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무게중심값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9초

스탠스 폭에 따른 신체 좌우 이동의 교육단서 제공을 위한 운동역학적 분석 (Kinetic Analysis for Providing Education Cues on Left and Right Maneuvers of Body by Stance Width)

  • 이동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56-56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탠스 폭에 따른 신체의 좌우방향 이동에 대한 동작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남자 대학생 7명(평균 신장 $174.9{\pm}4.8cm$, 평균 체중 $70.9{\pm}6.6kg$)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을 위해 고속카메라 9대와 지면반력기 2대가 이용되었으며, 두 가지의 스탠스 폭은 좁은 보폭(평균 42.9cm)과 넓은 보폭(평균 65cm)으로 제한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좁은 보폭이 양발이 착지 후 오른발이 이지하는 순간까지, 즉 추진 구간의 소요시간에서 유의하게 짧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둘째, 스플릿 스텝 후 오른발 이동 변위는 좁은 보폭이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무게중심 속도는 오른 발 이지 시와 최대 속도에서 두 보폭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오른발 이지시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각도는 좁은 보폭의 각도가 유의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오른발 이지시 지면반력 값은 두 보폭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응 반향제거기에서 퍼지규칙에 기초한 동시통화 검출 (Double Talk Detection Based on the Fuzzy Rules in Adaptive Echo Canceller)

  • 류근택;김대성;배현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34-4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장거리 통신시스템의 적응 반향제거 기에서 퍼지제어 시스템에 기초한 새로운 동시통화 검출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에서, 동시통화 검출을 위한 퍼지추론의 두 입력 변수는 근단 신호와 실제 반향 신호가 더해진 소요 신호와 에러 신호 사이의 상호상관계수와 소요 신호와 추정된 신호 사이의 상호상관계수를 사용하였다. 퍼지 제어기에서 사다리꼴 소속함수로 퍼지화하고 if-then 추론규칙을 이용하여 max-min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결과를 무게중심법에 의하여 디퍼지화한 값으로 동시통화와 반향경로 변화 그리고 동시통화시 반향경로 변화를 검출하도록 하였다. 퍼지 동시통화 검출기는 기존의 알고리듬보다 동시통화와 반향경로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동시통화시에 반향경로 변화에도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적외선 LED 기반 모션 분석을 통한 재활훈련 시스템 (A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Using the infrared LED based Motion Analysis)

  • 최완;임철수;김태영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9-36
    • /
    • 2007
  • 본 논문은 모션 인식 분야 중 지체 장애인의 재활훈련과 같은 치료 분야를 위하여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모션 분석과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장애인 사용자의 특징점 위치에 무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밴드를 착용하고 적외선 필터를 장치한 카메라로 좌표 값을 얻어낸 후 미리 정의되어있는 동작과의 일치 여부를 판별함으로 모션 분석이 가능하며 분석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모션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의 특징점 좌표들만으로 동작을 판별하는 것이 아닌 각 특징점 좌표들을 꼭지점으로 가지는 다각형의 무게중심과 특징점 좌표들의 벡터를 구한 후 일정한 거리와 각도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발광 다이오드의 속한 구간을 알아낸다. 이 같은 모션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장애인 치료 전문기관인 삼육 재활학교에서 구성한 재활훈련 시나리오의 동작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초당 20프레임 정도의 빠르면서도 98%에 가까운 정확한 인식률을 얻을 수 있다.

  • PDF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평가를 위한 Balancia 프로그램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alancia using Wii Balance Board for Assessment of Balance with Stroke Patients)

  • 박대성;이동엽;최성진;신원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767-2772
    • /
    • 2013
  • 균형은 일상생활의 기본적인 요소이며 균형능력의 평가는 무게중심의 측정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Balancia 프로그램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COP의 측정을 위한 장비로는 Wii Balance Board를 이용하였다. 연구는 39명의 뇌졸중 환자들 대상으로 하였다. 신뢰도 검사는 동요거리, 동요속도, area95% 결과값의 검사자간 신뢰도와 검사자내 신뢰도를 실시하였다. 검사자내 신뢰도는 검사-재검사의 방법으로 급간내 상관계수를 측정하여 ICC .793-.939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검사자간 신뢰도에서도 ICC .791-.955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타당도는 Accusway와 비교하여 ICC .851-.955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Balancia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는데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진 프로그램으로 입증되었다.

