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목록위원회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협회소식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31 no.1 s.260
    • /
    • pp.43-45
    • /
    • 1990
  • PDF

Study on the Formul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Focus on the Composition of the Committee and Changes in the Listing of Cultural Properties- (일제강점기 문화재 정책 형성과정 연구 -위원회 구성과 목록 변화를 중심으로-)

  • Oh, Chun-Yo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1 no.1
    • /
    • pp.100-125
    • /
    • 2018
  •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investigated and institutionalized Korea's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governance. This process was conducted by Japanese officials and scholars, and systematized after making some changes. The Reservation Rule (1916) and th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in 1934 were actually the starting point for Korea's current cultural property policy. In the view of lineup of 'committee' that consider all of cultural property and changing of 'cultural property list', this study discusses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implemented by Joseon's Government-General,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seon's Government-General formed a committee (Preservation Society) to formulate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and had the policy implemented by appointing Governor officials who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the total number of officials of the institution. Although some Koreans were concerned about this, they had no influence on the matter. Second, the cultural properties listed by Joseon's Government-General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lists. The compilation of the first list was led by Sekino Tadashi, who represented the grading system (1909~1916); while that of the second list (1917~1933) was led by Guroita Gatsumi, who represented listing (1917~1933). Guroita Gatsumi tried to erase Sekino Tadashi's list by formulating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and the list - a situation that was revealed in the system and the actual contents of the list. The third list was made as a list of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1934. This list also reflected the results of Sekino Tadashi investigation of the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at existing temples that had been excluded from the previous regulations (1934~1945). In this way, a basic framework for the listing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was established in 1934.

문헌목록

  •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 KCID journal
    • /
    • v.13 no.2
    • /
    • pp.343-345
    • /
    • 2006
  • PDF

문헌목록

  •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 KCID journal
    • /
    • v.14 no.2
    • /
    • pp.291-294
    • /
    • 2007
  • PDF

문헌목록

  •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 KCID journal
    • /
    • v.13 no.1
    • /
    • pp.160-162
    • /
    • 2006
  • PDF

문헌목록

  •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 KCID journal
    • /
    • v.14 no.1
    • /
    • pp.141-143
    • /
    • 2007
  • PDF

연속간행물용 한국목록규칙(안)에 대한 지상공청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38 no.6 s.307
    • /
    • pp.45-78
    • /
    • 1997
  • 우리 협회에서 간행된 한국목록규칙 3판(KCR3)은 국내의 기술목록수준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한 단계 진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자부합니다. 그 근거로 국제서지기술법(ISBD)을 수용하여 서지기술단위저록방식을 규정함으로써, 기술만으로 완전한 저록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우리의 언어나 사고과정에 기초한 한국적 특수성을 목록규칙에 반영할 수 있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종래 KCR3은 단행본 중심의 목록규칙이라는 한계가 있었고, 따라서 연속간행물과 기타 비도서자료에 대한 기술규칙의 제정이 요구되어 왔습니다. 각종 비도서잘(비책자자료)와 네트워크자원이 대량으로 간행되는 시점에서 이들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목록에서 수용할 수 있는 통합된 목록규칙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규칙제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고려하여 우선 일차로 연속간행물용 목록규칙(안)을 내어 놓게 된 것입니다. 이 목록규칙(안)은 그 동안 2년여에 걸쳐 우리 협회 목록위원회를 중심으로 회의와 토록과정을 거친 것으로 도서관계에 종사하시는 사서 여러분의 의견을 수용하고자 하오니, 애정과 관심으로 검토해 주시고 좋은 의견을 개진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목록규칙은 바로 우리 도서관인 모두가 다듬고 만들어 가야 할 책무가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형태의 의견이나 권고안, 수정안이라도 좋으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협조를 기대합니다.

  • PDF

The Listing Procedure for environmental friendly organic materials in Korea (한국의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 제도)

  • Lee, Sang-Beom;Seung, J.O.;Kim, S.S.;Kim, B.S.;Lee, B.M.;Oh, Y.J.;Kang, C.K.;Choi, K.J.;Hong, M.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5-276
    • /
    • 2009
  • 민간단체들에 의하여 자율적으로 시작된 국내 유기농업은 친환경농업육성법(1997. 12.13)이 제정되면서 국가기관의 친환경농업 활성화 노력과 더불어 2008년 유기농재배 농가(8,460호)와 면적(12,033호)이 급격히 증가되었다. 또한 유기농업의 확산과 더불어 화학비료 및 유기합성 농약대체 친환경농자재들의 유통이 증가되고 있으나 관리규정이 없어 검증되지 않은 다양한 농자재들이 유통되어 친환경실천 농가들의 혼란이 초래되어 국정감사 시 문제점으로 지적과 함께 각계에서 관리제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19964호, 2007.3.27.공포, 2007.3.28.시행)으로 농촌진흥청에 친환경농자재심의회가 설치되어 효과와 효능을 검증하지 아니하고 친환경농산물 중 유기농산물 생을 해 사용가능한 자재인지 여부를 검토하여 그 결과를 공개하는 목록공시제가 마련되었다. 친환경유기농자재 목록공시는 1년에 4회 매분기말에 농촌진흥청 농자재관리과에서 접수를 받아 친환경농자재 분야별 전문위원회 검토 후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접수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농촌진흥청장이 공시(농진청 홈페이지, 관보게재)하고 친환경농업 관련기관 및 검토 신청자에게 통보함으로서 마무리된다.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유효기간은 2년이다. 친환경농자재심의위원회는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병 해충 관리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11명 및 심의위원회 의원 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7년 3월부터 2009년 11월 30일 현재 목록 공시된 친환경유기농자재 제품은 (1) 양개량용 자재 25 개, (2) 작물생육용 자재 282개, (3)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용 자재 308개, (4) 작물병해 관리용 자재 110개, (5) 작물충해 관리용 자재 : 224개, (6) 작물병해충 관리용 자재 5개 및 (7) 기타 자재 1개 제품으로 총 955개 제품에 이르고 있다. 한편, 공시연장 미신청, 현재 검토기준안에 필요로 하는 추가요청 자료 미제출 및 공시이외의 물질 사용으로 국내유통 중 단속되어 부적합한 판정을 받아 20여 제품이 목록공시가 취소되었다. 앞으로 목록 공시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는 제품의 주성분 함량 표기, 시용효과 검정방법 선, 제조방법 현장점검, 안전성 검정 등 여러가지 제도보완 및 사후관리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된다.

  • PDF

협회소식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30 no.5 s.258
    • /
    • pp.43-46
    • /
    • 198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