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동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무동무언증과 인지기능장애를 주소로 하는 급성 백질뇌증 환자 치험 1례 (A Case of Acute Leukoencephalopathy Patient with Akinetic Mutism and Cognitive Dysfunctions)

  • 김보은;정대규;김상호;이경석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5-392
    • /
    • 2013
  • This case report presents a 34-year-old female patient. Her chief complaints are akinetic mutism and cognitive dysfunctions. We have diagnosed her with leukoencephalopathy. She was treated with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Joojackwhan) for 33 days continuously. The effects of treatment were measured by the Korean Mini - Mental State Examination and Modified Bathel Index. After treatment, her chief complaints have been improved. Furthermore, the K-MMSE, MBI scores increased. From this case, we deduced that the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Joojackwhan) could be effective for cognitive dysfunctions and akinetic mutism caused by leukoencephalopathy.

무동 스튜디오(Meudon Studio)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 최재석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1호
    • /
    • pp.191-204
    • /
    • 1992
  • This study is done in order to settle down as a Architecture Movement mainly had conducted by Theo van Doesburg.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 on the Theo van Doesburg had used it as a house and studio, which had built in November 1930 since Agust 1925. Even though the works and theories of Theo van Doesburg had widely inffuenced on Modern Architects, these were the only experimental paper architecture by conceptural proposal of plastic architecture. Namely, The value of his works and theories did not overcome experimental archtecture. but, Theo van Doesburg left one work, at Meudon near Paris. This study intends to clear the special features of changing proc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n planing throughout from the planning to accomplisment of it.

  • PDF

좌측 앞대뇌동맥 뇌경색에 의한 무동무언증에 대한 치험 1례 (Case of Akinetic Mutism in Left-anterior Cerebral Artery Infarction)

  • 홍혜정;류혜랑;김경민;김영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30-336
    • /
    • 2016
  • Objectives: This clinic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on a patient with akinetic mutism.Method: A patient with akinetic mutism diagnosed with left-anterior cerebral artery infarction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ation; the patient was then evaluated for any improvements in clinical symptoms.Results: Improvements in akinetic mutism symptoms were observed following the TKM treatment.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KM treatment for akinetic mutism due to left-anterior cerebral artery infarction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궁중 악인(樂人)의 음악 연습과 『악장요람(樂章要覽)』 (Music practice by court musicians and Akjang yoram 『樂章要覽』)

  • 이정희
    • 공연문화연구
    • /
    • 제43호
    • /
    • pp.357-380
    • /
    • 2021
  • 『악장요람(樂章要覽)』은 악장의 요람, 즉 악장 중에서 중요한 내용만 뽑아 간추려 놓은 책이라는 의미이다. 전반부에는 악장(樂章)이, 후반부에는 악보(樂譜)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렇게 이원화된 체재는 정조대에 구축된 것이다. 필체와 수록된 가사의 작성된 시기를 통해 『악장요람』은 1809년 즈음에 작성된 후에도 세 차례에 걸쳐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즉, 총 네 단계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전해지게 된 것이라 하겠다. 다양한 필체와 수정한 흔적이 남아있다는 사실은 곧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쳤음을 의미하니, 『악장요람』의 표지 뒷면에 여러 자취가 남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전반부의 악장은 제례 절차를 기준으로 그에 수반되는 악곡명과 가사를 제시하는 방식이며, 특히 노랫말을 한문과 한글음으로 병기함으로써 가독성을 높였다. 후반부의 악보는 제례 절차를 준수하되 중복되는 선율을 과감하게 생략하여 음악을 기준으로 구성하였고, 율명·한문가사·가야금과 거문고의 격도지법·점('∙', '·')과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궁중음악을 담아냈다. 이러한 구도는 제례의 구조 이해와 제례의 의미를 글로 담아 놓은 악장을 숙지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삼고, 한문과 병기된 한글음을 보면서 정확하게 노랫말을 익히게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형태라고 하겠다. 의식 절차와 딕션을 선행한 후 전체적으로 음악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연습했던 방향성이 악장과 악보를 수록하는 방식에 투영된 셈이다. 이러한 수록 방식은 악인의 음악교육과 음악연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치였다. 수록곡들의 특징은 우방(右坊)의 향악기 전공자로써 익혀야 할 필수악곡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아울러 『악장요람』의 표지 뒷면에서 김형식(金亨植)이라는 이름이 주목되니, 순조대에 효명세자가 기획한 궁중연향에서 무동(舞童)과 대금차비(大笒差備)로 활약했던 그의 이력을 통해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악장요람』의 수록곡은 김형식과 같은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들이 평소에 연습하고 현장에서 연주하던 핵심 레퍼토리로 이루어진 것이다. 『악장요람』은 궁중악인의 일상이 담긴 '음악 연습 책자'였던 셈이다. 요컨대 『악장요람』은 주요 의례에서 노랫말을 정확하게 발음하면서 가창할 수 있게 악인을 교습시키려는 목적으로 고안된 책자로, 정조의 아이디어로 '악장+가보(歌譜)'의 체계를 갖출 수 있었으며, 순조대에 효명세자가 창작한 정재를 공연했던 무동으로 맹활약한 김형식이 소장자였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우방의 향악기 전공자이기도 했던 악공 김형식의 이름이 남아있는 데에다 이후 여러 악인들이 시대의 변화를 투영하여 수정하면서 활용했다는 실용성에서, 궁중음악을 전승하기 위해 지난한 과정과 시간을 보냈던 궁중 악인의 노정이 담겨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정보(李鼎輔) 시조(時調)의 풍류지리(風流地理) (Place of Pungryu(風流) in Lee, Jeong-bo's Sijo(時調))

