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몽골민족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동 슬라브 민족, 몽골민족 및 한국민족의 전통 흔례복식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Wadding Costume Among the Eastern Slavs, Mongolians & Koreans : Focus on 19c - early 20c)

  • 최수빈;조우현
    • 복식
    • /
    • 제52권1호
    • /
    • pp.69-87
    • /
    • 2002
  • The Eastern Slavic. the mongolian and the Korean wedding ceremony proceed through those three stages :pre-wedding, and after-wedding. (n the pre-wedding stage, the marriage is arranged when the parents make a decision on a matchmaking proposal. In the main wedding, the bridegroom visits the bride, and the bride walks through the many different procedures, which represent the life and the responsibilities of married women. Expecially, the wedding ceremony is finished and culminated by making hairstyle and wearing of headgear for married woman to the bride. The wedding costume of the Eastern Slav, the Mongolian, and the Korean has been developed with their different characters of styling. The traditional costumes of the each native are worn with the addition of a splendid decorative expression. The Eastern Slavic bride wears Lubaha and Sarapan or a skirt and bridegroom's wedding costume consist with Lubaha and Shitany(trousers). The Mongolian bride wears Deel and Ozh(Ooj) the vest and bridegroom wears Deel and Hantaaz. The Eastern slavic, the mongolian and the Korean bride wears various and gorgous headgears which have reflected cultural values: their traditional views of a wedding ceremony, expected change of social roles for married people. The wedding ceremony of these 3 natives had been performed by the symbolic meaning of the union of the bride to the bridegroom's family.

바이칼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몽골.시베리아 역사 낳고 기른 '자궁' -

  • 주채혁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4년도 학술심포지움
    • /
    • pp.15-23
    • /
    • 2004
  • - 시원 알기 위해서는 고대 국가의 중심부 아닌 기원지에 주목해야 알타이 사얀산에서 비롯해 순록의 먹이인 이끼 따라 한반도로 이동 - 한민족은 바이칼에서 온 순록유목민의 후손" 바이칼은 거대한 화산지대이며 약 1만3,000년 전 빙하기 후기 이후 고도가 낮고 온천수가 솟아나는 등 사람이 살기에 적합해 유라시아 북방 몽골리안의 창세기가 쓰인 장엄한 역사무대다.(중략)

  • PDF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 중 민족음악 요소 연구 『목마의 노래』와 『파미이지음』을 중심으로 (A Study of Ethnomusicological Elements in Modern Chinese Clarinet focus on 『the Shepherd Horse』 and 『the Voice of the Pamir』)

  • 증광;안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61-272
    • /
    • 2022
  • 중국의 오랜 역사 과정에서 풍부하고 소중한 소수민족의 전통음악은 형성되었다. 각 민족은 발전 과정에서 독특한 자연환경과 특수한 생활과 생산 방식에 따라 자기만의 세계관과 음악 문화를 만들어 냈다. 클라리넷은 서양 악기로서, 중국에 전래되는 과정에서 중국 소수민족 문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아왔다. 따라서 음악가들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 중의 여러 요소를 표현하는 데에 서양 악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본 논문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의 요소를 사용하여 창작된 현대 클라리넷 작품 작곡가 왕염의 『목마의 노래』와 작곡가 호벽정의 『파미이지음』을 중심으로 작품의 형성 유래, 작품에 나타난 예술적인 표현 특징 등 두 측면에서 클라리넷에서 표현되는 민족적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민족음악의 모드 음계, 박자, 리듬과 선율의 표현기법, 그리고 소수민족 전통 악기를 모방한 소리의 특징 등 다섯 가지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역, 생산, 생활, 민족 정서 등과 접목하여 작품에 사용된 타지크족과 몽골족 음악에 나타난 민족문화의 특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의 음악 스타일을 습득하고자 하는 창작자와 연주자에게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서양 악기로 중국 전통 음악을 연주할 더 좋은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조화로운 측모를 가진 몽골인과 한국인 성인 정상교합자의 측모두부계측방사선학적 비교 연구 (Comparison of cephalometric norms between Mongolian and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s and well-balanced profiles)

