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안

Search Result 29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3D Auto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Polarized Step Barrier for Provide Improved 3D Image (향상된 입체 이미지를 제공하는 편광 스텝 배리어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연구)

  • Han, Sung-Ho;Kim, Jin-Su;Lee,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97-100
    • /
    • 2011
  • 본 논문은 다시점을 갖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안경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완성 단계에 도달하면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기존의 패럴랙스 배리어 중 스텝 배리어에 편광자의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적용하여 깊이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을 제거하므로 관찰자는 더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screw attached corn drum type garlic separator (나선부착 원추 드럼식 마늘쪽 분리기 개발)

  • 이영희;조남홍;박종률;최승묵;조광환;김재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17-322
    • /
    • 2002
  • 농가보급형 마늘쪽 분리기 개발을 위하여 마늘의 품종별 기하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나선 부착 원추 드럼식 마늘쪽 분리기를 제작하여 성능시험 및 농가 현장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종구용 통마늘의 크기를 조사한 결과 직경은 의성, 무안, 자봉이 각각 44.3, 51.9, 60.2mm로 나타났다. 2)통마늘의 최대 압축력 및 마늘쪽의 생물체항복 강도를 시험한 결과 수평방향 최대 압축력은 의성, 무안, 자봉마늘이 각각 185.1, 145.8, 148.5N이고, 마늘쪽의 생물체 항복강도는 의성, 무안, 자봉마늘이 각각 272.4, 336.2, 413.2N/$cm^2$로 통마늘은 의성종이 단단 하나 마늘쪽은 무안이나 자봉마늘에 비해 단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나선부착 원추 드럼 및 경사원통식 마늘쪽 분리장치를 제작하여 성능시험한 결과 1쪽 분리율이 의성, 무안, 자봉마늘에서 각각 58.2, 64.7, 95.2%이고, 손상율은 각각 2.0, 2.4, 1.9%이었으며 작업능률은 시간당 210kg(약 60접)이었다. 4)시작기를 전남무안의 재배농가에서 현장 시험한 결과 1쪽분리율은 75.9%, 손상율은 0.8%, 파종 후 출현율이 94.3%로 농가적응성 및 실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potranspiration data in Muan Flux tower (무안 증발산량 관측소 운영 결과 비교 분석)

  • Oh, Sung Ryul;Son, Kyung hwa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4-244
    • /
    • 2017
  • 2015년 국토교통부(영산강홍수통제소)에서는 물 순환 과정의 규명에 이용되는 증발산량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무안지역에 플럭스 타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무안 플럭스 타워는 에디공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 자료를 관측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는 무안 관측소에서 생산된 자료의 정상성 검토를 위하여 2015년과 2016년 운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무안관측소의 2015년도 연 증발산량은 615.8mm(연 강수량 대비 56.0%)로 나타났으며, 2016년도 연 증발산량은 721.5mm(연 강수량 대비 49.5%)로 나타났다. 연 증발산량은 전년대비 약 100mm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강수량 대비 비율은 6.5%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5년 대비 2016년 무강우일수는 6일 증가 하였으나, 실제 순복사에너지는 $18,320w/m^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 차이는 2개년 평균치의 약 2% 내외 수준으로 예년대비 순복사에너지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복합적 요인에 의해 정량적 크기가 결정되는 증발산량의 특성상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나, 2016년의 경우 전년대비 증가한 강우의 영향이 지배적이였던 것으로 검토되었다(2015강수량 : 1,099mm, 2016강수량 : 1,457mm). 월별 증발산량 비교 분석결과 정량적인 차이는 존재했으나 전년과 마찬가지로 1월부터 증발산량이 증가하여 8월에 최대 증발산량을 보인 후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냈으며, 5월과 6월이 증발산량이 역전되는 양상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남부지역 모내기 시기인 5월경 관개용수(Irrigation water) 공급에 따른 유입원의 증가와 함께 5월 대비 6월(장마철) 흐린날(Cloudy condition) 증가에 따른 상대적인 순복사에너지(5월: 약20만$w/m^2$, 6월: 약17만$w/m^2$)의 감소가 주 원인이였던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를 통해 볼 때 무안 증발산량 자료는 추가적인 경년변화 연구가 필요하겠으나, 국가통계자료로써 유의미한 자료로 판단되며, 향후 증발산량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관측망의 확대를 통해 국가 이수관련 정책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Trend of Multiview 3DTV Technologies and Standardization (무안경 다시점 3DTV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Cheong, W.S.;Yun, K.J.;Bang, G.;Lee, G.S.;Hur, N.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3
    • /
    • pp.17-26
    • /
    • 2014
  • 방송의 디지털 전환 완료 후, 세계 각국은 3DTV 및 UHDTV(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로 대표되는 실감방송서비스 및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3DTV의 경우, 현재 시판되고 있는 평면TV의 필수기능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 각국에서는 상용 3DTV 방송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UHDTV의 등장으로 무안경 다시점 3DTV의 걸림돌이던 해상도 저하문제가 해결되면서 시점당 해상도가 향상된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상용품 및 시제품들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안경 다시점 3DTV 방송 서비스도 가시화 될 것으로 보며, 이를 위해서는 다시점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 등의 표준기술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무안경 다시점 3DTV 기술의 핵심이 되는 디스플레이 기술과 다시점 3D 비디오 부복호화 기술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 PDF

