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무기체계 국산화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Integration Capa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and Quality Management upon the Success of the Localization of Weapon System (제품개발과 품질경영 통합 역량이 무기체계 국산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ung, Chang-Gyun;Yang, Hae-So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89-100
    • /
    • 2012
  •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whether the integration of product development and quality management have influence on the success of localization of weapon system. To that end,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a total of 110 systematic major defense contractors, their subcontractors and small-and-medium sized defense contractors. The result shows that success of the localization of weapons system, as well as the price of localization, manufacturing time, and quality turn out to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ctors of quality management capabilities includ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apability, organizational capability and process capability and R&D development factors including human resources capabilities, capability to accumulate technology and internal/external collaborative capabilities. To sum up,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gration of quality management and product development continuously provides a competitive strength in developing new product by a non-defense company as well as localization of core parts of weapon system.

A study of the selection criteria for Localization of Military Weapon (무기체계 국산화 대상 선정기준 연구)

  • RYU, SEOKBEO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4
    • /
    • pp.338-344
    • /
    • 2021
  • Elements that threaten domestic security, such as diplomatic changes in the four major power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restrictions on supply and demand of parts due to COVID-19, are constantly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localizing weapon systems has grown to respond proactively to the threat. As localization is not conducted evenly by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riteria for selecting localization targets. Establishing standards for selecting targets is difficult due to a lack of research to identify targets. This paper emphasized that the smooth supply of parts from overseas should be examined to identify targets for localization. If suppliers are not distributed evenly in the market, there is a risk of potential supply problems. CRk and HHI, representing the market structure, were proposed as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smoothness quantitatively. Among them, CRk is used in Korea to check the market concentration, but there is a limit in the subjectivity of the evaluator, so it cannot be applied without a separate study on the market structure. Therefore, HHI should be applied.

방산물자 국산화 촉진을 위한 정책방향(2)

  • Kim, Gwang-Yeol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270
    • /
    • pp.28-39
    • /
    • 2001
  • 국산화에 대한 정책결정권자의 강력한 의지와 국산장비와 부품을 사용한다는 원칙이 확고하여야 한다. 무기체계획득의 한 분야로서 국산화추진은 연구개발 또는 기술도입 생산에 5년 내지 10년 이상이 소요되는 장기적인 사업이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정책집행이 또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도 정책결정권자의 국산화 의지가 확고하여야 한다. 정책결정권자의 의지가 분명할 때 국산장비를 사용한다는 원칙이 국산화정책에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반영될 수 있으며, 또한 관련부서 및 업체간에 유기적인 협조체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 PDF

방산 부품.소재 국산화 개발 대책

  • Choe, Seok-Cheol;Min, Gye-Ry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264
    • /
    • pp.18-25
    • /
    • 2001
  • 방산 부품.소재의 국산화는 국방연구개발과 국내 방위산업의 육성을 통하여 달성된다고 볼 수 있으며, 오늘날 선진국의 방위산업 육성은 무기체계의 생산이 군사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즉 국가안보와 산업경쟁력 강화라는 이중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짧은 기간에 제품설계 능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모방생산을 위주로 생산 조달이 이루어져 온 관계로 주요 장비의 국산화율이 저조하여 군에서 운용상 문제점 발생으로 군의 전투력 저하요인이 되고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는 실정이다.

  • PDF

A Study on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Part Localization of Weapon System through Patent Information (특허정보를 이용한 무기체계 부품국산화 개발기술 동향조사 및 분석)

  • Kim, Sung-Kyu;Choi, Chung-Seok;Choi, Yoon-Hyeok;Kim, Jin-H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524-533
    • /
    • 2021
  • Recently, due to the increasing necessity of developing core parts for weapons systems, the project for localization of parts for weapons systems is expanding. In order to apply the developed core parts to the domestic weapon system and advance into the overseas market, it is necessary to plan a project that reflects the technology trends in advance. This study derived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conducting the patent research and analysis. Also, suggested plan for applying the analysis results when project planning and selecting. As a detailed method, patents related to the 2019 year selection project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by year and number of applicants from the time of the first application to the present were analyzed. And the growth stage of the technology market was derived. The comprehensive result was derieved through the portfolio analysis by arranging the parts localization technology in each area of the matrix consisting of market growth stage and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parts localization projec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applying plan for improving project selection process. we expect the promotion of defense industry and the effective task planning.

A Test Case Generation Method for Data Distribution System of Submarine (잠수함 데이터 분산 시스템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 생성 기법)

  • Son, Suik;Kang, Dongsu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8 no.4
    • /
    • pp.137-144
    • /
    • 2019
  • Testing maturity is critical to the system under development with lack of experience and skills in the acquisition of the weapon systems. Defects have a huge impact on important system operations. Sharing real-time information will lead to rapid command and mission capability in submarine. DDS(Data Distribution System) is a very importa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interface between various manufacturers or data formats. In this paper, we analyze data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istributed data system to group data-specific systems and proposes a test case-generation method using path search of postorder and preorder which is a tree traversal in path testing method. The proposed method reduces 73.7.% testing resource compare to existing methods.

국방-IT융합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안

  • Yu, Cheon-Su;Sim, Seung-Bae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4
    • /
    • pp.3-10
    • /
    • 2011
  • 본고에서는 산업-IT융합포럼의 국방 분과 운영 경험을 토대로 국방에 IT를 융합하여 발전시키기 위한 현안을 살펴보고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화 관점에서 국방 내 외부 요인을 검토하여 1)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기술에 대한 군사적 적용가능성을 시험 검증하여 신속하게 도입할수 있는 방법 2) 검증된 상용기술 제품에 대하여 중장기 기획관리 절차를 생략하고 빠르게 전력화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 3) 무기체계 개발에 있어 국산 소프트웨어의 채택 4) 현 방산업체가 제작하는 무기체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하여 일반기업에게도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기존 정보화보다는 큰 틀에서 국방과 IT의 융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국가의 산업-IT융합 정책과 보조를 맞추되 국방 내부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IT 시범사업의 활성화, 상용 제품 및 기술의 검증을 위한 실험부대의 설치 및 운용 등의 다양한 개선대안을 제시한다.

Defense Industry Competitiveness Study for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수업체 참여 방안 연구)

  • Lee, Hyeong-Jin;Jeong, Seon-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279-291
    • /
    • 2012
  • 1970년초 '자주국방'으로 시작한 방위산업의 역량은 재래식 무기의 국산화 단계를 넘어서 일부 첨단무기를 독자 개발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하지만 그동안 방위산업 정책은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이뤄졌었고, 방위산업체를 중심으로 한 제한된 경쟁체제였다. 그 결과 국방과학기술 경쟁력은 11위인 반면에 민수분야 과학기술경쟁력은 4위로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 또한 2009년 스톡홀롬 국제평화연구소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무기 수입국 3위인 반면, 수출은 17위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시작하였으며, 특히 민수업체의 방산분야 참여를 통해 국내시장의 규모를 넓히고, 국내경쟁력 향상하고, 더 나아가 방위산업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국가 방위력개선 뿐만 아니라 수출 선도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개방형 기술혁신체계 구축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민수분야의 조사를 통해 방위산업 진입장벽을 파악하였으며, 진입장벽 해소를 통해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국방분야의 개방형 기술혁신체계 구축은 국가과학기술을 선도하고, 군 전력증강 및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