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산지역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co-Service Values by Landuse Changes in Musan and Hoeryeung, North Korea (북한 무산시와 회령시의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생태서비스 가치 연구)

  • Lee, Min-Boo;Kim, Nam-Sin;Jin, Shi-Zhu;Kim, Ae-Bun;Zhu, Zh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4
    • /
    • pp.493-504
    • /
    • 2011
  • Based on 3-period land use data using RS and GIS, this paper analyzed landuse change and subsequent loss of ecosystem service value, using the ecosystem service value coefficients put forward by Costanza. Results show that from 1917 to 2006, area of crop land, plantation, building site, unused land increased and natural forest, grassland, water area, wetland decreased, in Musan region and Hoeryeung region. But the area of natural forest is acute reduced by 7,925.34ha and the amplitude of building site is increased rapidly in Musan region. The area of grass land is acute reduced by 71,594.34ha and the amplitude of unused land is increased rapidly in Hoeryeung region. Total ecosystem services value of Musan region reduced dramatically, from $66,135.26{\times}10^6$ won to $37,894.51{\times}10^6$ won in period 1917~2006. The net decreased ecosystem services value is $28,240.75{\times}10^6$ won and the increased amplitude is 42.71% in Musan region. Total ecosystem services value of Hoeryeung region reduced dramatically, from $145,862.69{\times}10^6$ won to $106,948.44{\times}10^6$ won in period 1917~2006. The net decreased ecosystem services value is $38,914.25{\times}10^6$ won and the increased amplitude is 26.68% in Hoeryeung region. Therefore, the effec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maintain sustainable development of environment.

  • PDF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정과정의 비교 분석: 민·관 정책중개자를 중심으로

  • Lee, Dan-Bi;Gu, Min-Gyo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v.48 no.3
    • /
    • pp.413-436
    • /
    • 2014
  • 본 논문은 청주·청원과 전주·완주의 행정구역 통합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2009년 두 지역의 통합은 모두 무산되었다. 그러나 2010년부터 이루어진 재시도에서 청주·청원은 통합에 성공한 반면 전주·완주의 통합은 또다시 무산되었다. 행정구역 통합을 설명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구조 및 환경 등 외생적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어 역사적 배경, 지리적 조건, 통합의 시기 등에서 여러 유사점이 있는 두 지역의 비교연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은 특히 전주·완주와 청주·청원의 행정구역 통합 결과의 차이가 나타난 이유로 정책중개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인 통합 결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통합절차를 5단계로 나누어 그 충족 정도를 분석하였다. 정책중개자는 그 정책선호와 지위를 기준으로 (1) 민-관 선호 정책중개자, (2) 관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3) 민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4) 선호 없음의 네 가지 역할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제1기(2009년~2010년)에는 두 지역 모두 민단독 선호 정책중개자가 나타났다. 그 결과 전주·완주에서는 여론조사에서, 청주·청원에서는 의회의결단계에서 그 통합시도가 무산되었다. 제2기(2010년~2013년)에는 전주·완주에서는 정책중개자 유형이 관단독 선호 정책중개자 유형으로 바뀌어 주민투표단계까지 도달하는 데 그쳤으나, 청주·청원에서는 민-관 선호 정책중개자로 바뀌어 최종 통합시 설치법 단계까지 도달해 통합이 완성되었다.

