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호

Search Result 1,53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lassification and Disambiguation of Morphological Ambiguity of the Korean Language (한국어의 형태론적 모호성 유형 및 해결 방안)

  • 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83-87
    • /
    • 1997
  • 한국어는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가 결합되는 교착어라는 특성 때문에 품사 모호성을 비롯한 여러 가지 유형의 형태론적 모호성이 발생한다. 형태론적 모호성 해결의 관점에서 형태론적 모호성을 한국어의 특성에 따라 어근 유형 모호성, 형태소 분리 모호성, 형태소 길이 모호성, 불규칙 용언의 원형 복원 모호성, '아/에/이' 탈락 모호성 등으로 분류한다. 이 때 임의의 두 분석 결과에서 발생하는 모호성이 특정 유형에만 속하도록 모호성 유형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정의한다. 또한 품사 모호성을 계층적 품사 분류 체계에 따라 $1{\sim}3$차적 품사 모호성으로 구분하고 국어사전에서 발견되는 품사 모호성을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형태론적 모호성의 유형을 단어 내에서 해결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여, 단어 내에서 해결 가능한 모호성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orensen's Sorites and the Vagueness of 'Vague' (소렌센의 더미와 '모호함'의 모호함)

  • Lee, Jin-He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3 no.2
    • /
    • pp.117-134
    • /
    • 2010
  •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show that 'Sorensen's Sorites' is not a successful argument for the vagueness of 'vague'. There are a lot of debates about it, but the central issue is whether Sorensen's Sorites is just small sorites; whether the vagueness certified by Sorensen's Sorites is just the vagueness of 'small'. Deas and Hull thought it was and rejected Sorensen's proof based on his sorites. But their rejection was rebutted by Varzi. The basis of his argument is that the subject of Sorensen's sentences - 'n-small' is vague - is not used but mentioned. I tried to reply on behalf of Deas and Hull and to show that the predicate 'vague' has not any effect on determining the truth value of "'n-small' is vague." Then it can be removed from the sentence. Of course I approve 'vague' is a homological term. What I do not agree with is only Sorensen's argument.

  • PDF

서비스모호성이 소비자만족의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구순이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4
    • /
    • pp.76-10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모호성의 정도, 즉 서비스 모호성은 소비자 만족의 형성과정에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의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인지를 불일치 패러다임하에서 검토해보았다. 본 연구의 수행 결과 서비스 모호성이 높으면 기대나 성과는 만족에 직접효과를 가지지 못하고 불일치를 통한 간접효과를 가진 반면, 서비스 모호성이 낮으면 성과가 불일치를 통해 간접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만족에 직접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불일치는 두 경우 모두에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조사결과의 시사점을 이론적 측면과 전략적 측면에서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 및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Higher-Order Vagueness and Radical Indeterminacy (고차모호성과 극단적 결정불가능성)

  • Lee, Jinhe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7 no.1
    • /
    • pp.137-181
    • /
    • 2014
  • I will propose the radical indeterminacy for solving the higher-order vagueness' dilemma. The radical indeterminacy means that the indeterminacy of 'a is P' implies the indeterminacy of 'a is a borderline case of P.' I will compose my argument two steps: first I will suggest conditions for overcoming the dilemma by analyzing its structure and second I will offer the radical indeterminacy that satisfies aforementioned conditions. I think the higher-order vagueness' dilemma occurs owing to the misunderstanding about the unclarity or the indeterminacy of borderline cases that is an basic intuition of vagueness. So conditions for solving the dilemma are also criteria of adequacy on the theory of vagueness. Thus I will propose II-rule that satisfies above conditions and the radical indeterminacy as a new understanding about vagueness.

  • PDF

모호집합을 적용한 네트워크 신뢰도

  • Kim, 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311-318
    • /
    • 2011
  • 모호집합은 인간의 추론에 내재하는 모호성을 정형화한 것이다. 네트워크 신뢰도를 계산할 때, 각 링크의 확률이 모호수로 정의될 때의 신뢰도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였다. 알고리즘은 분해법을 적용하는 것인데, 모호수의 연산을 포함한다. 분해법을 할 때 키스톤 부품을 시점으로 부터 하나씩 선택하여 분해한다. 이러한 방법은 키스톤 부품을 선택하는 기준이 필요 없으므로 간단하게 만든다. 분해에 의해서 두 개의 하위 문제가 생성되고 원 문제와 재귀관계를 수립할 수 있다. 재귀 알고리즘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만든다.

