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아레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a Grid Film for Moire Effect on Fibers (무아레 가공을 위한 Grid Film 제조 특성)

  • Jeong, Cheon-Hee;Min, Mun-Hong;Yang,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16-116
    • /
    • 2012
  • 국내 섬유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채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섬유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심미성을 발현하는 대표적인 후가공 기술인 카렌더 가공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 후진국에서도 보편화된 기술로 대량 생산으로 인한 가공비 저하, 물량 확보 등에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어 고부가가치의 신기술을 요구한다. 최근 이태리,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후가공 기술인 EMBO 롤러를 이용한 무아레 가공 원단이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무아레(Moire)는 프랑스어로 "물결 모양의 무늬"라는 뜻으로 직물에 파형(波形)또는 나뭇결 무늬를 나타나게 하는 가공 기술로, 국내에서도 EMBO 롤러를 이용하여 무아레 가공을 하거나 두 겹의 원단을 이용한 무아레 가공이 시도되고 있으나, 전자의 경우 사용되는 롤러가 일반 롤러에 비해 훨씬 고가이고 한 종류의 롤러로 제한된 패턴 밖에 표현할 수 없고 적용 소재가 한정되는 등 많은 단점을 지니고 있고, 후자의 경우 세탁내구성이 나빠 상품화조차 되지 못하고 있어 현재 국내 섬유가공 기술로는 고내구성을 가지고 다양한 효과를 발현하는 무아레 가공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직물의 경 위사 밀도차이를 이용하여 무아레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경 위사 조직을 갖는 이형(離型)원단에 PU 수지를 코팅하여 격자무늬(grid) 필름을 제조하고 제조된 Grid 필름과 Base원단을 라미네이팅하여 경 위사 밀도차에 의해 무아레 무늬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형원단과 Base원단의 경 위사의 밀도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3차원 무아레 무늬를 발현시킬 수 있으며 합성섬유 및 천염섬유 등의 원단 소재에 제약 없이 영구 내구성의 무아레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Grid 필름을 이용한 무아레 가공을 위하여 이형원단 제조 조건을 확립하였고, grid 필름 캐스팅 조건, 라미네이팅 조건을 달리하여 이형성 및 무아레 형상을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제품화에 필요한 요소 기술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Data Encryption Using The Morie Fringes (무아레 무늬를 이용한 암호 기법)

  • Kang, Hyeok;Lee, Byung-Rae;Kim, Ta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029-1032
    • /
    • 2001
  • 본 논문은 물리학적 현상 중 무아레 무늬를 이용해 통신 중에 사용되는 데이터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무아레 무늬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기존에 사용되어지는 데이터 암호화 기법에 대해 고찰하고 무아레 무늬를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를 제안하고 마지막으로 제안된 무아레 현상을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와 기존에 사용되는 암호화 기법을 비교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 PDF

Data Encryption Using the Moire Patterns (무아레 현상을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 Kang, Hyeok;Lee, Byung-Rae;Kim, Ta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670-672
    • /
    • 2001
  • 본 논문은 물리학적 현상 중 무아레 현상을 이용해 통신 중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무아레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기존에 사용되어지는 데이터 암호화 기법에 대해 고찰하고 무아레 현상을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를 제안하고 마지막으로 제안한 무아레 현상을 이용한 데이터 암호화 와 기존에 사용되는 암호화 기인을 비교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 PDF

A Scheme of User Face Recognition using a Moire Phenomenon in IoT Environment (IoT환경에서 무아레 현상을 이용한 사용자 얼굴 인증 기법)

  • Cho, Ik-Hyun;Lee, Keun-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2
    • /
    • pp.171-176
    • /
    • 2019
  • In modern times, many IoT products are being used as all things and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IoT products become easily accessible through the network.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IoT products can be remotely operated automatically without manual operation.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underwa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rs by using IoT products. However, since only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is pursued, in terms of security,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expos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is paper has proposed a method to apply $moir{\acute{e}}$ technology to IoT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ecurity, and a method to increase the safety of IoT products using user face authentication based on shadow $moir{\acute{e}}$ as a $moir{\acute{e}}$ phenomenon method, and the projection $moir{\acute{e}}$. When comparing the existing IoT products and IoT products applied with $moir{\acute{e}}$ technology, IoT products applied with $moir{\acute{e}}$ technology are safer in terms of security.