Biological Phosphorus Release and Uptake on Nitrate Loadings in Anoxic Condition of SBR process (SBR 공정의 무산소조건에서 질산염농도에 따른 생물학적 인의 방출 및 흡수 특성)

  • Lee, Hee-Ja;Kim, Kwang-Soo;Cho, Yang-Seok;Kim, 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64-1168
    • /
    • 2007
  • 질소 및 인 동시제거 공정 중 대표적인 연속회분식반응조(Sequencing Batch reactor: SBR)는 비교적 간편한 운전방법과 저렴한 건설비, 유입수의 부하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소규모 하수처리에 적합한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SBR 공정은 기존 활성슬러지 공법에 비해 적은 부지로 많은 양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고 유입수 수질 및 유량변동에 따라 다양한 운전주기를 변화할 수 있으며, 유기물 제거뿐만 아니라 반응조의 변형에 의해 영양염류의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nch scale SBR 실험을 통하여 질산염의 탈질속도 및 용해성 인의 흡수와 방출속도를 측정하고, SBR 공정의 무산소조건에서 인흡수 및 탈질을 동시에 수행하는 DPB 존재의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무산소조건에서 S-P의 방출과 흡수가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무산소조건에서 S-P의 방출속도는 $0.08{\sim}0.94\;kgS-P/kgMLSS{\cdot}d$, 흡수속도는 $0.012{\sim}0.1\;kgS-P/kgMLSS{\cdot}d$를 나타내었다. 무산소조에서 S-P의 방출 및 흡수가 진행되는 동안 탈질과정도 함께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F/M비에서 탈질속도를 측정한 결과 F/M비 $0.44\;kgCOD/kgMLSS{\cdot}d$에서는 최대 $0.16\;kgNO_3^-N/kgMLSS{\cdot}d$의 탈질속도를 나타내었다. S-P이 방출되지 않는 경우와 방출되는 경우의 비탈질속도를 비교한 결과 S-P이 방출되지 않는 경우의 비탈질속도가 S-P이 방출되는 경우의 비탈질속도보다 높았다. 이렇게 S-P이 방출되는 경우의 비탈질속도가 더 낮은 이유는 무산소 조건에서 탈질과 S-P의 방출 및 흡수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S-P의 방출에 관여하는 미생물과 탈질에 관여하는 미생물간의 경쟁반응 때문으로 판단된다.응답법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고, 이는 보다 복잡한 관망에서의 천이류 해석이 가능함을 시사한다.$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상주가 8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일반 지방관아와 서민들의 일상용기 생산으로 전락하여 소규모화 되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장 운동기능을 향상시키는 유효성분의 보강 등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더불어 산화물질 해독에 관여하는 다른 유전자

  • PDF

Estimation of the Amount of Mining and Waste Rocks at Musan Mine in North Korea Using a Historical Map and SRTM and Copernicus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s (조선지형도와 SRTM 및 Copernicus 글로벌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북한 무산광산의 채광량 및 폐석 적치량 추정)

  • Yongjae Chu;Hoonyol L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5_1
    • /
    • pp.495-505
    • /
    • 2023
  • The Musan mine, situated in Musan County, Hamgyong Province, North Korea, stands as a prominent open-pit iron min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focuses on estimating the mining and dumping activities within the Musan mine area by analyzing digital elevation model (DEM) changes. To calculate the long-term volume changes in the Musan mine, we digitized and converted the 1:200,000-scale third topographic map of the Joseon published in 1918 and compared with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InSAR) DEMs, including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 (2000) and Copernicus DEM (2011-2015). The findings reveal that over a century, Musan mine yielded around 1.37 billion tons of iron ore, while approximately 1.06 billion tons of waste rock were dumped. This study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it utilizes a historical topographic map predating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Musan mine to estimate a century's mining production and waste rock depos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investigation of surface change of North Korea where the acquisition of in situ data remains challenging.