  • 김주석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4권
    • /
    • pp.139-164
    • /
    • 2016
  • 이 논문은 이정보(李鼎輔)의 풍류지(風流地)와 그 의미(意味)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정보의 풍류지는 '호동(壺洞)'과 '학탄(鶴灘)'이었다. '호동'은 그의 관인생활(官人生活)의 근거지로 종묘(宗廟) 동쪽의 황교(黃橋)와 연지(蓮池)가 있는 마을이었다. '학탄'은 그의 귀거래(歸去來) 근거지로 주변에 저자도(楮子島)와 무동도(舞童島)가 있던 곳으로 탄천(炭川)과 양재천(良才川)이 한강(漢江)에서 만나는 학여울이었다. 주목되는 의미는 이정보의 풍류생활(風流生活)이 비록 치사(致仕) 후에 본격화되었다고는 해도 이미 관직에 봉직할 때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학탄풍류(鶴灘風流) 역시 그 시원(始原)이 오래된 것이다.

  • PDF

로우스틸 마찰재의 마찰 및 마모특성에 미치는 구리계 재료의 영향 (Effects of Copper and Copper-Alloy on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of Low-Steel Friction Material)

  • 정광기;이상우;권성욱;최성우;이희옥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6권4호
    • /
    • pp.207-214
    • /
    • 202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pper and copper-alloy on the frictional and wear properties of low-steel friction material. The proportions of copper and copper-alloy in the brake friction materials used in passenger cars are very high (approximately 5-20% weight), and these material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upric ingredients, such as the copper fiber and brass fiber, are investigated using the friction materials based on commercial formulations. After the copper and brass fibers from the same formulation were removed, the frictional and wear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copper and copper-alloy. We evaluated the frictional and wear characteristics by simulating various braking conditions using a 1/5 scale dynamome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friction material containing copper and brass fibers have excellent frictional stability and a low wear rate compared to the friction material that does not contain copper and brass fibers. These results are attributed to the excellent ductility, moderate melting point, high strength, and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of copper and copper-alloy. We analyzed the surfaces of the friction materials before and after the performing the friction tests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e, confocal microscope, and roughness tester to verify the frictional behavior of copper and copper-alloy. In future studies, it will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copper-free friction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자동차용 브레이크 마찰재에서 고망간강의 마찰 및 마모특성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High Manganese Steel in Brake Friction Material for Passenger Cars)

  • 정광기;이상우;권성욱;송명석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6권2호
    • /
    • pp.88-95
    • /
    • 202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manganese steel, and the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of brake friction material containing this steel, for passenger car application, with the aim of replacing copper and copper alloys whose usage is expected to be restricted in the future. These steels are prepared using a vacuum induction melting furnace to produce binary and ternary alloys. The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he high manganese steel decrease and the elongation increases with increase in manganese content. This material exhibits high values of hardnes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these properties are similar to those of 7-3 brass used in conventional friction materials. We fabricate high manganese steel fibers to prepare test pad specimens, and evaluate the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by simulating various braking conditions using a 1/5 scale dynamometer. The brake pad material is found to have excellent friction stability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friction materials that use 7-3 brass fibers; particularly, the friction stability at high temperature is significantly improved. Additionally, we evaluate the wear using a wear test method that simulates the braking conditions in Europe. It is found that the amount of wear of the brake pad is the same as tha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riction material, and that the amount of wear of the cast iron disc is reduced by approximately 10. The high manganese steel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copper-free friction material.

