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록의 역사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메타데이터의 의미론적 확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Concept of Metadata)

  • 남태우;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73-393
    • /
    • 2010
  •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메타데이터는 정보자원을 기술하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강력한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그 적용의 광범위함으로 인해서 그리고 메타데이터가 지닌 복합적인 의미로 인해서 메타데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어렵게 되었다. 이는 메타데이터를 단순한 서지기술이나 서지적 구조와 구분짓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메타데이터가 무엇인지에 대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적인 혼란을 없애고 메타데이터가 지닌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정의에 기반하여 도서관계에 적용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의 본질적인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20세기 초에 채집된 한반도 고표본 (I) (Historic plant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20th century (I))

  • 임형탁;손현덕;임재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3-54
    • /
    • 2016
  • 우리나라 고표본의 대부분은 한국전쟁 중 소실되어서 국내에 남아 있지 않으나 도쿄대학교의 표본관에는 이들 표본의 중복표본(duplicate)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쿄대학교 표본관에 수장되어 있는 중복표본을 조사하여 미동정 표본을 동정하였으며, 우리나라 초기 분류학 역사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이들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들 중복표본의 한 세트를 도쿄대학교 표본관의 기증을 통해 확보하여 전남대 표본관과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에 수장하였다.

수집사료 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국사편찬위원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Collecting Historical Manuscripts Management System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 윤소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71-387
    • /
    • 2009
  • 국사편찬위원회는 역사 연구의 자료가 되는 기록인 사료의 중심 수집기관으로 사료조사수집 활동을 통한 성과물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집사료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사료는 기록물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출처주의, 계층목록과 같은 기록물관리체계를 따르지만 실제 업무흐름은 도서관업무와 유사하다. 국편이 목표로 하는 수집사료 관리시스템은 전자사료관시스템과 전자도서관시스템의 통합된 형태가 된다. 본 연구는 국사편찬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수집사료 관리시스템의 개발과 시스템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고 있다.

OCR 기반 스마트 가계부 구현 (Development of Smart Household Ledger based on OCR)

  • 채성은;정기석;이정열;노영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69-276
    • /
    • 2018
  • OCR(광학문자인식)은 컴퓨터 분야에 적용된 지 20년의 역사가 되었고, 자동차 번호판 인식을 통한 주차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어왔다. 본 OCR 기반 스마트 가계부 앱 개발연구에서도 이 기술을 이용하였다. 스마트폰 기반 가계부에서 구매 내역을 수기로 일일이 기입하는 불편을 개선하고자 카메라로 영수증을 촬영해서 구입 목록을 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OCR 기술만으로 영수증의 이미지 문자를 판독하면 인식률이 떨어져서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영수증 사진의 대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영수증의 문자 인식률을 89%에서 92.5%로 향상하였다.

중국의 혁명역사기록물의 목록기술과 검색분류(2) (Bibliographical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Indexing For Revolutionary Historical Archives in China(2))

  • 이승휘
    • 기록학연구
    • /
    • 제5호
    • /
    • pp.209-242
    • /
    • 2002
  • Bibliographical Description for Revolutionary Historical Archives is created to describe records at the item level. It defines descriptive elements, punctuations, formats and methods. Descriptive elements are composed of 20 elements, each of which is either mandatory or optional. Mandatory elements are: repositories codes, documents codes, dates, creators, title, classification codes, and subject vocabularies. Abstracts were previously included in card cataloging and are removed in the computerized system. New elements, such as "uncontrolled vocabularies," "name of places," "personal names,"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meetings," are added to allow keyword search. Considering that subject vocabulary searches are the most important in computerized systems, however, Guidelines for the Subject Indexing for Revolutionary Historical Archives as well as Subject Headings, as a result from the Guidelines, are created. The most extraordinary features in Chinese archival description are said to be the Guidelines for the Classification Indexing for Revolutionary Historical Archives and Materials as well as the Classification Scheme, both of which are created to allow subject search of records content. It is because Chinese practice of records management distinguishes the classification for arrangement from that for retrieval. Chinese archival description is, therefore, composed of bibliographic description rules, subject headings, and the classification scheme for retrieval.