Regional Decline and Sociodemographic Change in Kangwon Southern-Belt Mine Area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화)

  • Chung, Su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205-229
    • /
    • 2004
  • 이 글은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동 양상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탄광지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탄광지역이 쇠퇴하게 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지역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산업구조와 인구구조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연구 결과 태백지역이 쇠퇴하게 된 직접적인 요인은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의 시행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태백지역은 탄광산업이 지역성장이 유일한 원동력이었다는 사실 즉, 탄광산업의 쇠퇴는 바로 이 지역의 급격한 경기침체와 인구유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급격한 경기침체는 산업구조의 변화에서 잘 드러나고 있으며 인구유출 양상은 지역의 인구변화 추이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최근 폐광지역개발지원특별법에 의해 수립된 종합개발계획도 상당 부분 무산되거나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는 점과 지역개발을 강원랜드 카지노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 등이 드러나면서 지역경기 침체와 인구감소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탄광지역의 주민소득 증대는 물론 새로운 고용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백두산 화산활동이 량강도자연지리요소에 준영향

  • 유충걸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1.12a
    • /
    • pp.18-34
    • /
    • 2001
  • 량강도 북부지역에서는 지질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차례의 화산활동이 있어 자연경관을 훼멸, 복구하였다. 특히 갱신세에 분출된 현무암용암, 백두산 소백산에서의 알칼리성조면암의 발생, 800여년전에 분출한 부석은 원래의 자연경관을 훼멸,매몰하고 새로운 자연경관을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자연경관 형성에서 지질,지형,기후,식생,토양 등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작용하나 그중에서도 화산활동을 위주로한 지질작용이 주되는 인자로 되었다. 즉 용암의 분출에 의하여 본 지구의 지형을 1600m 높여 기후,식생,토양의 산지수직지대성을 형성하였고 강,호수의 형성도 식생,토양의 특성도 화산활동의 제한을 받았다. 모두어 말하면 본 지역의 자연경관은 800 여년 역사를 갖고 지금도 발전, 성숙과정에 있다. 본문에서는 백두산과 가까이 자리잡고 있는 량강도의 삼지연군, 대홍단군, 백암군, 보천군, 운훈군, 갑산군과 함경북도의 무산군, 연사군, 어랑군, 길주군의 일부지역 및 함경남도의 단천서북부가 포함된다. 지리위치로 보면 동경 128 도 16 분으로부터 동경 130 도 02 분까지이고 북위 42 도 10 분부터 북위 41 도 좌우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Surficial Sediment and Benthic Environments Based on Geochemical Data in Gwangyang Bay, Korea (지화학적 자료에 근거한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저서환경)

  • 현상민;팽우현;이태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2
    • /
    • pp.93-102
    • /
    • 2004
  • A total of 110 surface sediment we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ochemical e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s and to evaluate the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 of Gwangyang Bay. The surface sedimentary distribution can be classified by five facies; mud (M), sandy mud (sM), sand (S), muddy sand (mS) and gravely sand mud ((g)sM). However, mud face is the predominant sedimentary feature of the Gwangyang Bay. The benthic environment based on total organic carbon/total nitrogen (C/N) and total organic carbon/total sulfur (C/S) ratios of organic matter showed that anoxic environment is prevailed in some parts of the study area because the C/S ratio of organic matter was higher than 2.8. The hydrogen sulfide (H$_2$S) content showed extreme variability from site to site. It varies from 307 ppm to 1 ppm (average, 92 ppm). The inter-relationship of redox-sensitive elements (Mn, V, Mo and Cr) showed a relatively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high accumulation in the sediment at the inner sites of the Bay (left of Myo Island). High content of TOC and hydrogen sulfide, and a high accumulation rate of redox- sensitive element were predominant characteristics in the sediments at the inner sites of the Bay (left of Myo Island), suggesting that this area is in an oxygen deficient, and potentially polluted condition.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ing of Chinhae Bay (진해만의 3차원 수질 모델링)

  • 김차겸;이필용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2 no.1
    • /
    • pp.1-10
    • /
    • 2000
  •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ecosystem model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Chinhae Bay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 The model includes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and an eutrophication model, and the model operates on the same grid system. The agreement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results is reasonably encouraging. The concentrations of the calculated COD, DIN and DIP are appeared to be very high due to the phytoplankton production and the wastewater input in the northern part of Chinhae Bay. Anoxic and hypoxic water masses in the bottom layer occur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y due to the excess loading of wastewater and strong stratification, and in the western inner part of the bay due to high oxygen consumption in densely populated aquaculturing facilities. DO concentration contours show parallel to the bay entrance line, which means the importance of supplying DO by physical process from the mouth of the bay. Although both the hydrodynamic and biochemical processes play important role to form the hypoxic waters in the bottom of the inner bay, it is suggested that the hydrodynamic conditions such as the vertical and the horizontal eddy diffusivity are primarily important factors.

