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기태 질소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4초

연초가공부산물(煙草加工副産物)의 탄화정도(炭化程度)에 따른 질산중화능력(窒酸中和能力)과 비효(肥效) (Nutritional Effect of Carbonized Tobacco Leaf Debris Neutralized by Nitric and Phosphoric Acid on Nursery Seedlings)

  • 이윤환;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9-93
    • /
    • 1985
  • 질소(窒素)와 무기양(無機陽)이온이 다른 작물(作物)보다 풍부한 연초제조부산물(煙草製造副産物)인 담배부스러기를 재료(材料)로 하여 비료물질(肥料物質)을 개발하려고 하였다. 담배부스러기를 무게감소율(減少率)로 50%되게 탄화(炭化)시킨 후 유리된 칼륨으로 인한 염기성을 pH 7.0정도 되게 질산(窒酸)과 인산(燐酸)으로 중화(中和)하면 질소(窒素) 4%{유기태(有機態) 질소(窒素)(담배부스러기에 함유(含有)된 질소) 2%, 질산태실소 2%}, 인산(燐酸) 2%, 칼륨6%이상(以上)인 비료물질(肥料物質)이 되었다. 관행(貫行)의 연초육묘시(煙草育苗時)에 시비(施肥)되는 전체(全體) 질소량(窒素量)을 위의 중화이분탄화물(中和泥粉炭化物)로서 전량기비(全量基肥)로 $1kg/110{\ell}$ 정도를 상토(床土)와 혼합시용하여 육묘(育苗)한 결과 관행(貫行)과 같이 추비(追肥)를 시용(施用)하지 않고도 양호(良好)한 생육(生育)을 보였다. 이러한 효과(效果)는 속효성인 질산태질소와 완효성인 담배가루 구성물질의 유기태질소(有機態窒素)가 탄화물(炭化物)에 함유(含有)되고 또한 다량함유(多量含有)된 칼륨이 영양원(營養源)으로 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대두의 토양산도에 따른 질소반응 연구 I. 토양 및 양액의 산도와 질소시용량이 콩의 근류착생, Allantoin 태질소 및 전질소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Varietal Response of Soybeans to Nitrogen Application level Under the Different Soil Acidity I. Effects of pH and Nitrogen Application Level on Nodulation, Allantoin-N and Total Nitrogen Content of Soybean Plants)

  • 이홍석;권오하;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7
    • /
    • 1988
  • 토양 및 양액의 산도와 질소시용이 대두의 근류착생과 식물체중의 allantoin태질소 및 전질소함량과 주요무기성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산도에 따른 질소반응을 밝히기 위하여 장백콩과 두엽콩을 시험하여 산도를 산성(pH 5)과 중성(pH 7) 조건으로 하고 질소시용량을 4수준으로 하여 양액재배 및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류의 착생은 산성조건에서 적었고 질소증시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무질소구는 표준질소구보다 떨어졌으며 특히 근류의 건물중은 중성조건에서 질소증시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식물체중의 allantoin 태 질소함량은 엽보다 줄기중에 현저히 많았는데 산성조건과 질소증시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특히 중성조건에서 질소증시에 의한 allantoin 태 질소함량의 감소가 현저하였으며 이와같은 경향은 단엽콩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3. 근류의 착생정도는 식물체중의 allantoin 태 질소함량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은 pH가 낮은 산성조건에서 감소하였고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가하였는데 그 정도는 산성조건에서 현저하였고 특히 장백콩에서 잘 나타났다. 5. 식물체중의 K, Ca, MG, Mn 등의 함량도 산성조건에서 감소하였고 칼리함량은 질소시용량의 증가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6. 상성조건에 의한 근류의 착생, 식물체중의 allantoin 태질소 및 전질소함량 등의 감소정도는 단엽콩에 비하여 장백콩에서 적게 나타나 내산성 품종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유휴 논토양을 이용한 Reed Canarygrass의 잠재생산성에 관한 연구 I. 예취빈도에 따른 무기태 질소의 시비가 Reed Canarygrass의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Potential Herbage Production of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 using Uncultivated Rice Paddy. I The effect of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according to cutting frequencies on dry matter yield on Reed canarygrass)

