈출구는 수출 -

  • 김상호
    • 프린팅코리아
    • /
    • 제8권5호
    • /
    • pp.58-65
    • /
    • 2009
  • 지난해 인쇄업계의 인쇄물수출은 전년에 비해 20% 가까운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2억5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인쇄물수입은 2.6% 증가에 그쳤지만 금액으로 3억6352만 달러를 기록해 인쇄물의 무역수지는 1억 달러가 넘는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수년간 인쇄물의 수출액이 2억 달러 수준에서 제자리걸음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인쇄물의 무역 수지는 여전히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상이 고착화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일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처럼 달러화, 유로화, 엔화 등 기축통화에 대한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수출에서의 가격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평가됨에도 불구하고 기대만큼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지 못한 것은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또한 대안 마련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해외 마케팅 전문인력의 부족, 미흡한 정부 차원의 수출지원, 중국 등 후발국가에 대한 가격 경쟁 열세 등 우리 인쇄산업의 수출 확대에 가로 놓인 어려움이 적지 않지만 이런 어려움 가운데서도 인쇄물 수출에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여 나름대로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업체들도 있다. 긴 호흡으로 보아야 한다는 인쇄물 수출 분야에 단기간의 성과를 기대하며 도전하는 것은 금물이라는 말이 있다. 내수시장의 고질적인 어려움을 감안, 중장기적으로 수출시장의 개척에 대해 진지하게 모색하는 것은 이제 인쇄업계에 몸담고 있는 이라면 누구라도 공감할 과제의 하나로 다가오고 있다. 인쇄물 수출분야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업체들을 만나 본다.

  • PDF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무역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lobal Marketing Strategies in EC Environment)

  • 강영구;황상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3권
    • /
    • pp.1-26
    • /
    • 2003
  • As a very rapid diffusion of internet business in these days, the marketing mix strategies become more important matters. In addition, because of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patterns, and an increase of internet users, new marketing strategies are needs. There's not a business in the world that shouldn't feel threatened by the internet, but companies willing to become engaged should find big opportunities. Becoming engaged with the internet, for matters, means understanding the unique nature of the internet market and using that understanding to execute dynamic strategies. This paper is focusing the analy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et marketing and traditional marketing and proposing the new strategical marketing mix. In the traditional marketing environment, 4P(Product, Price, Promotion, Place) is very important, but in the internet business environment 6C(Community, Connection, Commerce, Communication, Customization, Contents) is more important.

  • PDF

수출마케팅에서 국가이미지와 브랜드개성에 관한 소비자 평가 (Consumer Evaluation of Country Image and Brand Personality under Export Marketing)

  • 이봉수
    • 무역상무연구
    • /
    • 제28권
    • /
    • pp.143-167
    • /
    • 2005
  •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effort to develop representative brands a unique personality in connection with country image. That is, brand personality adds brand identity to reliability and makes for stronger brand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t also furnishes the differentiation for guilding effective brand marketing. In summary, it is clear that country image and brand personality are strategic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by world enterprises and government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In addition, the cross-cultural examination of country of origin effect and brand personality in connection with foreign consumers' selection is worthy of study.

  • PDF

한국 안경산업의 현황 (The Present States of Korean Eyewear Industry)

  • 박정식;이정영;장우영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85-90
    • /
    • 2012
  • 우리 안경산업은 최근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를 활용한 가격 경쟁력, 일본의 품질 및 기술, 이탈리아의 디자인, 브랜드 및 마케팅에 대한 경쟁력 등에 밀려 점점 그 입지가 약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안경시장에서의 최대 수입 교역국인 중국과 이탈리아의 무역수지에 대한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우리 안경산업의 발전을 위한 대응방안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우리 안경산업 중 가장 취약한 제품분야인 선글라스 분야에서는 우리 안경업계의 디자인에 대한 능력이 안경제조능력에 비해 매우 뒤쳐져 있음은 안경업계에서 잘 인지하고 있는 바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역수지의 개선을 위해서는 안경디자인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관심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의 기술역량과 국제마케팅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CEO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y of SMEs in Gwangju·Jeonnam Province on Expor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CEO's Risk-taking Propensity)