  • PDF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ore water, and headspace gas in the Ulleung Basin (울릉분지 퇴적물, 공극수 및 공기층 가스의 지화학적 특징)

  • Kim, Ji-Hoon;Park, Myong-Ho;Ryu, Byong-Jae;Lee, Young-Joo;Jin, Young-Ke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373-37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 울릉분지의 제4기 후기 퇴적물 내의 유기물, 공극수와 메탄의 특징 및 상호작용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지역에서 채취한 코어퇴적물을 원소 분석한 결과 C/N 및 C/S 비(wt. %)는 퇴적물 내 유기물이 주로 해양조류 기원을 가지고, 일반적인 해양 또는 정체 환경에서 퇴적되어Tdam을 지시한다. 그러나 Rock-Eval 열분석 결과는 유기물 기원이 육상식물(Type III)이고, 열적 성숙단계가 미성숙단계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원소분석과 열분석간의 상반된 결과는 유기물이 침강하는 동안 또는 퇴적 후 이루어진 강한 산화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퇴적물 내 공극수의 황산염 농도가 퇴적물의 심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감소하는 경향은 크게 두 가지 (적선성, concave down)로 나누어진다. 이는 모든 코어에서 황산엽 환원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시한다. 또한 직선선의 황산엽농도 구배는 무산소 메탄 산화작용(AMO)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황산염 농도의 수직적 구배를 이용하여 SMI(sulfate-methane interface) 심도를 계산하면, 남부울릉분지의 코어 (03GHP-01, 03GHP-02; <3.5mbsf)가 북부울릉분지 코어(01GHP-05, 01GHP-07, 03GHP-03, 03GHP-04, 03GHP-05; > 6mbsf)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위와 같은 SMI 심도차는 메탄의 상부 분산량과 밀접한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메탄가스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delta}^{13}C)$ 분석값들은 -83.5%o에서 -69.5%o의 범위를 가지고 있고, 이산화탄소 환원작용($CO)_2$ reduction)에 의한 생물 (biogenic) 기원임을 지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of rural community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GPS-X (PS-X을 이용한 소규모 마을하수도처리시설의 고도처리개선 연구)

  • Gu, Bon-Woo;Oh, Dea-Min;Lee, Young-Shin;Choi, Gun-Youl;Yang, Jong-Woon;Lee, Jung-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855-858
    • /
    • 2009
  • 우리나라 농어촌 지역은 경제 발전과 함께 식생활의 개선 및 주택 개량, 수세식 화장실 보급 확대등으로 생활 오수 발생량이 크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1994년부터 정부는 하수도법에 의한 수질개선 대책 사업등으로 마을 하수도 사업이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 몇몇 농어촌 지역의 마을하수도 시설의 노후화 및 처리용량 부적합 등으로 현재 질소, 인의 처리효율이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하지 못하여 주변 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고도처리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규모 마을하수도처리시설에 적용하고자 하는 고도처리개선공정을 GPS-X(General Purpose Simulator) 시뮬레이션으로 계획수질을 추정하여 대상시설에 적합한 고도처리개선공정을 설계하였다. 측정결과, 각 반응조별 시뮬레이션에서 혐기조, 무산소조, SBR1, SBR2 모두 일정한 처리형태를 보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한 유출수 예측결과, SS의 경우 97.3%, BOD 97.5%, TCOD 87.3%, TP 81.1%, TN 74.5%의 제거효율을 보여, 안정적인 고도처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