치악산국립공원의 시각적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ntory and Grade Evaluation of the Visual Landscape Resource in Mt. Chiak National Park)

  • 이숙향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7-65
    • /
    • 2016
  • 치악산국립공원을 형성하는 자연자원 및 인문자원을 대상으로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를 실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국립공원의 경관은 해양경관, 산악경관, 마을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7개 주요 탐방로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총 120개소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였다. 탐방로별 경관목록 비율은 구룡-비로봉 31%(37개소), 성남-남대봉 22%(26개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금대-남대봉 16%(19개소), 부곡-행구 16%(19개소), 황골-입석사 6%(8개소), 향로봉-남대봉 5%(6개소), 곧은재-원통골 4%(5개소)의 순으로 목록화되었다. 경관평가 항목은 조망성, 고유성, 이용성, 역사문화성, 자연성의 5가지 항목으로 구분하고, 상(4), 중(3), 하(2), 1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각 경관유형별로 평가항목 점수에 따라 1차적으로 경관평가를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은 경관유형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2차 경관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 경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경관유형별로 3개의 경관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산악경관은I등급이 72개소, II등급 26개소, III등급 7개소, 사찰 사적경관은 I등급 4개소, II등급 7개소, III등급 4개소로 평가되었다. 산악경관의 등급은 조망성 및 자연성, 사찰 사적경관은 역사문화성, 자연성, 이용성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악경관에는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된 곳은 등급이 높게 나타나, 이는 조망성과 관련이 있었다. 인벤토리 및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산악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유형별로 등급이 매우 우수한 지역의 보전을 위한 경관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개선방안으로는 구룡-비로봉 구간의 산악 및 사찰경관이 조화로운 대표경관으로 판단되어 중점관리지역으로 보전해야할 것이다. 산악경관의 경우 조망점 유지를 위한 수목 전정 등의 정비 및 경관저해를 최소화한 목재전망대, 경관 해설 안내판 등을 설치하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사찰 사적경관은 인공 시설물 설치 시 주변 경관과의 조화로운 소재 사용 및 시설 제한의 기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OUV와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An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nd the Management of Historic Gardens in Suzhou, China)

  • 박희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6-84
    • /
    • 2019
  • 본 연구는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가치와 정원유산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유산으로서 쑤저우 정원은 중국 역사의 독보적 계층인 문인의 취향과 생활상이 양쯔강 동쪽 하구 지역의 자연환경과 얼마나 훌륭하게 교융하고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OUV를 증명하였다. 더하여 고유한 중국의 정원술과 정원을 매개로 한 국제문화의 교류 현상을 보여주었다. 둘째, 정원의 진정성 있는 복원은 가까운 과거에 남긴 기록물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동시대의 언어로 서술하고 사진이나 드로잉 등의 매체를 이용한 이미지를 통해 유산의 묘사한 20세기 기록물은 정원 복원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셋째, 1950년대부터 시작된 쑤저우 정원의 보호관리는 건물 등의 구성요소 복원, 식물소재 및 식재술의 복원, 수목의 기록조사를 통한 목록 작성, 현판, 가구 등의 소품 정비, 수질개선과 수경관 복원사업까지 단계적으로 상세하게 진행되었다. 넷째, 세계유산 등재 이후부터는 정원의 보호관리가 두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하나는 행정 관리체계의 재편과 정원 관련 법제의 제정을 통해 등재유산을 엄격하게 보호관리하고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역사정원을 쑤저우시의 도시기본계획과 도시 정체성 확립에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호부터 합리적 이용에 이르기까지 세분된 보전원칙과 전면보호와 정비보호, 유적지 보호와 같이 보호의 강도를 구분함으로써 보전 유산의 범주를 크게 확장시켰다.