Subject Test Using Electroencephalogram According to Variation of Autostereoscopic Image Quality (무안경 입체영상의 화질변화에 따른 뇌파 기반 사용자 반응 분석)

  • Moon, Jae-Chul;Hong, Jong-Ui;Choi, Yoo-Joo;Suh, Jung-Keu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4
    • /
    • pp.195-202
    • /
    • 2016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ubject tests for 3D contents using 3D glasses, but there is a limited research for 3D contents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o assess usability of electroencephalogram (EEG) as an objective evaluation for 3D contents with different quality using autosteroscopic display, especially for lenticular lens type. The image with optimal quality and the image with distorted quality were separately generated for autostereosopic display with lenticular lens type and displayed sequentially through lenticular lens for 26 subjects. EEG signals of 8 channels from 26 subjects exposed to those images were detected and correlation between EEG signal and the quality of 3D images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to check differences between optimal and distorted 3D contents. What we found was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a wave vibration, however b wave vibration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optimal and distorted 3D contents. b wave vibration observed for the distorted 3D image was stronger than that for the optimal 3D image. This results suggest that subjects viewing the distorted 3D contents through lenticular lens experience more discomfort or fatigue than those for the optimum 3D contents, which resulting in the greater b wave activity for those watching the distorted 3D conten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electroencephalogram (EEG) analysis can be used as a tool for objective evaluation of 3D contents using autosteroscopic display with lenticular lens type.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Allium cepa) during Storage (국내산 양파의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 Lee, Hee-Young;Jeong, Eun-Jeong;Jeon, Seon-Young;Cha, Yong-J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12
    • /
    • pp.1712-1717
    • /
    • 2008
  •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on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during storage at $0.5^{\circ}C$, which harvested in 6 regions, such as Muan, Buan, Andong and 3 regions of Changnyeong (Yueo, Jangma and Seongsan). A total of 45 compounds were detected in samples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GC/MSD, consisting mainly of sulfur-containing compounds (21), aldehydes (13), ketones (2) and miscellaneous compounds (9). The sulfur-containing compounds were major compounds with ranges of $66.9{\sim}86.9%$ of total volatiles in 0 day of storage as regardless of harvested regions. Three regions (Yueo, Seongsan and Muan) had high amounts of over 4,043 ng/g in 0 day of storage, whereas 2 regions (Muan and Yueo) only had amounts of over 2,400 ng/g after 60 days of storage. Five sulfur-containing compounds known as having antioxidant activity (2,4-, 2,5-dimetylthiophene, 2-vinyl-1,3-dithiane, 5-methoxy thiazole and 3,5-diethyl-1,2,4-trithiolane and isomer) were the high levels in 3 regions (Yueo, Seongsan and Muan) during 60 day of storage. These 3 regions had also the highest amounts in 5 sulfur-containing compounds known as having anticarcinogenic activity ((Z)-, (E)-methyl propenyl disulfide, (Z)-, (E)-propenyl propyl disulfide, and di-2-propenyl disulfide) and kept same trend after 60 days of storage.