  • 양영수;이재은
    • 무역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261-27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SM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affect the export performance of the SMEs and to empirically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EO's risk propensity on such a relationship. We obtained data from 190 SM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in Korea through survey and performed a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based on these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M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export performance, respectively. Also, the CEO's risk propensity was found to reinf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competence and export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ing capabilities and export performance was also found to be strengthened in the positive (+) dir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SMEs to continuously develop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international marketing capabilities to achieve successful export performance in overseas markets. Also, the CEO's propensity to promote these relationships may be important.

전자무역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 제3자물류 발전방안 (The Development Scheme of Domestic Third Party Logistics for Revitalization of Electronic Trade)

  • 차순권;장흥훈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74
    • /
    • 2008
  • 최근 $20{\sim}30$년 동안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이를 활용한 전자상거래의 빠른 확산은 국제상거래인 무역 역시 전자적인 방식으로 거래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추후 국제간 거래에 있어 전통적인 대규모 거래방식이 아닌 전자무역사이트를 이용한 소량 다빈도 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무역거래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고 이를 활성화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국내 제3자물류 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국제 제3자물류산업의 그 자체에 대한 발전방향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전자무역과 연계한 국제 3자물류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전자무역과 제3자물류에 대한 개념과 관련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제3자물류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자무역과 관련하여 국내 제3자 물류의 문제점은 경영자의 인식부족, 물류비의 비중과다, 마케팅차원의 고려 부족, 전자상거래와 연계한 통합물류서비스 시스템의 미비, 전문인력 부족, 중소기업 상호간 물류공동망의 부족, 전문물류회사의 영세성, 물류관련 법규의 복잡, 물류기업간 담합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3자물류의 발전방안은 정부차원에서 법 제도의 정비, 통합물류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재정적 기술적 인프라 확대 지원, 보안 및 인증시스템 구축, 물류거래알선사이트의 활성화, 세제지원, 전문인력 양성 체계 확립 등이 있다. 기업차원의 물류발전방안으로는 혁신적 물류시스템과 연계한 통합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 전자거래사이트에 연계한 원스톱 물류서비스 제공, 선진 3자물류 기술적 노하우 축적, 문전운송체계 실현, 전반적 거래진단 시스템 구비, 전략적 제휴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과 같이 국제 제3자물류의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국제무역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소량다빈도 형태의 전자무역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있다.

  • PDF

목포항 물동량 변화에 따른 항만개발전략 (A New View on Mokpo Port Development Strategies)

  • 박석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8-195
    • /
    • 2007
  •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무역항 중 침체상태 혹은 역할이 거의 정체되어 있는 목포항개발에 대한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부는 양항정책에 따라 동북아의 증가하는 물동량에 대처하기 위해 부산항과 광양항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의 항만개발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으로 부산항과 광양항은 대형항만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인천항과 평택항 그리고 당진항의 경우, 발해만 지역의 항만(천진, 대련, 청도 등)과의 경쟁심화로, 계속된 항만투자에도 불구하고 물동량이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항만들의 전략적 대안은 역내 늘어나는 물동량을 흡수하기 위한 전략 및 마케팅 능력이 요구된다. 반면 울산항의 경우, 항만개발에 비해 물동량이 확보된 경우, 항만개발로 인한 물동량 증가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마산항, 군산항, 목포항의 경우, 물동량이 아주 적은 관계로 항만개발을 유도하기 힘들다. 이런 경우, 항만인근에 자유무역지역을 설정하여 외국의 기업을 유치함으로써 항만물동량을 스스로 증가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래서 목포항개발을 위한 전략으로는 항만인근 지역을 자유무역지역을 지정하여 외국기업투자유치에 지자체가 노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