  • 이주삼;조익환;안종호;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1-280
    • /
    • 1994
  • 본 실험은 전차 확대대어 가는 유휴 논토양에 Reed canarygrass를 재배하였을 때 , 예취빈도와 무기태 질소시비가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Reed canarygrass의 잠재생산성의 증대를 위한 경제적 이고도 합리적인 예취빈도와 지로시비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빈도에 EKfms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3회와 4회 예취구에서 2번초, 5회 예취구에서는 3번초에서 연간 건물수량의 43.1, 34.0 및 34.1%를 나타내어, 다른 예취번초에 의하여 가장 높은 상대수량을 기록하였다. 2. 모든 예취구에서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연간 건물수량이 증가하였으나, 무기태 질소는 예취빈도멸 30kg/ha으로 증시하였을 때 무질소시비구에 비해 3회 4회 5회 예취에서 각각2.7ton, 3.3ton 및 3.4ton/ha의 가장 큰 건물수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4. 질소시비에 따른 전물생산효율(kg DM/kg N)은 3, 4회 및 5회 예취구의 30kg/ha 수준에서 2937kg, 27.2kg 및 22.8kg의 가장 높은 건물을 생산하였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수준에서의 건물생산효율은 저하되었다. 전질소량(kg TN/kg N)에 있어서도 예취빈도별 30kg/ha(4회와 5회 예취구)와 60kg/ha 수준(3회 예취구)에서 각각 0.45kg, 0.48kg 및 0.46kg의 높은 전질소량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수준에서 전질소량은 저하되었다. 5, 경제적 시비수준의 범위는 3회 예취구에서 119.2~243.3kg/ha, 4회 예취구에서 253.4~295.4kg/ha 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 302.2~361.2kg/ha의 범위였다. 6. 본 실험의 조건에서 논토양에서 재배되고 있는 Reed canarygrass의 잠재생산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예취빈도는 연간 3회로써, 질소이용효율이 높았고, 경제적 시비수준은 200~240kg/ha에서 15~16ton/ha정도의 경제적 한계수량을 얻었고, 400kg/ha 미만의 한계시비수준에서 17ton/ha의 최대건물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한국산(韓國産) 이탄(泥炭)과 답토양(畓土壤)의 유기물(有機物) 조성(組成)과 질소(窒素)의 형태별(形態別) 분포상(分布相) (Composition and Nitrogen Distribution of Peat and Organic Matter from Paddy Soil in Korea)

  • 임선욱;문무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6-273
    • /
    • 1983
  • 김포(金浦), 평택(平澤), 김제(金堤), 영동산(永同産)의 이탄층(泥炭層)과 송당(松堂) 및 제동(濟東)의 비교적 유기물 함량(含量)이 많은 화산회토(火山灰土) 및 무기질답(無機質畓)의 작토층(作土層)으로부터 채취한 토양시료(土壤試料)를 사용(使用)하여 그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및 유기태(有機態) 질소(窒素)의 형태별(形態別)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상호(相互) 비교(比較)하였다. 1. 김포(金浦), 평택산(平澤産) 이탄(泥炭)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60% 이상(以上)으로 김제(金堤), 영동산(永同産) 이탄(泥炭)보다 많았으며 그 외 김질소(金窒素), CEC, 회분함량(灰分含量)도 차이(差異)가 있었다. 2. 이탄(泥炭)의 Lignin, Hollocellulose 및 Hemicellulose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12~25%, 15~31%, 7~14%, 이었으며 김포(金浦) 이탄(泥炭)은 다른 것과 비교하여 Lignin 함량이 많았다. 3. 6N-HCl 산가용성(酸可容性) 질소(窒素)는 전질소(全窒素)의 67~88%이었으며 화산회토(火山灰土)(86.4%), 무기질토양(無機質土壤)(77.2%) 이탄토(泥炭土)(72.3%) 순(順)이었다. 4. 산가용성(酸可溶性) 질소중(窒素中) 분획정량(分劃定量)한 4종류(種類)의 유기태(有機態) 질소(窒素)는 아미노산태(酸態)(25~45%), 미지태(未知態) (12~50%), 암모니아태(態)(12~25%), 아미노당태(糖態)(1~7%) 순(順)이었다. 5. 이탄(泥炭) 및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의 산가수분해물중(酸加水分解物中) 아미노산(酸)의 종류(種類)는 유기물(有機物)의 급원(給源)에 따른 큰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각(各) 함량(含量)은 조건(條件)에 따라 변동(變動)되는 듯하다.

