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표 달성 척도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8초

조현병 환자의 개별목표달성 향상을 위한 목표달성척도의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oal Attainment Scale to Improve Individual Goal Attainment of Schizophrenia)

  • 김묘정;이석호;김용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49-255
    • /
    • 2019
  • 본 연구는 조현병스펙트럼 및 기타정신병적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들(이하 조현병 환자)을 대상으로 목표달성척도를 적용하고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들은 목표달성척도를 활용하여 자신의 개별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의 달성 정도를 정기적으로 자가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목표달성점수를 계산하여 목표달성 정도를 나타냈다. 평가를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선형혼합효과모형을 사용하여 목표달성척도 적용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연구 대상자들의 목표달성점수는 측정시점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조현병 환자들을 위해 자기결정을 통한 목표 설정, 목표성취 그리고 그 과정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임상적 함의, 연구의 한계 등이 추가로 논의되었다.

원자력 미래기술 예측의 국제 비교를 위한 국내 평가기술 도출

  • 정환삼;양맹호;김현준;이태준;이병운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755-761
    • /
    • 1996
  • 상용 원자력발전 기술의 자립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2010년대 세계 3위의 원전기술 보유국으로 부상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미래의 기술개발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선진국들의 기술개발 동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는 선진국의 원자력 미래기술에 대한 기술예측 결과를 우리의 예측경험과 비교하여 우리의 기술개발 목표의 효율적인 달성을 지원하고자한다. 이러한 비교에 있어 필요한 평가대상인 미래기술의 도출, 평가요소의 설정, 그리고 평가척도의 단일화 단계에서 우선 국가별로 다르게 도출되어 있는 원자력관련 미래기술을 비교에 용이하도록 그 속성을 이용하여 비교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였다.

  • PDF

체성 실행장애 아동을 위한 감각통합 중재가 체성 실행과 작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s of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Somatosensor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Abilities in Children with Somatodyspraxia: Case Study)

  • 류스라;전주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3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체성 실행장애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개별 맞춤 감각통합 중재가 체성 실행과 작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의 A-B설계를 적용하여 총회기는 11회기로 기초선 3회기와 중재는 8회기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효과 비교를 위해 수행영역과 수행 요소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매회기마다 중재 후 목표 활동(배와 위 굴곡 자세, 손수레 걷기, 밸런스 볼에서 우세 발로 서있기)의 목표 달성 척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중재 전·후 수행영역과 수행 요소에서 전반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회기별 중재 후 목표 활동 측정 시 목표 달성 척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고유감각, 전정감각, 촉각을 중심으로 구성된 감각통합 중재가 체성 실행장애 아동의 목표 활동 수행 및 또래와의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력전에 대한 이종 무기체계의 조합모델개발 연구 (A Study on a Combination Model Development for Counterfire Operation with Heterogeneous Weapon System)

  • 김한영;김승천;노광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2호
    • /
    • pp.62-6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대화력전의 목표달성에 대한 평가척도를 선정하고 평가척도의 최적값을 만족하는 청군의 타격자원의 합리적인 조합과 목표달성시간의 회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실세계에서 회귀식을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연구방법론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북한과 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는 무기체계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력전을 단순화한 시뮬레이션을 만들어 목표달성시간을 도출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대화력전을 탐지, 결정, 타격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탐지에는 난수를 활용한 확률을 적용했고 결정과 타격은 고정된 상수를 적용시켰다. 고정된 적에 대해서 목표달성시간을 도출하였으며 목표달성시간이 최단시간으로 나오는 것이 시뮬레이션의 최적값이라고 판단했다. 시뮬레이션의 목표달성시간을 바탕으로 미니탭의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고정된 홍군에 대한 청군 무기체계의 최적조합 및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은 2-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정보기술에 기반 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step to advance an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 조석환
    • 정보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7-17
    • /
    • 2004
  • 학업 성취는 긍정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면 학습 목표달성과 연관되어 이루어지는 교육적 기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성취에 관련된 여러 가지의 변수 관계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 탐색하는 데 있다. 즉 과거의 성취도, 정보기술 활용 능력, 학업 수행자의 성과 기대치, 학업성취 목표 달성에 관한 발전단계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정보기술에 기반하여 학업 성취도를 확인하는 발전단계에 있어서의 효과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본 연구에 참가한 참가자들에게 본인들의 기대치 척도, 정보기술 활용능력, 정보기술 능력시험, 기초지식 설문지를 작성케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경로 모형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지난 과거의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학업성취를 위한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결과는 학업성취가 학업의 달성 수준을 등급화 하여 목표 달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정보기술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현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과거 성취도에 대한 변수가 성과 기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였으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데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 PDF

