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질 보드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표면마감처리에 따른 목질보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dehyde Emission from Wood-Based Panels Treated with Several Surface Finishing Materials)

  • 소원택;임진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30-37
    • /
    • 2006
  • 본 연구는 각종 실내디자인에 이용되는 목질보드의 포름알데히드(HCOH) 방산 특성과 몇 가지 VOC 저감 방법에 대한 포름알데히드의 방산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측정 전 처리조건에 따라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의 현저한 변화가 나타났다. bake-out 처리후의 목질보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감소함을 나타냈다. 시편에 urethane, cashew, water stain, oil stain coating을 했을 때 각 마감재료에 따라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edge sealing 처리 후 두드러진 감소경향이 나타났다. $TiO_2$ coating은 일반광보다는 자외선 램프의 포름알데히드 저감효율이 좋았고, 자외선 램프의 조사시간이 길어지면 포름알데히드의 감소량도 증가하였다.

표고 폐골목으로 제조한 목질보드의 성질 (Properties of Wood-Based Board Prepared with Bed-Logs Decayed by Oak Mushroom(Lentinus edodes))

  • 최용순;황원중;한태형;김남훈;권진헌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38-144
    • /
    • 1998
  • 표고폐골목의 재활용을 목적으로 폐골목과 정상재의 칩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목질보드의 성질을 조사,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폐골목의 목섬유는 정상재보다 다소 짧고 표면이 거철었으며 폐골목 변재부의 밀도는 정상재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파티클보드의 두께 팽윤율 및 파괴계수의 시험결과 폐골목을 25-50% 정도 혼합한 경우는 정상재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폐골목은 파티클보드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상재와의 혼합비율은 25~50% 범위에서 조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목질폐잔재 탄화물의 수질정화 효과 (Effect of Carbonized Wastewoods on Purification of Wastewater)

  • 이동욱;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34-39
    • /
    • 2002
  • 국내 주요 간벌재와 목질재료 탄화물중 성능면과 자원면을 고려하여 선정한 후 오수정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덩어리상태(약 3×3×3 cm)의 탄화물의 주방오수 및 정화조오수 정화실험에서 간벌재 탄화물보다 목질재료 탄화물의 정화능력이 뛰어났다. 덩어리상태에서는 미세세공보다는 파티클보드의 파티클 및 MDF의 섬유간의 간극이 정화에 더 유효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처리오수의 색은 처리 후 옅어졌으며 목질재료탄이 간벌재탄보다 더 옅은 색을 보였다. 냄새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설폐목을 이용한 목질계보드의 시멘트응결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Cement Setting Property of Wood Chip Board Using Construction Waste Wood)

  • 김세환;오세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80-86
    • /
    • 2007
  • In this study we experimented setting time and basic properties as waste wood fiber and sodium silicate substitution rate to reuse waste wood fiber produced in construction field to wood chip board. To do this construction waste woods were crushed with the size less than 10mm, mixed with the rate of 1:2, 2.5, 3, and added sodium silicate with the rate of 0, 5% of cement cont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substitution rate of construction waste wood was increased delay of setting time was also increased, and the batch of adding 5% accelerator had a 13~17 hours faster setting time than non accelerator batch.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lower as wood substitution rate was higher, and as the specific gravity was higher, the strength was also higher. As wood substitution rate was higher, heat conductivity was lower, and as specific gravity was higher, heat conductivity also was higher.

  • PDF

플로어링보드용으로서 배향성스트랜드보드(O.S.B)의 적합성 분석 (Analysis of Suitability of Oriented Strand Board(O.S.B) as a Flooring Board)

  • 신상호;박철우;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3-214
    • /
    • 2019
  • Oriented strand board(O.S.B) is used in many areas, such as interior and interior finishes of wooden houses, but no cases and studies have been used as flooring materials for flooring boards.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the aromatic strands board, which we believe can be substituted for the plywood, and analyze its suitability as a floorboard.

  • PDF

가속 포집방법을 이용한 목질보드류의 폼알데하이드 방출량 평가 (Evaluation of Formaldehyde Emission from Wood-Based Panels Using Accelerated Collection Method)