  • PDF

항온 호기 배양 조건에서 잔디 예초물 액비로부터 무기화된 질소의 농도 변화 (Variation Patterns in Concentration of Inorganic Nitrogen from Liquid Grass Fertilizer during Aerobic Incubation)

  • 이태규;박지숙;이민진;김종성;노희명;김상준;전승우;서상국;김길용;이건형;정병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20-1125
    • /
    • 2012
  • 이번 연구에서는 잔디 예초물 혼합액비가 지닌 질소질비료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사양토와 양토에 잔디 예초물 혼합액비를 처리 후 $25^{\circ}C$에서 60일간의 항온배양실험을 진행하였고 배양기간 동안의 pH, 전기전도도, 질소의 무기화와 질산화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잔디 예초물 혼합액비를 시용하였을 경우 토양 내에서 무기화가 일어나지 않았고 혼합액비 내의 무기태질소가 질산화작용을 통해 질산태 질소를 발생시키는 것을 보았는데 60일간의 배양 결과 양토에서는 $185.58mg\;kg^{-1}$의 질산태 질소가 존재하였고 사양토의 경우 $130.05mg\;kg^{-1}$의 질산태 질소가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잔디 예초물 혼합액비를 현행 질소 시비수준으로 처리하였을 경우 사양토에서 pH 5.1, EC (1:5) $0.50dS\;m^{-1}$로 나타났고, 양토에서 pH 7.2, EC (1:5) $0.65dS\;m^{-1}$를 나타냄으로써 산성화와 염류집적을 일으킬 가능성도 함께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잔디 예초물 혼합액비가 질소질 비료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유기 부산물을 재활용한 질소 공급원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시설재배지 토양 검정에 의한 배추의 적정 시비량 (Optimum Fertilization Based on Soil Testing for Chinese Cabbage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s)