  • 김지환;;;이신재;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2-50
    • /
    • 2011
  • 현재까지 몽골인의 측모두부계측방사선학적 기준치가 문헌 상으로 보고된 바가 없었던 바,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교합과 초화로운 측모를 가진 몽골인을 선별하여 측모두부계측방사선학적 기준치를 제시하고, 이를 같은 기준으로 선별한 한국인의 기준치와 비교하는 것이다. 조화로운 측모를 가진 74명의 몽골인(남자 35명, 여자 39명)과 95명의 한국인(남자 52명, 여자 43명) 성인 정상교합자들의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였다. 이들은 해당 민족과 국적의 교정 의사들의 평가로 선별되었다. 40개의 계측치에 대하여 민족별, 성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그 차이를 ananlysis of covariance (ANCOVA)로 검정하였다. 조화로운 측모를 가진 몽골인과 한국인 남녀 성인 정상교합자의 측모두부방사선학적 기준치를 얻었다. 골격성 선 계측치와 수직적 골격 관계에서 성별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몽골인은 한국인에 비하여 짧은 전안면 고경, 돌출된 이부, 설측경사된 상악 전치를 나타내었으나, 대부분의 계측치 간 평균 차이가 적어 임상적 의미는 적었다. 몽골인과 한국인 성인 환자의 교정치료를 위한 진단과 치료계획 시에 유사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몽골과 고려의 변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igtails for the Mongolian and the Koryo Dynasty)

  • 김기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3-124
    • /
    • 2005
  • Information sources about Mongolian pigtail of 13-14C are relatively rich. But it was difficult to estimate the shape of the pigtail in detail with the descriptions in historical writing or travel books only, and paintings were neither enough to observe the beautiful shape of the pigtail closely on the whole because the portrayed characters were always wearing their hats. However, the authors could trace the detailed shape of the pigtail of 13-14C through close investigation into Mongolian stone statue of the period. In conclusion, the authors performed a comparative study by historically comparing the historical writings, archeological materials, ethnological materials and figurative arts featuring medieval Mongolian pigtail. And the authors paid careful attention to the meaning of those materials to the hairdo history. Historically nothern minority races have become assimilated with surrounding races in language, culture and customs through long economical and cultural exchange, and today their national traits gradually fade away by globalization. But each minority race still stands independently and maintain its own traditional culture. only recently began the study by Korean researchers on Mongolian pigtail, and there is still much to be discussed in ethnological issues such as racial pedigree.

  • PDF

불과민속 - 몽골 유목민의 불 민속

  • 장장식
    • 방재와보험
    • /
    • 통권116호
    • /
    • pp.44-49
    • /
    • 2006
  • 사람이 다르면 인정이 다르고, 인정이 다르면 민속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불을 어떻게 인식하고, 불을 어떤 방식으로 대했는가 하는, 민족 저마다의 민속행위를 주목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러나 불은 본디부터 인간에게 종속되 것이 아니었고, 오히려 인간이 함부로 다가설 수 없는 변화무쌍한 변물이었다. 그렇기에 불을 '그 어떤 것' 으로 여기고 여기에 신성을 덧붙여 숭봉하는 태도는 모든 문화에 두루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아마도 불을 얻는 데 소요되었던 노력과 그 노력의 깊이에 따른 지혜의 축적이 그만큼 길었기 때문일까. 한편으로는 숭엄한 사건을 서술하는 신화(myth)로 기억되고, 한편으로는 굳건한 신앙의 대상으로 일상의 삶에 영향을 끼치면서 규범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를테면 원초적인 신성을 지닌 존재로서 엄중한 신격으로 숭신되기도 하고, 특별한 의례로 해마다 반복되며 규범과 도덕률로 일상을 구속하고 있다. 일상에 가까이 있되 결코 범접할 수 없는 장엄인 것이다. 몽골 유목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다만 그 양상과 의례의 세부 모습이 다를 따름이다.