  • PDF

Korean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BERT (BERT를 이용한 한국어 단어 의미 모호성 해소)

  • Youn, Jun Young;Shin, Hyeong Jin;Park, Jeong Yeon;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485-487
    • /
    • 2019
  • 단어의 의미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단어 벡터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문맥 기반 단어 벡터인 BERT를 이용하여 한국어 단어 의미 모호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그 실험 결과를 기존의 한국어 단어 의미 모호성 연구 결과와 비교한다.

  • PDF

A Disambiguation and Weighting Method using Mutual Information for Query Translation in Korean-to-English Cross-Language IR (한-영 교차언어 정보검색에서 상호정보를 이용한 질의 변환 모호성 해소 및 가중치 부여 방법)

  • Jang, Myung-Gil;Myaeng, Sung-Hyon;Park, Se-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55-62
    • /
    • 1999
  • 교차언어 문서검색에서는 단일언어 문서 상황을 만들기 위하여 질의나 문서를 다른 언어로 변환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실용적인 질의 변환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한 대역 사전을 사용한 질의 변환의 경우에 변환 모호성 때문에 40% 이상의 검색 효과의 감소를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환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역 코퍼스로부터 추출한 상호 정보를 이용하는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사전 기반 질의 변환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변환 모호성으로 발생한 다수의 후보들에서 가장 좋은 후보를 선택하는 모호성 해소 뿐 아니라 후보 단어들에 적절히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질의 변환 방법은 단순히 가장 큰 상호 정보의 단어를 선택하여 모호성 해소만을 적용하는 방법과 Krushall의 최소 스패닝 트리 구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호 정보가 큰 순서대로 간선들을 연결하여 모호성 해소와 가중치 부여를 적용하는 방법들과 질의 변환의 검색 효과를 비교한다. 본 질의 변환 방법은 TREC-6 교차언어 문서검색 환경의 실험에서 단일 언어 문서검색의 경우의 85%, 수작업 모호성 해소의 경우의 96%에 도달하는 성능을 얻었다.

  • PDF

How the Mathematically Gifted Cope with Ambiguity (영재아들은 모호성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 Lee, Dong-Hwan;Lee, Kyeong-Hwa
    • School Mathematics
    • /
    • v.12 no.1
    • /
    • pp.79-9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o how the mathematically gifted cope with ambiguity when they are encountered to learn via resolving ambiguity. In this study 6 gifted students are asked to resolve the ambiguity. Participant in this study appeared to experience the need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the flexible change of perspective. The gifted have constructed unified mathematical knowledge by making a relation between two incompatible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ambiguity. We suggest that dealing with ambiguity in mathematics class can be a good opportunity for enhancing the gifted student mathematics education.

  • PDF

Similarity Measure Between Interval-valued Vague Sets (구간값 모호집합 사이의 유사척도)

  • Cho, Sang-Yeo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9 no.5
    • /
    • pp.603-608
    • /
    • 2009
  • In this paper, a similarity measure between interval-valued vague sets is proposed. In the interval-valued vague sets representation, the upper bound and the lower bound of a vague set are represented as intervals of interval-valued fuzzy set respectively. Proposed method combines the concept of geometric distance and the center-of-gravity point of interval-valued vague set to evaluat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interval-valued vague sets. We also prove three properties of the proposed similarity measure. It provides a useful way to measur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interval-valued vague sets.

The Effect of Ambiguity Aversion on Self-Protection and Self-Insurance effort (모호성 회피성향이 손실 발생 확률 및 손실 크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미치는 영향)

  • Hong, Ji-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4
    • /
    • pp.433-438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mbiguity aversion on the self-protection and self-insurance efforts using a two-period model to conside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making an effort and occurring loss, which is in contrast with the existing one-period model. The loss follows a binary distribution while the distribution is ambiguous. The distribution depends on the state variable. First, the effort of ambiguity averse individuals is not always greater than that of ambiguity neutral ones. Second, the effects of absolute ambiguity aversion (AAA), which does not appear in one-period model, were observed. Not-increasing AAA is a sufficient condition to increase the efforts of ambiguity averse individuals compared to those of ambiguity neutral ones. In addition, the change in effort also depends on the probability function of the state. Lastly, the results hold even when the individual is risk neutral or risk loving. As a result, ambiguity aversion needs to be considered independently with risk a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