  • 홍순달;강보구;김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24
    • /
    • 1998
  • 시설재배 토양의 염류집적 방지를 위한 적정 시비량 추천방안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6년도에 영동군, 보은군, 청원군, 및 청주시의 시설재배지로부터 염류농도가 다양한 20개 토양을 채취하여 폿트 시험으로 무비구와 시비구로 구분하며 배추의 생산성과 비료효과를 조사하였다. 무비구의 배추 건물중 및 질소, 인산, 칼륨 흡수량을 비옥도 요인으로 그리고 이들 조사자료에 대한 시비구와 무비구의 차이 값을 비료 전체효과 및 비료 질소, 인산, 칼륨효과로 고려하였다. 비옥도 및 비료효과 요인들은 화학적 검정 방법들과 회귀관계를 분석하여 시설재배 토양의 적정 시비량 추천을 위한 검정법의 선발과 검정 기준을 추정하였다.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9.3및 15.2 ds/m인 두 토양들은 염류장해에 의하여 배추 묘의 활착이 불가능하였다. 무기태질소($NO_3-N$, $NH_4-N$), 전기전도도 및 양이온 치환용량은 비옥도 및 비료효과의 두 요인들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갖는 검정법으로 선발 되었다. 배추의 생산력 및 비료효과에 대한 화학성들의 가중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표준 편회귀 계수를 분석 한 결과 무기태질소 함량의 편회귀 계수 절대치는 756~1871으로서 0.07~4.11 범위를 보인 다른 검정법들에 비하여 월등히 큰 값으로 절대적인 기여도를 보이며 가장 양호한 검정법으로 확인 되었다. 무비구 배추의 생산력 및 비료효과의 두 요인들과 무기태 질소 함량의 분산형 도표를 이용하여 Cate-Nelson split방법으로 평가 한 결과 최대의 생산력 및 비료효과 0가 되는 검정 기준값은 모든 평가 요인들에 대하여 $NH_4-N+NO_3-N$ 함량으로 220 mg/kg의 동일한 수준으로 추청 되었다. 이러한 검정기준은 시설재배 토양의 배추재배를 위한 시비의 한계기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설재배 토양의 배추재배에 대한 적정 시비량은 무기태 질소 함량 220 mg/kg 을 시비 한계기준으로 정하고 기준값 이하는 비료효과와의 회귀관계로부터 추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시설재배 토양의 검정법으로 많이 활용되는 전기전도도와 배추 생산력과의 관계에서 검정기준간은 2.8 ds/m로 추정 되었다.

  • PDF

석회물질 시용이 Burley종 연초의 수량과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Burley Tobacco (Nicotiana tabacum L.) to Application of Lime Materials)

  • 이철환;김용옥;박수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8-203
    • /
    • 1989
  • Burley 종 연초재배에 있어서 석회시용의 타당성을 구명하고자 Burley 21을 공시품종으로 석회무시용구, 황산칼슘(Ca : 35kg/10a), 탄산칼슘(Ca : 35kg/10a) 농용석회(pH 6.5 조정량) 시용구를 두고 수량, 엽중 무기 및 유기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회무시용구에 비해 황산칼슘 시용구는 토양 및 엽중 무기성분 함량에서 대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탄산칼슘과 농용석회시용구는 Ca, mg 함량이 높아지고 Al, Mn, Fe 함량은 감소하였다. 2. 담배 수량은 석회무시용 < 황산칼슘 < 탄산칼슘, 농용석회순으로 나타났으나, kg 당 가격은 차이가 없었다. 종자 생산량은 무시용 < 농용석회 < 황산칼슘, 탄산칼슘순으로 증가하였다. 3. 무시용구에 비해 황산칼슘시용구는 건조엽의 암모니아 태질소, 비수용성알칼리 계수가 높았으며, 탄산칼슘시용구는 수용성 및 비수용성알칼리 계수, 향기성분 함량이 높았으나, 단백태질소, 석유에텔추출물 함량은 낮았다. 농용석회시용구는 질산태질소, 수용성 및 비수용성알칼리계수, 향기성분 함량은 높았으나, 단백태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니코틴 석유에텔추출물 함량은 낮았다. 석회시용에 의한 엽중 화학성분의 변화는 장, 단점이 상쇄되어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토양 pH를 미산성 (pH 6.5내외)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석회 시용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질소공급,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대한 녹비작물 환원 효과 (Isotope Ratio of Mineral N in Pinus Densiflora Forest Soils in Rural and Industrial Areas: Potential Indicator of Atmospheric N Deposition and Soil N Loss)