  • PDF

한민족과 퉁구스민족의 가신신앙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House Spirit Belief between the Tungus and Korea)

  • 김인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243-266
    • /
    • 2004
  • 필자는 2003년 7월 6일부터 2003년 7월 24일까지 중국 동북의 소수민족을 답사하였다. 답사 대상 민족은 허저족(赫哲族), 다우얼족(達斡爾族), 어룬춘족(顎倫春族), 어원커족(顎溫克族), 몽골족이었으며 답사지역은 헤이롱지성(黑龍江省)과 내몽골의 동북부 지역이었다. 본 고에서 연구대상으로 하는 민족은 퉁구스계 민족인 허저족, 어룬춘족, 어원커족이다. 그동안 한국의 청동기인을 형성한 것으로 인식되어온 퉁구스는 고고학적, 역사학적, 언어학적 증거로 볼 때 한민족과는 별개의 민족임을 알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결론은 각 분야의 학자들의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후에야 증명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까지 이루어진 연구성과로 볼 때 한민족의 족원을 퉁구스에서 찾기는 어려울 듯하다. 퉁구스의 가신신앙과 한국의 가신신앙을 비교연구한 결과 마루신앙, 조왕신앙, 삼신신앙에 있어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원인으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하나는 전파나 접촉이고 다른 하나는 이주에 의한 결과이다. 전파나 접촉은 퉁구스와 한민족이 역사적으로 매우 근접한 거리에 거주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고 이주는 고구려, 부여 등의 멸망으로 인한 유이민에 의한 것이다. 퉁구스와 한민족의 가신신앙은 위에서 언급한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도 보인다. 첫째, 한민족의 가신신앙은 농경을 기반으로 형성된 것으로 정착형의 가옥에 집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성속(聖俗)관념이 발달하였으나 퉁구스민족은 이동식의 주거인 시에런주(xierenzhu)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집에 대한 성속관념이 한국보다는 약하다. 둘째, 한국의 가신은 신의 성격이 분명하며 신의 기능에 따라 모셔지는 장소가 다르다. 퉁구스의 경우 모든 가신이 마루(malu)에 모셔지며 일부는 가신이 아닌 신들이 모셔지기도 한다. 셋째 한국의 가신은 성주를 중심으로 가족을 이루고 있다. 퉁구스의 가신들 사이에 이러한 가족관계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한국의 가신신앙을 중국과 비교할 때 가장 큰 특징이라면 성주신앙을 중심으로 혈연관계를 맺으며 단단히 결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중국의 가신신앙에서 성주는 강태공이나 치우로 한국과는 구분되며 중국의 가신들은 혈연관계를 맺고 있지도 않다. 한국의 가신신앙 중 측간신이나 조왕신의 일부 내용은 중국 한족과 관련을 맺고 있으나 언어학에서 문법이 그러 하듯 가신신앙의 기본 구조는 중국과 다르다. 이러한 견고한 틀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의 가신신앙 중 마루, 조왕, 삼신이 퉁구스민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한국 가신신앙에 퉁구스적 요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명소 (2) - 윌리가 카메라로 담은 서울속 외국인 마을 풍경

  • 사)한국건설안전기술협회
    • 건설안전기술
    • /
    • 통권44호
    • /
    • pp.44-48
    • /
    • 2008
  • 법무부가 작년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국내 체류 외국인(단기 장기 불법체류 포함)이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도 대비 15% 늘어난 수치로 국적별로는 중국이 44만 여명 44%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이 12%, 베트남 6%, 필리핀 5%, 태국 4% 등으로 조사되었다. 단일민족이라 자부하는 나라임에도 꽤 많은 이방인들이 섞여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서울에는 외국인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외국인 마을도 하난 둘 생겨나게 되었다. 다국적 거리인 이태원을 비롯해, 프랑스인들이 모여 사는 서초구 반포 4동 서래마을, 일본인들이 많은 이촌1동, 몽골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인들이 많은 광희동, 무슬림 거주지인 이태원동 등이 대표적 외국인 마을이다. 서울 한편에 자리 잡은 외국인 마을의 이국적 풍경을 찾아가 보자.