유럽 주요 대학도서관의 한국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 Related to Korea in the Major European University Libra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91-212
    • /
    • 2014
  • 이 연구는 유럽의 주요 10개 대학도서관의 목록레코드에 나타나고 있는 한국관련 레코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관련 레코드의 주제영역별 현황과 특성, 주제명 등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대부분의 도서관이 해당 국가도서관의 주제명표목표를 적용하거나 LCSH를 함께 병행하고 있으며, UNIMARC 보다는 MARC 21 형식으로 레코드를 구조화하고 있다. 둘째, 한국어 자료는 대개 로마자로 번자하고 있지만, 한국어 원어를 함께 표기하고 한국어 검색이 가능한 곳은 3개관에 불과하다. 셋째, 대부분의 도서관이 한국관련 레코드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일본관련 레코드와 비교하면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한국관련 자료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6배 이상 높게 나타나는 곳도 2개관이 있다. 넷째, 한국관련 레코드의 세부항목별 주제 분포에서 '역사', '정치', '경제'가 대체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한국관련 주제명 가운데 '태권도', '김치', '독도', '동해', '두만강', '백두산' 등의 용어는 도서관마다 표기방식이 다르지만 대부분 미국의회도서관의 주제명표기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특히 '독도'관련 레코드는 독도의 한국식 발음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3개관은 'Korea'라는 지리 한정어가 부가되어 있다. 독도나 동해관련 레코드가 1건도 검색되지 않는 도서관이 2개관이나 있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토마스 피셔 희귀서 도서관(Thomas Fisher Rare Book Library)의 '게일 문서' 현지조사 및 목록작성 연구(硏究) (Field research and cataloging of Gale's Papers on Thomas Fisher Rare Book Library in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 서강선
    • 동양고전연구
    • /
    • 제71호
    • /
    • pp.305-349
    • /
    • 2018
  • 제임스 스카츠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은 캐나다에서 근대한국에 파송된 선교사이다. 제임스 게일은 선교사 중 한국학 연구에 기여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게일은 뛰어난 언어학자이면서 번역가였고, 한국역사 및 한국 민속학자였으며 저술가였다. 게일은 한국의 역사 문화 민속 언어에 해박했던 한국학의 대가였다. 근대의 한국학에서 우리는 두 사람에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 명은 일본의 다카하시 도루이고, 다른 한 명은 캐나다 출신의 영국인 제임스 스카츠 게일이다. 다카하시 도루가 한국학을 체계화하고 정립한 인물이라면 게일은 한국학을 세계에 알리고자 한 인물이다. 다시 말해서 게일은 한국학의 세계화를 최초로 시도한 인물이다. 다카하시의 연구와 저서는 한일합방을 통한 내선일체의 구도 속에서 전파의 범위가 일본에 국한되지만 게일의 연구와 저서는 영국을 포함한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북미대륙에까지 전파되었다. 당시 게일의 연구는 한국학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창구역할을 하였다. 게일 문서는 주로 한국에 관한 것으로 제임스 게일의 원고에 대한 자필문의 선장본 성책문서와 초안 및 타자기로 타자한 타이핑 원고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서신 일반서적 일기 두 번째 부인의 일기, 게일이 수집한 한국어 원고 및 출판된 기사가 포함되어 있다. 게일의 자료는 그가 한국에서 선교사(1888~1927)로 있을 때의 원고와 은퇴 후 영국에 정착(1927~1937)하여 사망할 때까지의 원고를 포함하여 1888년~1937년까지 작성하여 남긴 유고이다. 게일의 문서는 근대의 서양인에 의한 한국학 연구와 선교사(宣敎史) 등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LCSH 한국관련 주제명표목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pical Headings Related to Korea in LCSH)

  • 김정현;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9-68
    • /
    • 2009
  • LCSH는 오늘날 도서관목록 및 국가서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접근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1914년 처음 LC에서 개발했지만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 도서관에서 LCSH를 적용하고 있을 만큼 주제명표목에 있어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LCSH에 수록된 주제명표목 가운데 한국관련 주제명의 변천과정과 특성을 LCSH 초판(1914)부터 제30판(2007)까지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역사구분이나 관련 주제명이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와 다른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중요하거나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주제명이 누락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세분된 주제명도 많이 있다. 한국관련 주제명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누락되거나 전개가 부족한 것은 전적으로 LC의 장서수집정책과 관련이 있지만, 최근의 학술적 연구 성과가 반영된 한국관련 문헌이 LC에 골고루 많이 수집될 수 있도록 기증을 하는 등 우리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