차륜형 전투차량 전복 시 승무원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 (Simulation of Rollover Crashes and Passenger Injury Assessment for a Wheeled Armored Vehicle)

  • 이경수;정의진;박경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4호
    • /
    • pp.385-391
    • /
    • 2014
  • 차륜형전투차량은 보병부대의 전투력 강화와 기동성 향상을 목적으로 운용하는 군용차량이다. 전투차량은 운용 특성상 험난한 지형의 주행이 불가피하고 높은 무게 중심으로 인해 전복 사고의 위험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전투차량의 내부는 전복 사고에 따른 승무원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실제 차량을 이용한 시험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륜형전투차량의 전복 시험을 모사하여 승무원의 안전성을 측정하기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모델링 방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전투차량 전복 시험 조건, 전투차량 유한요소 모델링, 유한요소 인체 더미의 적용 방법, 전복 시험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 적용 시 발생 가능한 문제와 해결 방안 제시, 인체 상해치 계산 및 평가를 포함한다.

유전체 동축 공진기를 이용한 타원 함수 대역 통과 여파기의 설계 (The Design of Elliptic Function Bandpass Filter using Ceramic Coaxial Resonators)

  • 김정제;윤상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805-81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소형의 동축 공진기를 이용하여 타원 함수 여파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타원 함수 여파기는 Butterworth나 Chebyshev 여파기보다 주파수 선택도가 뛰어나므로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소형 경량의 세라믹 공진기를 이용하여 여파기의 크기, 무게, 비용을 줄이고 여파기의 제작성과 결 합량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유전체 동축 공진기의 등가 회로 모텔링과 결합 계수값을 설측하여 타원 함 수 여파기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소형 유전체 동축 공진기를 이용하여 제작된, 중심주파수가 959 MHz이고 통 과 대역폭 28 MHz인 8단 타원 함수 여파기의 경우, 반사손실 17 dB 이상. 삽입손실 5 dB, $f_c\pm5$MHz에서 20 dB이상의 감쇄특성을 얻었다.

  • PDF

복합재료 선미익 항공기 날개 하중해석

  • 한창환;김응태;안석민;김진원
    • 항공우주기술
    • /
    • 제1권1호
    • /
    • pp.8-2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중에 있는 복합재료 선미익 항공기의 날개에 작용하는 하중해석을 수행하였다. 중량, 공력계수, 구조설계속도, 하중 등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Tool은 Excel에서 운용되는 Visual Basic 프로그램으로 계산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하중해석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항공기의 형상치수, 부품의 종류 및 중량 그리고 좌표계 등은 Catia 모델링, 실제측정 또는 재료밀도 값 등을 이용해 구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통하여 항공기의 중량, 무게중심, 관성모멘트, 구조설계속도, 날개의 하중분포, 힘과 모멘트 등을 계산하였다. 또한 항공기의 날개 및 동체의 임계하중 조건을 선정하는데 필수적인 항공기의 V-n 선도를 도시하였으며, 이 V-n 선도는 항공기의 최대중량 2,573 파운드 및 해면고도조건에서 설계속도 $V_A$, $V_C$, $V_D$ 및 하중계수 +3.8G, -1.52G에 대한 비행범위를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는 V-n 선도로부터 선정된 임계하중을 이용하여 해석된 동체 및 날개에 대한 하중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RSSI의 거리 추정 방식에 바탕을 둔 실내 무선 측위 성능 향상 알고리즘 (Performance Improvement Algorithm for Wireless Localization Based on RSSI at Indoor Environment)

  • 박주현;이정규;김성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4C호
    • /
    • pp.254-26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실내에서 무선으로 위치를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삼변측량과 최소제곱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두 가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삼변측량을 사용하여 위치를 추정할 때 상대적으로 큰 위치 추정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경우, 즉 3개의 원이 교직선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를 사면체를 위한 헤론의 공식을 적용하여 분류하고, 분류과정에서 얻어진 부피의 절댓값을 이용하여 측정된 추정 거리를 신뢰성 있는 추정 거리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Anchor node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에 사용하는 최소제곱법의 변형된 알고리즘인 RWGH의 연산량을 개선하면서 더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는 가중치를 이용한 무게 중심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한다.

이산화탄소 지중 주입에 의한 경상분지 사암의 용해반응 규명 및 용해 반응상수값 계산 (Study on the Dissolution of Sandstones in Gyeongsang Basin and the Calculation of Their Dissolution Coefficients under CO2 Injection Condition)