자기관리수업을 통한 충동성의 감소가 건강증진 행동 및 전반적인 다양한 자기통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roving Health-related Behaviors and General Self-control Behaviors through a College-level Self-management Course)

  • 서지현;정경미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9권4호
    • /
    • pp.929-9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 개설된 자기관리 수업이 첫째, 수강생들의 목표행동의 개선과 충동성 감소에 효과적인지 확인하고, 둘째, 목표로 하지 않았던 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일반화)를 목표행동 유형(운동, 식습관, 학습, 긴장습관, 기타 행동)에 따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가 충동성의 감소로 인해 발생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한 대학교에서 자기관리 수업을 수강하면서 행동수정 프로젝트를 수행한 128명이었다. 수강생들은 학기 초와 학기 말에 자기보고식 충동성 척도와 충동성 측정 행동과제인 지연 디스카운팅 과제(delay discounting task), 그리고 음주, 운동, 식습관, 학습, 시간관리 분야에서의 자기통제력을 측정하는 일반적 자기통제행동 척도에 응답하였다. 그리고 수강생들은 한 학기 동안 목표행동을 정하고 행동수정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행동 변화를 직접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수강생의 63%가 자기관리 수업을 통해 성공적으로 목표행동을 달성하였다. 그리고 목표행동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목표행동을 달성한 집단은 다양한 분야의 자기통제행동의 향상과 충동성의 유의한 감소를 보고하였다. 다음으로, 적어도 운동과 식습관 집단에서의 충동성의 감소는 자기통제의 일반화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충동성의 향상이 다양한 자기통제행동의 개선으로 이어짐을 보여주며, 자기통제력의 일반화를 시사한다. 이와 같은 의의와 더불어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관련 교과서에서의 화석사진에 대한 산출지역 및 척도 표기 분석 (Analysis of the Locality and Scale of the Presentation of Fossil Photographs in Textbooks of Earth Science on the 7th Curriculum)

  • 정철환;문병찬;김해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77-488
    • /
    • 2005
  •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와 서로 다른 출판사의 중·고등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I, II교과서, 각각 4권씩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을 분석하여 화석의 종류, 산출지역과 척도의 표기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교의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의 종류는 32개였으며, 중학교 과학교과서 4권에는 50개, 그리고 고등학교 8권의 교과서에서는 109개였다. 그러나 화석사진에서 표현되는 과학적 정보는 부족하였다. 초등학교의 과학교과서와 실험관찰에서는 수록된 화석사진의 $68\%$에 산출지가 표기되어 있었으며, 척도가 표기된 화석사진은 전체의 $6\%$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 전체 화석의 $40\%$$16\%$에 산출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척도는 14%와 18%만이 표기되어 있었다. 보다 효과적인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에 산출지와 척도를 표기할 필요가 있다.

복합구조 모형을 토대로 한 대학생 자기주도학습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Complex Structure Model)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82-392
    • /
    • 2016
  • 본 연구는 복합적 구조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을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들을 위한 복합적 구조의 자기주도학습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분석 및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서 동기와 학습실행 행동(학습목표 설정, 학습 계획 수립, 학습 활동, 학습결과 평가 행동)과 학습관리 행동(자기관찰, 자기검토, 자기수정)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자기주도학습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19개의 하위요인을 구성하였고, 114개 측정 문항을 개발하였다. 먼저 예비 척도를 개발하여 수도권의 D대학 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하위 요인의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제외된 문항 없이 본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의 D대학 학생 674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는 목표행동 (.834), 목표관찰(.809), 목표검토(.839), 목표수정(.773), 계획행동(.765), 계획관찰(.861), 계획검토(.890), 계획수정(.810), 학습전략(.784), 학습관리(.775), 학습유지(.809), 자원획득(.828), 학습관찰(.846), 학습검토(.827), 학습수정(.830), 평가행동(.892), 평가관찰(.866), 평가검토(.891), 평가수정(.868)로서 모든 하위 요인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초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모형 수정지수를 고려하여 1차 수정한 결과 ${\chi}^2$(563.254), CFI=.963, NFI=.951, RMSEA=.064로 나타나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수자원계획에서 이수안전도 기준의 적정성 평가 (Assessing Appropriateness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Water Resources Planning)