  • 곽진협;임상선;박현정;이선일;이동석;이계한;한광현;노희명;이상모;최우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6-52
    • /
    • 2009
  • 질소동위원소비(${\delta}^{15}N$)가 낮은 대기질소 강하물의 유입에 의해 산림 생태계 내 다양한 시료(나이테, 엽, 토양)의 ${\delta}^{15}N$ 값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토양 미생물과 식물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토양 무기태 질소의 ${\delta}^{15}N$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본 연구는 대기질소 강하물이 상대적으로 적은 농촌지역과 많은 공업지역에 위치한 적송 산림지역의 유기토양층과 무기토양층(0~20 cm와 20~40 cm) 중 $NH_4{^+}$$NO_3{^-}$${\delta}^{15}N$값을 분석하여 두 지역간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delta}^{15}N$ 값을 근거로 조사 지역의 질소손실 민감성을 평가하였다. 농촌지역과 공업지역에서 $NH_4{^+}$${\delta}^{15}N$ 값은 각각 +8.9 ~ +24.8‰과 +4.4 ~ +13.8‰로 분포하였다.유기토양층과 무기토양층(0~20 cm)에서 두 지역간 $NH_4{^+}$${\delta}^{15}N$값 차이가 나타났는데, 공업지역에서 각각4.4‰과 +13.8‰이었고, 농촌지역에서는 각각 +8.9‰과 +24.3‰로 공업지역에서 더 낮은 ${\delta}^{15}N$ 값이 나타났다.이는 공업지역에서 ${\delta}^{15}N$값이 낮은 대기 유래 $NH_4{^+}$ 유입량이 더 많았음을 의미한다. 한편, $NO_3{^-}$${\delta}^{15}N$ 값은 지역간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NO_3{^-}$가 용탈과 탈질 등에 의해 쉽게 손실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질소동위원소 분할 효과에 의해 강하물에서 유래된 $NO_3{^-}$${\delta}^{15}N$ 기여도가 낮아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관측된 무기태 질소의 ${\delta}^{15}N$ 값은 다른 지역에서 조사된 $NH_4{^+}$(-10.9 ~ +15.6‰)과 $NO_3{^-}$(14.8 ~ +5.6‰)의 ${\delta}^{15}N$ 값보다 매우 높은데, 이는 본 연구지역에서 토양 질소 손실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산림토양의 무기태 질소 중 $NO_3{^-}$보다 $NH_4{^+}$이 질소공급원(대기 질소 강하)에 대한 ${\delta}^{15}N$ 정보를 보다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조건(이앙시기, 수확시기, 질소시비)별 쌀의 무기질 조성 비교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of Three Rice Varieties under Different Cultural Practices)

  • 황혜림;김경희;이정;정종태;이재철;최종진;천종필;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21-726
    • /
    • 2009
  • 재배조건별(이앙시기, 수확시기,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쌀의 무기질 조성의 차이를 분석 비교하기 위하여 3가지 품종(조생흑찰, 흑진주벼, 동진찰벼)의 Ca, Na, Mg, Na, P, Fe, Mn, Zn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앙시기에 따른 조생흑찰의 무기질 조성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무기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앙시기에 따른 Mg/K 함량비의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수확시기에 따른 조생흑찰의 무기질 조성은 수확시기 60일에 최대값을 보였고, 수확시기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소시비에 따른 조생흑찰의 무기질 조성은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13.5 kg/a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Mg/K 함량비는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앙시기에 따른 흑진주벼의 무기질 조성은 Ca, K, Mg, Na, P, Zn이 5월 15일, 5월 25일에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으나 이앙시기에 따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고, 흑진주벼의 수확시기와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무기질 조성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흑진주벼의 Mg/K 함량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앙시기별 동진찰벼의 무기질 조성에서, 이앙시기가 5월 25일과 6월 14일에서 대부분의 무기질 함량이 증가하였고, Mg/K 함량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동진찰벼의 무기질 함량은 60일과 70일에 높은 값을 보여 전반적으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Mg/K 함량비는 30일과 40일에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질소시비수준에 따른 동진찰벼의 무기질 조성은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Ca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Ca을 제외한 다른 무기질은 시비수준에 따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Mg/K 함량비는 조생흑찰, 흑진주벼와는 달리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쌀은 품종과 재배조건 및 토양의 영양 이용성에 상당히 의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