Characteristics of Macro Benthic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on Summer and Health Assessment by using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and Water Quality Index (WQI) (하계 무안만 조하대 저서동물군집 특성 및 AZTI의 해양생물지수(AMBI)와 수질평가지수(WQI)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 Oh, Jun Ho;Lee, Kyoung Seon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7 no.1
    • /
    • pp.21-28
    • /
    • 2022
  • Benthic animals are important indicators in benthic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benthic animals, and assessed the benthic ecosystem using AMBI (AZTI's marine biotic index) and WQI (water quality index)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Samplings were collected from 10 stations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on summer. In the upper area of Muan bay, grain size was finer and organic content was higher than those of in the lower area. The pollution indicator organism such as Musculista senhousia, Theora fragilis and Lumbrineris longifolia were dominant at some stations. The benthic community was distinguished into three groups of upper, center and lower area of Muan bay, and which were coincided with the results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rganic matter content and benthic health assessment (WQI and AMBI).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ealth condition of the subtidal zone in Muan bay were good. However, from the results that benthic animals were not evenly distributed, and also the opportunistic species appeared, the load of organic matter in Muan bay seems to be increasing.

A Study on the Types and Determinants of Young Farmers: Focusing on Young Farmers in Muan-gun, Jeollanam-do (청년농업인 유형화 및 결정요인 분석: 전남 무안군 청년농업인 중심으로)

  • Hyangmi Yi;Jongha Ki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2
    • /
    • pp.107-124
    • /
    • 2024
  • Based on Muan-gun, Jeollanam-do, this study explores how to mitigate the disappearance of rual areas. The study surveyed 95 young farmers in Muan-gun to assess their farming practices and the challenges they face. We further employ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classify young farmers in Muan-gun,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ailored policies or initiatives aimed at fostering and supporting young farm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an County does not have any ordinances or original projects specifically designed to support young farmers. Second, the succession rate of farmland among young farmers in Muan County is 41.1%, which is comparable to the national rate of 43.7%. This indicates that approximately 40% of young farmers in Korea have inherited farmland, a critical foundation for agricultural activities. Third, despite accumulating farming experience, young farmers have not seen any improvement in local living conditions, and rather their difficulties have intensified. Fourth, this study conducted a factor analysis using 21 variables, resulting in the selection of seven common factors for cluster analysis. Consequently, young farmers in Muan Count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revealed that the typology of young farmers is influenced by indicators such as cultivated area, farming experience, demand for smart farms, farm income, and farming type (rice cultivation or other). Therefore, to attract young farmers and prevent the decline of rural areas, policy efforts should focus on minimizing entry barriers to farming infrastructure, such as access to farmland, and improving local settlement conditions.

Automatic Stereo Matching for Auto-stereoscopic 3D display (무안경식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자동 스테레오 정합)

  • Choi, Ho Yeol;Park, Jiho;Kim, Y.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140-141
    • /
    • 2012
  • 최근 영상분야의 키워드는 초고품질화, 초실감화, 스마트화로 대표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무안경식 3D는 초실감화를 이루기 위한 핵심응용분야 중 하나이다. 하지만 무안경식 3D 단말기가 성공적으로 보급되기 위해서는 연구되어야 할 분야가 여전히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본 논문에서는 고화질의 무안경식 3D 스마트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자동 스테레오 정합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전까지 연구된 변이지도 추출을 위한 알고리즘은 전역적 최적화 방법을 사용할 시 영상의 해상도와 깊이 정도에 따른 연산량의 증가로 많은 수행시간이 요구되었다. 또한 좌/우 영상의 intensity 정보만으로는 정확한 변이지도 추출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스트림 영상에서 프레임 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신뢰지도와 경계정보를 생성하였으며 belief propagation 스테레오 정합 방법을 이용하여 고화질의 정확한 변이지도를 추출하였다. 또한, 알고리즘의 연산량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속화 방안으로,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s) 를 이용한 병렬처리를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고화질의 영상정보를 고속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