  • 차형선;이광만;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8-115
    • /
    • 2011
  • 용수공급 계획의 수립이나 수자원시설물 운영에서 주어진 목적의 달성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공개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준 적용은 매우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런 기준들은 신규용수공급시설 설계나 기존시설의 경우 이행도를 평가하는 척도가 되며 경제성이나 대안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이런 기준들은 국가 수자원 정책의 지표가 될 뿐만 아니라 물 공급 서비스를 받는 사람들에게 최소 필요로 하는 물을 어느 수준으로 얼마를 어떻게 공급할 것인가를 약속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우선 검토하여야 할 사항은 용수공급신뢰도 조사를 위한 기본체계를 제공하고 현재 신뢰도가 어떻게 정의되었으며 물 공급관리지표에 맞추어 예상되는 물 수요의 증가를 언제 어떻게 맞출 것인가라는 측면에서 신규시설물을 계획하면서 공급신뢰도에 의한 계획공급량(목표공급량)을 정하였다. 물을 공급받는 수요자는 공급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상태를 원하며 자신이 원하는 물을 아무런 장애없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조건을 전제로 물 공급계약을 체결한다. 이와 같은 신뢰도가 늘 엄격히 지켜지는 것은 아니나 현대 사회에서도 수요와 공급관계에서 지켜져야 할 기준으로 인식되고 있다. 아울러 수자원 기술자들에게 는 최적으로 달성해야할 업무목표가 된다. 그러나 제한된 정보를 이용하여 용수공급의 신뢰도를 정하게 되며 설계치를 초과하는 수문사상의 불확실성 및 수리구조물의 불안정 등으로 물 공급의 위험도는 항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인구증가나 새로운 산업입지에 의한 물 수요의 증가는 기존 시설물의 용량을 초과하여 물 공급의 신뢰도를 악화시킬 수 있다.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급신뢰도 개념은 목표한 용수공급량 혹은 수요량을 충족시키느냐 못하느냐의 정도를 발생빈도 확률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신뢰도의 적용에 대한 기준은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종종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또한 한 국가 내에서나 수자원을 개발하는 기관 내에서도 동일 목적의 사업별로 적용기준이 천차만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이수안전도에 대한 정의와 적용사례를 분석하고 각각의 기준이나 지표의 장단점을 비교 평가하고자한다. 아울러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궁극적으로 국내의 이수안전도 기준설정에 대한 종합적 의견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공동주택 설계VE의 요구항목 분석을 통한 대상선정 체계화 모델 (A Systematization Model of the Design Phase VE Selection by the Analysis of the Required Items in the Apartment)

  • 정호근;양진국;이상범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15-1018
    • /
    • 2007
  • VE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개선 목표를 달성하고 제한된 건설예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어온 체계화된 절차를 말한다. VE의 업무절차 중 준비단계의 주요 목적은 원활한 VE수행을 위하여 관련된 집단의 협력체계 구축과 공동목표 달성을 통하여 분석단계에서 요구되는 충분한 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그리고 사용자 및 발주자 등 프로젝트 이해당사자들의 요구를 측정하는 데는 주로 품질모델(Quality Model)이 사용되며, 이러한 품질모델은 VE활동 시 대안이 발주자의 요구에 적합한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척도로 활용된다. 하지만, 현행 준비단계 업무는 단순히 발주자 및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수준이며, 이를 통해서 대상선정 및 기능분석 단계의 명확한 목표 및 방향제시를 해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례분석과 전문가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준비단계 업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각 주체별 요구항목을 정확히 파악하여 새로운 대상선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