Determination of the absolute order of moire fringes of moire shadow topography with a criss crossed grating (사방격자를 이용한 그림자식 무아레 토포그래피에서의 무아레 무늬의 절대차수 결정법)

  • Jo, Sun-Mi;Yuk, Keun-Cheol;Jo, Jae-Heung;Chang, Soo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9 no.1
    • /
    • pp.9-14
    • /
    • 1998
  • We present a simple method of determining the absolute order of moire fringes formed by the moire shadow topography with a criss-crossed grating. Two experimental methods in this topography are proposed and demonstrated; one is to change the ratio of x and y pitches in a criss-crossed grating after fixing the position of a light source and a camera, and the other is to change the position of a light source and a camera after fixing the ratio of x and y pitches in a criss-crossed grating.

  • PDF

Moire fringe contrast due to surface slope of an object in additive type moire topography (덧셈 방식 무아레 토포그래피에서 물체의 경사각에 따른 무아레 무늬의 가시도)

  • 류재명;조재흥;임천석;강호동;김태현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202-203
    • /
    • 2002
  • 무아레 무늬는 주기적인 두 격자에 비간섭성 광원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격자의 모양에 따라 측정 물체의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 측정이 가능하다. 무아레 기술은 비접촉식 측정 방법으로 실험 장치가 단순하여 물체의 3차원 형상 측정[1], 진동 및 응력 측정[2], 매질의 굴절률 측정[3], 회전각 측정[4] 등과 같은 많은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무아레 무늬는 발생 방법에 따라 그림자식과 영사식으로 나뉘며, 영사식은 격자를 측정면에 투영시키는 방법으로 그림자식과 비교하여 격자보다 상대적으로 큰 물체도 측정할 수 있다. (중략)

  • PDF

Improvement of Moire Biometrics using Fuzzy Extractor (Fuzzy Extractor를 이용한 무아레 생체인증 개선 방안)

  • Beak, Seung Jin;Ahn, Ye-Chan;Kang, Hyok;Jeon, You-Boo;Lee,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39-341
    • /
    • 2017
  • 최근 생체인식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보급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보안의 문제에 대해서는 개선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인식 보안에 대해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아레 생체 인증의 보안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퍼지 추출기를 이용해 무아레 생체 인증의 보안성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기존에 있던 무아레 생체 인증 보안성과 퍼지 추출기를 이용한 무아레 생체 인증의 보안을 비교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2중파장 영사식 무아레의 N-Buckets 알고리즘 오차비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유원재;박낙규;강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81-181
    • /
    • 2004
  • 3 차원 형상측정기술(3-D Profile Measurement Method)은 가공품의 치수검사 및 형상측정 등의 공학분야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의류산업 및 의학산업은 물론 오락산업의 가상현실 구현 등 여러 분야로 점차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광학을 바탕으로 한 비접촉 3 차원 형상측정방법(Non-contacting 3-D Profile Measuring Method)은 고속, 고정밀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광학을 이용한 대표적인 3 차원 비접촉 측정방법의 하나인 영사식 무아레는 그림자식 무아레의 단점인 격자의 크기가 측정물체보다 커야 한다는 점과 측정물체와 격자사이의 거리 제한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위상이동법을 사용함으로서, 무아레 무늬 형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측정이 가능해졌다.(중략)

  • PDF

Visual Measurement of Rotational Displacements by Using Two Different Moire Fringes Simultaneously Generated by Repeated Sinusoidal Gratings (반복사인격자에서 동시에 생기는 두 가지 무아레 무늬를 이용한 회전변위의 가시적 측정)

  • Jeong, Youn-Hong;Oh, Jeong-Hyo;Jo, Jae-Heung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9 no.4
    • /
    • pp.302-309
    • /
    • 2008
  • We present the precise visual measurement method of rotational displacements using two different moire fringes simultaneously generated by repeated sinusoidal gratings. We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moire fringes depending on rotational displacements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 using a rotator in detail. The moire fringes are composed of the wide linear fringe part with a long period and the narrow linear fringe part with a short period. These parts are superior to the angle detection of more than 12 degrees and less than 12 degree,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method can be visually us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rotational direction by observing the moire fringe's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