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목련과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3초

방향성 식물자원의 정유함량에 관한 연구 I. 목련과 , 운향과 수목의 시기 및 부위별 정유함량 (A Study on the essential oil of fragrant woody landscape plants)

  • 서병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7-132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rrie out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essential of leaves and fruits of Magnolia sieboldii, Magnolia hypoleuca, Evodia danillii male and female, Phellodendron amurense male and female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male and emale by Karlsrube set on August,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in 1994. Essential oil yield was highest in the fruits of Zanthoxylum schinifollium leaves on Augus the amount of essential oil of Magnolia sieboldii and Magnolia hypoleuca leaves was more than the one of Evodia danillii, Phellodendron amurense and Zanthoxylum schnifolium leaves. The amount of essential oil were not di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leaves.

  • PDF

한국산 목림식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 목련과, 붓순나무과 및 오미자과의 비교목부해부 - (Systematic Studies on Some Korean Woody Plants - A Comparative Wood Anatomy of Magnoliaceae, Winteraceae and Schizandraceae -)

  • 소웅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271-284
    • /
    • 1985
  • Anatomical characters of secondary xylem in the trunk of Magnoliaceae, Winteraceae and Schizandraceae, including six genera and eleven species grown naturally in Korea, were studi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 or families. It is considered that among these families specialization in the perforation plate, the angel of end wall to the vessel axis, and diameter of vessel element, is in the order of Winteracae, Magnoliaceae, and then Schizandraceae. In Winteraceae, vessel elements have wholly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s with very numerous bars. Among Magnoliaceae the peroration plates are scalariform with very numerous bars in Michelia, with few bars in Liriodendron, and with few bars or simple in Magnolia. In Schizandraceae, Schizandra shows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s with few bars or simple perforation plates, and Kadsura shows almost simple ones.

  • PDF

한국산 목본식물에 대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 목련과와 붓순나무과의 꽃의형태 - (Systematic Studies on Some Korean Woody Plants - Floral Morphology of Magnoliaceae and Illiciaceae -)

  • 선병윤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317-327
    • /
    • 1985
  • Floral morphology of Magnoliaceae and Illiciaceae in Korea is investigated. Magnoliaceae has long and elongate floral axis where numerous stamens and pistils are pistils are spirally arranged, whereas Illiciaceae has short floral axis and pistils are arranged in a single whorl on the axis. The stamens are basically similar in both families; winged and broad filament, prominant connective, long sporangium, and no clear limitation between fertile and sterile parts, which are primitive characters in stamen. The ovaries are the conduplicate type, in both, with decurrent stigma, stigmatic surface confined to stylar position, and no distinct style. Magnoliaceae has one locule and two ovules, whereas Illiciaceae has one locule and one ovule. The ovule is anatropous or hemianatropus, and has bitegmic integument and crassinucellate nucellus.

  • PDF

백목련의 가지 생장 유형

  • 최형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417-428
    • /
    • 1993
  • 백목련의 가지 생장유형은 두 가지의 생장전략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가. 하나는 환경 극복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생명 유지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략은 한 그루의 나무 안에서도 같이 일어나고 있었다. 가지의 생장율은 조도에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P<0.001) 물리적인 접촉의 유무와도 상당히 관련(P<0.01)되어 있는 반면에 방위별로는 우의차가 없었다. 상대 조도 1%미만의 경우는 주변 가지들과 거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대부분 생장이 제한되어 있었고, 10% 초과의 경우는 접촉에 의해 생장 제한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가지간의 물리적인 접촉의 유무는 분지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P<0.05), 분지율은 조도에 무관하고, 방위별로도 유의차가 없었다. 생장 초기에는 주가지에서 부가지로의 물질 분배비가 크게 나타났으나 나무가 자라면서 환겨의 제한을 받게 됨에 따라 분배비는 다양하고 때로는 아주 적은 값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생장율, 즉 물질의분배비의 다양(0.16~0.98)은 생장과 더불어 빚어지는 제약을 극복하여 태양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가지의 배치로 해석되며, 주어진 환경하에서 백목련이 택하는 최적의 생장 전략인 것으로 생각되다.