  • 강현민;백경배;왕수균;박진영;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6호
    • /
    • pp.661-672
    • /
    • 2012
  • 국내 육상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경상분지 사암에 대하여 초임계$CO_2$ 주입에 의한 사암의 용해반응을 규명하는 실내 실험을 실시하였다. 초임계$CO_2$로 존재하는 지중저장 온도/압력조건(100 bar와 $50^{\circ}C$)을 재현한 스테인레스 셀(용량 110 ml) 내부에 지하수를 주입한 후, 공극률이 다른 3 종류의 경상분지 사암 시료에 대하여 슬랩으로 제작하여 표면을 폴리싱한 후 고압셀 하부에 고정시켜 지하수에 잠기게 하였으며, 초임계$CO_2$를 주입한 후 60 일 동안 지하수 용존 이온 농도 변화, 질량 변화, 광물의 평균 표면 거칠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암의 물성 변화 실험에서는 채취한 3 종류의 경상분지 사암들을 원통형 코어 형태로 가공하여 대형 고온고압탱크(2 liter 용량)에 고정시켜 30 일 동안 반응 시킨 후 공극률, 건조밀도, 탄성파 속도, 일축압축강도 등을 측정하여 용해반응에 의한 사암의 물성변화를 규명하였다. 반응 시간에 따른 사암 코어의 무게를 측정하여 질량 변화에 따른 1차 용해반응 상수값($k_d$)을 계산하였으며, 이 용해상수를 이용하여 단위면적($cm^2$) 당 1 g의 사암시료가 완전히 용해되는데 걸리는 용해시간을 계산하였다. 사암 슬랩을 이용한 지중저장 조건에서 초임계$CO_2$-사암-지하수 반응 실험 결과 $Ca^{2+}$, $Na^+$의 용해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함량이 높은 사장석, 방해석 등을 중심으로 사암의 용해반응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반응 30 일 후 초기 A사암 슬랩 무게의 0.66%가 반응에 의해 용해되었다. 경상분지 사암의 물성 변화 실험 결과, $CO_2$ 반응 30 일 동안 B사암과 C사암의 공극률은 초기 공극률 기준 16.2%와 7.4% 증가하는 반면, 건조밀도, 탄성파 속도 그리고 일축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초임계$CO_2$와 반응하여 암석의 용해반응에 의한 물성변화가 짧은 시간 동안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계산된 용해반응상수값($k_d$)으로부터 B사암과 C사암의 경우 사암에 주입된 $CO_2$에 의하여 단위면적($cm^2$)당 1 g이 용해되는데 각각 평균 1,532 년과 329 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 $CO_2$ 지중저장 시 사암의 용해반응이 짧은 시간동안 활발히 일어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어유식이가 본태성고혈압쥐(SHR)혈압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혈청지질상태를 중심으로- (Effect of Fish Oil Diet on Blood Pressure and Lipid Metabolism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Changes in Serum Lipid Status-)

  • 신응남;배복선;이원정;조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
    • /
    • 1989
  • $C_{20}$이상의 ${\omega}3$ 다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어유가 본태성 고혈압쥐(SHR)의 혈압과 혈청 지질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고등 어유, 대두유, 쇠기름을 식이에 5% 함유시킨 분말식이를 각각 조제하여, 생후 4주된 SHR과 정상혈압 Wistar쥐 숫컷에게 8주간 섭취시켰다. Wistar종의 성장은 세 군 모두에서 8주간 지속적이었으며 고등어유군의 성장율이 5주 이후 에는 다른 군보다 다소 높았다. SHR의 성장은 6주까지는 원만하였으나 그 후 거의 정지상태였고 식이지방군 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수축기혈압은 실험초기부터 SHR이 높아서 6주부터는 150mmHg이상의 고혈압을 나타내었다. 식이 8주의 혈압은 SHR에서는 고등어유군이 가장 낮았고, Wistar에서는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심장과 신장무게가 SHR에서 컸으며, 현미경관찰에 의하여 SHR 심장조직 endo mysium 과 신장조직의 urinary space 가 축소되었음을 볼 수 있었으나 식이에 따른 조직무게나 구조상 차이는 없었다. 고등어유는 Wistar종과 SHR 모두에게서 혈청 중성지방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고, SHR의 중성지방값이 Wistar종보다 대체로 낮았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값은 식이군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SHR의 HDL-콜레스테롤값이 Wistar종에서 보다 낮았다. 혈청지단백질 분획비를 보면 일반적으로 SHR이 VLDL이 높고 HDL이 낮았고, 고등어유군의 $HDL_1HDL_{2+3}$ 비율이 타군 보다 낮았다. 세 식이지방의 주요 지방산이 혈청지질에 반영되어 혈청 인지질과 중성지질 구성지방산은 세 군이 각각 특색있는 지방산 구성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대두유군의 $C_{18:2}({\omega}_6)$의 반영도가 제일 뚜렷하였으나 SHR 에서는 Wistar 종에서 보다 그 정도가 낮았고 고등어유의 $C_{22:6}({\omega}_3)$는 중성지방에서만 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지질 구성지방산의 차이가 혈청지질 패턴변화에 중요원인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