  • PDF

에벤키족 씨족명 분포 현황 및 의미 분석: 바이(Baj), 킴(Kim), 샤마/사마(Shama/Sama)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Meaning of the Evenki's Clan Name: Centering on Baj, Kim, and Shama/Sama)

  • 엄순천
    • 비교문화연구
    • /
    • 제41권
    • /
    • pp.443-47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알타이어족, 예니세이어족, 고립어족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에벤키족 씨족명 어근 바이, 킴, 사마를 중심으로 해당 씨족명의 기원과 의미, 분포현황, 이동경로, 해당 씨족명이 존재하는 시베리아 제 민족 사이의 친연 관계를 규명했다. 씨족명 '바이'의 기원에 대해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바는 없지만 그 의미를 둘러싸고 '북쪽', '흰색', '풍요로운' 혹은 '자연의'라는 세 가지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씨족명 '바이~'는 시베리아 제민족 사이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먼저 알타이제어 만주-퉁구스어파에 속하는 에벤키, 에벤, 나나이, 울치, 오로크, 오로치, 만주족 그리고 몽고어파와 투르크어파에 분포되어 있으며 예니세이어족이나 고립어족에서도 발견된다. 하지만 이 어근의 씨족명이 에벤키족 사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이 씨족명은 프리바이칼리예의 에벤키족에서 기원하여 인근의 부랴트, 몽골, 야쿠트족 사이로 넓게 전파된 뒤 이후 동쪽으로는 아무르강의 닙흐족, 북쪽으로는 유카기르와 케트족 같은 예니세이 고아시아제어권 민족, 서쪽으로는 엔츠족과 셀쿠프족 같은 사모예드제어권 민족에게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씨족명 '킴~'은 먼 고대에 기원하며 만주-퉁구스어파에 존재하는 유사한 단어, 에벤키족 씨족명 어근 '킴~'과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중국인의 성 '김', 에벤키족의 설화를 바탕으로 그 의미를 유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씨족명 '킴~'은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금, 쇠, 돌과도 일정정도 관련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 씨족명 '킴~'은 시베리아 소수민족 사이에 널리 분포되어 있지만 에벤키족 사이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중국 인근과 페르시아에도 분포되어 있었다. 씨족명 '킴~'의 기원은 명확하게 규명할 수 없지만 먼 고대 바이칼 인근의 에벤키족에 편입된 후 만주-퉁구스의 제민족 사이에 널리 전파되었고 더 나아가 투르크제민족 사이로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씨족명 '샤마/사마~'는 알타이어족의 만주-퉁구스제어권, 투르크제어권, 우랄어족의 사모예드어제어권 민족 등 시베리아의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음성적 형태도 무척 다양한데 에벤키족 사이에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 씨족명이 알타이어족과 우랄어족의 제민족 사이에서 발견된다는 점은 이 두 어족의 민족들이 아주 먼 과거에 관련이 있었다는 증거이다. 이 씨족명은 오로크족을 제외한 만주-퉁구스제어권의 모든 민족 사이에서 발견되는데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해 보인다.

남북한 천문분야 활성화 및 협력 방안 연구 (Cooperation Research Plan in the Astronomy Field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 Yim, Insung;Yang, Hong-Jin;Minh, Young Chol;Jung, Taehyun;Lee, Kyoung-Suk;Choi, Hyun-kyoo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56.4-57
    • /
    • 2016
  • 남북한 천문분야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천문분야 활성화 및 협력 방안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천문학은 과학기술분야 중 남북한 상호 신뢰구축과 민족 동질성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순수 기초학문으로, 이 과제를 통해 단절된 남북한 천문분야 활성화 및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또한 통일 후 남북한 천문학 공동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의 천문학 연구 인력, 관측기기, 연구 활동 등 인프라를 조사하고 북한 천문학자와의 교류를 위한 접근 방안, 남북한 교류 가능한 천문분야 발굴, 남북한 천문학자 교류를 위한 국제협력 루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분단 후 현재까지 남북 교류의 단절로 북한 천문학자와의 교류는 전무한 실정으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나 중국, 몽골, 스웨덴, 네덜란드 등 국제협력을 통한 네트워크를 마련하여 남북 천문분야 협력방안 및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