  • PDF

백목련 꽃차 제조연도에 따른 항사화함량 특성 (The Antioxidant Content of Flower Tea by Year of Manufacture in Magnolia denudata)

  • 박석근;최아기;김인순;이단주;배지윤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3-63
    • /
    • 2021
  • 사회가 발달할수록 사람들의 건강과 웰빙에 대한 욕구는 더욱 늘어가고 이에 따라서 몸에 좋은 것들을 찾고 개발하여 다양한 음료와 차들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색과 기능성이 뛰어난 꽃차들에 대한 선호도가 점점 올라가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색과 향과 맛 및 기능성까지 뛰어난 대표적인 꽃차가 백목련 꽃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억제 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항산화물질들이 제조된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Flavonoid 함량은 측정농도(1g/100ml)로 제조연도가 2017년 것은 499.0±11.0ppm, 2018년 것은 485.0±16.0ppm, 2019년 것은 422.0±13.0ppm, 2020년 것은 759.0±38.0ppm, 2021년 것은 509.0±14.0ppm으로 2020년에 제조한 것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2. Chlorogenic acid 함량은 측정농도(1g/100ml)로 제조연도가 2017년 것은 2062.0±63.0ppm, 2018년 것은 2253.0±21.0ppm, 2019년 것은 2035.0±25.0ppm, 2020년 것은 3363.0±52.0ppm, 2021년 것은 2359.0±35.0ppm의 함량을 보였다. 3. Catechin 함량은 측정농도(1g/100ml)로 제조연도가 2017년 것은 1343.0±42.0ppm, 2018년 것은 1470.0±14.0ppm, 2019년 것은 1325.0±17.0ppm, 2020년 것은 2210.0±35.0ppm, 2021년 것은 1541.0±24.0ppm의 함량을 보였다. 4. Tannic acid 함량은 측정농도(1g/100ml)로 제조연도가 2017년 것은 1403.0±42.0ppm, 2018년 것은 1530.0±14.0ppm, 2019년 것은 1385.0±17.0ppm, 2020년 것은 2270.0±35.0ppm, 2021년 것은 1601.0±24.0ppm의 함량을 보였다. 5. 모든 항산화물질에서 2020년에 제조한 꽃차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식용 봄꽃(개나리꽃, 진달래꽃, 목련꽃, 벚꽃)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검색 (Screening the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y of Extracts Derived from Five Varieties of Edible Spring Flowers)

  • 김수민;김도연;박혜리;서지혜;염보민;진유정;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3-18
    • /
    • 2014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용 봄꽃 중 개나리꽃, 진달래꽃, 벚꽃, 목련꽃(백목련, 자목련) 등의 8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봄꽃 시료의 건물 중량(g of dry weight)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중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등량값으로 14.1-18.9 mg이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atechin 등량값으로 0.3-4.9mg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타민 C의 함량은 0.71-1.31 mg이었으며,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베타카로틴 등량값으로 $1.9-578.1{\mu}g$으로 나타났으며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은 카테킨의 등량값으로 2.8-23.5 mg으로 측정되었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 및 FRAP 분석의 환원력에 의한 시료의 항산화활성은 건물시료 중량 당 trolox 등량값으로 1.2-46.1 mM로 나타났다(p<0.05). 이들 항산화활성에 상관도($r^2$)가 가장 높은 생리활성 성분은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함량의 순으로 나타나 이들 성분이 항산화활성의 주요인자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5종의 봄꽃 시료 중 항산화활성 성분이 다양하면서 동시에 항산화능이 가장 탁월한 시료는 벚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이들의 항산화활성은 시료 농도(1-1000 mg)에 비례하는 것으로(p<0.05) 나타나,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이소재로서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