영남좌도 통신사 교방춤에 나타난 문화예술적 특징 (Cultural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 Gyobang Dance Displayed in Tonshinsa from Yeongnam Jwa-do Province)

  • 양지선;강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90-501
    • /
    • 2019
  • 본 논문은 영남좌도 통신사 연향에서 교방(敎坊)의 기녀들이 춘 교방춤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조선통신사들이 일본을 다녀온 후 기록한 28권의 기행문을 엮은 "해행총재(海行摠載)"와 문집류를 분석하였다. 통신사가 왕명을 받들고 일본으로 가는 길은 영남의 좌도(左道)를 이용했고, 임무를 마치고 한양으로 돌아가는 길은 영남의 우도(右道)를 이용했다. 나라에서는 통신사들의 항해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주고 무사안일을 기원하기 위해 성대한 연향을 베풀었다. 연향은 통신사들이 한양을 출발하여 부산으로 가는 하행길인 영남좌도에 집중되었다. 통신사들의 기록을 살펴본 결과 통신사 연향(宴享)은 영남좌도의 안동 영천 경주 밀양 부산 등에서 나타났다. 통신사 연향에 나타난 교방춤은 검무 황창무 처용 천도 무동 입춤 중춤이다. 통신사행을 통해 영남좌도는 '조선통신사 길'이 형성되었고 통신사 연향을 통해 교방춤의 예술성이 집대성되었다. 그러나 현재 영남좌도는 영남우도에 비해 전승되고 있는 교방춤이 현저히 적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영남좌도의 교방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조선통신사 길을 통해 형성된 영남좌도의 통신사 연향에 나타난 교방춤의 문화예술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왕직아악부의 정재 음악 연구 - 이병성·성경린 무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Jeongjae Performed by the Iwangjikaakbu(Royal Music Institute): Based on the mubo(choreography notes) of Lee Byungseong and Sung Gyeonglin)

  • 이종숙
    • 공연문화연구
    • /
    • 제34호
    • /
    • pp.173-2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이병성(李丙星, 1909-1960)의 '창사급정재철'(呈才及唱詞綴)에 수록된 11종의 정재를 기준으로 성경린(成慶麟, 1911-2008) 무보(舞譜)의 음악 관련 기록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 기록들은 비록 이병성과 성경린 개인의 것이지만,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 아악생 무동의 학습 자료로서 혹은 교재로서 무동 양성에 크게 일조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두 무보에 수록된 <처용무(處容舞)>, <향령무(響鈴舞)>, <무고(舞鼓)>, <보상무(寶相舞)>, <춘앵전(春鶯?)>,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수연장(壽延長)>, <만수무(萬壽舞)>, <봉래의(鳳來儀)>,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무산향(舞山香)> 등 11종의 정재는 당악정재와 향악정재로 구분된다. 당악정재인 <수연장>, <봉래의>, <장생보연지무>의 죽간자 등장에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이라는 아명(雅名)의 '보허자령(步虛子令)'이 사용되었다. 중무(中舞)와 무용수를 인도하는 음악은 '풍경지곡(豊慶之曲)'이 사용되었다. 향악정재에는 춤이 전개될 때의 음악으로 '함녕지곡(咸寧之曲)', 끝날 때는 '풍운경회지곡(風雲慶會之曲)'이 사용되었다. 이왕직아악부 정재 반주음악은 '삼현영산회상(靈山會上)'의 속곡(屬曲)인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환입 염불환입 타령 등에 다양한 아명을 붙여 사용한 특징이 발견되었다. 특히 "정재무도홀기"에 제시된 '향당교주(鄕唐交奏)'는 '삼현영상회상'의 여러 속곡임을 알 수 있었다. 정재 반주음악의 빈곤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상의 두 노트는 <학연화대합설무>의 보유자인 이흥구(李興九, 1940년생)의 개인소장 자료이다. 이병성과 성경린의 노트를 비교 분석하여 그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일제강점기 정재음악에 대한 이해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