  • Han, Hyun-jo;Lee, Seog-eon;Yang, Seung-min;Choi, Chul;Kang, Seog-go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129-144
    • /
    • 2019
  • 본 연구는 목질보드류 및 가구 생산 현장에서 주로 품질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데시케이터 방법을 개선 및 보완함으로써 측정 및 포집 시간을 단축하는 가속 포집 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등급별 목질 보드류에 대해 데시케이터 방법에 의한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였다. 이어 개발된 공정을 가지고 데시케이터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최적 온도와 시간, 노출면적 등을 선정하여 시험한 후 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도는 $100^{\circ}C$, 시간은 1시간, 시편은 2개일 때 데시케이터 방법과 비교적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상관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시험 공정을 검증하기 위해서 설정된 표준화된 온도 및 시간, 시편의 매수를 가지고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KCL)에 의뢰되어 실제 시험에 쓰이지 않았던 시료를 가지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데시케이터 방법과의 상관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속 포집 공정에서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결과값은 데시케이터 방법보다 대부분 높게 나타났다. 몇 개 시료의 포름알데히드 방출 등급은 한단계 더 높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품질관리의 관점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계된 가속 포집 공정 방법에 의해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삼나무 간벌재로 제조된 우드세라믹의 성질 - 증기분사 및 그 시간의 영향 - (Properties of Woodceramics Made from Thinned Logs of Cryptomeria japonica D. DON - Effect of steam injection and its time -)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69-75
    • /
    • 2001
  • 우드세라믹은 목재나 목질재료에 페놀수지를 함침한 후 고온에서 소성하여 만든 새로운 다공질 탄소재료이다. 이러한 우드세라믹의 성질은 재료의 밀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기분사를 하지 않은 보드와 증기분사를 1분, 5분, 10분 실시한 보드 등 4가지 타입의 보드를 만든 다음 우드세라믹을 제조하여 증기분사 시간에 따른 우드세라믹의 성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우드세라믹의 중량감소율은 4가지 타입 모두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중량, 길이 및 두께 감소율은 증기분사를 하지 않은 보드로 제조된 우드세라믹이 증기분사를 실시한 보드로 제조된 우드세라믹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또한 증기분사를 하지 않은 보드로 제조된 우드세라믹의 휨강도 및 압축강도가 컸으나 증기분사 시간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소지수법(酸素指數法)에 의(依)한 목질판상재료(木質板狀材料)의 연소시험(燃燒試驗) (Oxygen Index Evaluation of Wood-Based Materials)

  • 이필우;정인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4호
    • /
    • pp.396-400
    • /
    • 1989
  • 본(本) 시험(試驗)은 산소지수법(酸素指數法)에 사용(使用)하여 목질판상재료(木質板狀材料)의 상대적(相對的) 연소성(燃燒性)과 그들의 산소지수(酸素指數)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다. 산소지수(酸素指數)는 일정비율(一定比率) 산소(酸素), 질소(窒素) 혼합기체(混合氣體)의 흐름속에서 재료(材料)가 발염연소(發炎燃燒)를 지속(持續)할 수 있는 최소(最少) 산소농도(酸素濃度)를 말한다. 본(本) 시험(試驗)에서는 산소지수(酸素指數)를 계산(計算)하기 위하여 Dixon과 Massey의 Up and Down법(法)을 사용(使用)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소지수(酸素指數)는 합판(合板)이 2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MDF와 파티클보드의 산소지수(酸素指數)는 각각 26.9%와 26.2%이었다. 이것은 합판(合板)이 MDF나 파티클보드에 비해 난연소성(難燃燒性)을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2. 산소지수(酸素指數)는 혼합기체유동속도(混合氣體流動速度)에 의하여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 PDF

폐목재파티클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특성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Boards Recycling Waste Wood Particle)

  • 김외정;서진석;한태형;박종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20-127
    • /
    • 2006
  • 폐목질원료로서, 제재, 합판, PB, MDF와 폐침목 등의 해머밀에 의한 파쇄특성과 재생파티클 종류와 혼합비율에 따른 재생보드의 물성을 구명함으로써, 보드원료로서 재자원화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재생보드의 휨성질은 목질원료의 입자형태 및 입도분포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파티클, 섬유와 같은 element가 압축고화된 상태의 판넬(PB, MDF)로부터 재생한 파티클은 물성저하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재생파티클에 이미 도포 경화된 수지에 의해 재생보드의 치수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드원료로서의 적합한 요건은 건전폐목재(제재, 합판)와 저급폐목재(PB, MDF)의 적정한 혼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전폐목재 재생파티클과 재생 PB파티클의 혼용시험에서 제재파티클이 휨성질(MOR, MOE)과 박리강도에 기여하고, 합판파티클은 치수안정성에 더욱 기여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보드의 중층용 원료로 재생PB파티클의 혼합비율을 증가함에 따라서 보드의 휨성능이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혼합률 40%까지는 유의차가 없이 보드 15형(MOR : $153kgf/cm^2$, MOE : $27.5tonf/cm^2$) 수준의 성능이 구비되었다. 향후 생활폐목재(폐가구 등)와 같은 저급폐목재의 활용방안이 강구된다면 보드원료의 수급에 한층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