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형 객체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8초

객체지향 분석과정에서 오류와 일관성 점검 방법 (A Method of Checking Errors and Consistency in the Process of Object-Oriented Design)

  • 김도형;정기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3호
    • /
    • pp.380-392
    • /
    • 1999
  • 객체지향 분석과정중에 오류를 검출하고 일관성을 점검하여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재의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은 객체지향 분석모델들에 대하여 오류 검출과 일관성 점검을 위한 정형화된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식베이스를 이용하여 , 객체지향 분석모델들에 대한 오류와 일관성 검증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모형화 단계, 정형화 단계, 검증 단계의 세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모형화 단계에서는 시스템을 분석하여 OMT(Object Modeling Technique)방법론의 세 가지 모델인 객체모델, 동적 모델, 기능모델을 생성한다. 이 단계는 OMT의 분석단계에 해당한다. 정형화 단계에서는 이 세가지 모델들을 Atomic Formula 형태로 정형 명세하여 응용 지식베이스에 저장한다. 검증 단계에서는 오류 검출 규칙과 일관성 점검 규칙을 이용하여 오류를 점검하고 일관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점검 방법을 적용하여 ATM(Automated Teller Machine)예제의 분석결과를 검증했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면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분석모델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적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의 다단계 보안 모델링 (Modeling the Multilevel Security of Active Object-Oriented Databases)

  • 김영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55-70
    • /
    • 1994
  • 본 논문은 데이타베이스의 동적 기능을 모형화하기 위해서 동적 규칙을 사건과 동적 규칙 객체로 취급하여 개념적 스키마에 표현하는 동적 객체지향 데이타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에서 정적 구조와 동적 구조에 대한 개념들을 정의하고 모형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이해도를 증진시키는 모델의 구성요호에 대한 그래픽 다이어그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동적 규칙이 데이타베이스 구조에 포함됨으로써 발생가능한 정보의 불법적인 노출 또는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서 BLP모델의 보안 정책을 확장하여 제안된 모델에 대한 11가지 종류의 다단계 보안 성질들을 정의하였다. 또한, 정의된 다단계 보안 성질들이 타당한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패트리네트를 확장하여, 보안 성질의 검증작업을 수행하였다.

객체지향기법을 적용한 초등 자료구조 학습의 지도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 of Data Structure Learning using Object-Oriented Method in Elementary School)

  • 이연정;이철환;한선관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89-196
    • /
    • 2004
  • 정보 교육과정 모형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사고력 함양을 위한 방향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컴퓨터를 통해 실생활을 모델링하고, 모델링한 결과를 통한 추상화는 인간은 사고의 폭을 넓혀 나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실생활에 적용되는 사물들을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과정을 하고, 이를 변형시키는 사고력을 얻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보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는 지식의 획득을 위한 인식 모형이나 컴퓨터 활용능력함양을 위한 프로그래밍 모형과는 구별되는 정보교육과정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모형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객체지향 설계를 통하여 객체 및 클래스와 상속성 개념에 기반한 정보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사고의 추상화와 확장성 및 재사용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초등학생 자료구조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 PDF

CORBA 객체의 지속성을 위한 관계 데이타베이스용 객체 데이타베이스 어댑터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Object Database Adapter on Relational Database Systems for the Persistence of CORBA Objects)

  • 박우창
    • 정보기술과데이타베이스저널
    • /
    • 제3권2호
    • /
    • pp.39-51
    • /
    • 1996
  • CORBA는 분산 시스템의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모형으로 여러 응용에서 장점을 보인다. 그러나 CORBA 객체의 정의에는 지속성을 가정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CORBA의 BOA(Basic Object Adapter)에 객체 데이타베이스 어댑터(Object Database Adapter, ODA)를 구현하여 객체를 관계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객체의 지속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객체의 관리는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이 자연스러우나 본 논문에서는 이미 구축된 관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과 응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관계 데이타베이스용을 구현하였다. ORB는 Orbix를 사용하였고, 튜플의 객체로의 대응은 Tie 법과 객체포장기 개념을 사용하였다. CORBA 응용의 관점에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객체의 지속성 유지는 지속성 유지와 더불어 많은 수의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병행성, 회복기법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여러 장점이 있다. 또 데이타베이스 시스템 측면에서 CORBA와 데이타베이스 어댑터의 이용은 사용자에게 데이타베이스 스키마에 관한 사항을 숨김으로써 데이타베이스 접근을 쉽게 하고, 분산된 데이타베이스 환경에서는 데이타베이스 모델과 언어의 이질성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HLA 기반 페더레이트 구조 개선을 위한 FOM 설계 (A FOM Design for Improved Federate Framework based on HLA)

  • 서혜숙;한상범;신종회;김태윤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2439-2442
    • /
    • 2002
  • 오늘날 소프트웨어 개발은 재사용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들을 컴포넌트로 가지는 프레임워크 개념을 실용화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재사용성과 이기종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차세대 시뮬레이션 기술 구조인 HLA(High Level Architecture)에 기반을 두고 있는 많은 프레임워크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재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개발한다는 것은 동적으로 페더레이트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는 새로운 도전이 기다리고 있다. 사실상 현재의 프레임워크들은 페더레이트가 만들어질 때 객체 모형의 컴포넌트들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정적인 객체 모형 표현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TI를 사용하여 HLA 페더레이트를 구성하는 페더레이션 객체 모형(FOM)을 개선된 프레임워크 구조로 설계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사용함으로써 개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개발자들은 시뮬레이션 관점에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운용한 결과로써 유연성(Flexibility)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동적 객체지향 모델에서 무결성과 임무 분리 메카니즘 (A Mechanism of Integrity and Saperation of Duty in an Active Object-Oriented Data Model)

  • 서재현;김영균;노봉남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4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223-232
    • /
    • 1994
  •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무결성은 중요한 개념이다. 이 무결성이 객체의 내부 메소드로 정의되고 구현하면 응용에서의 무결성 의미 파악이 어렵고, 또한 객체의 기본적인 메소드와 함께 모형화되기 때문에 데이타베이스 설계 작업이 복잡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무결성을 매소드로 처리할 때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동적 데이타베이스의 동적 규칙을 이용하여 무결성 제약조건을 정의하고 유지시키는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 무결성과 임무 분리를 유지시키는 기립을 제안한다.

  • PDF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 활용 Visual-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Visual SLAM-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Topography and Architectural Heritage Model)

  • 유은지;유정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401-40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에서 사용되는 전시 매체 중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을 활용한 Visual 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활용을 제안한다. 현재 박물관에서 다양한 디지털 전시가 도입되고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도입된 지형 및 건축 문화유산 모형의 ICT 기술 활용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Visual SLAM 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은 현실 객체의 특징점을 인식하여 3D 객체를 증강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문화유산 모형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제작을 제안함으로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기존 모형의 활용도 및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인터랙션 설정으로 추가 정보 또한 제공할 수 있다.

  • PDF

사진측랑기법을 이용한 이동객체 추적에 관한 연구 - 축구장 모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racking a Moving Object using Photogrammetric Techniques - Focused on a Soccer Field Model -)

  • 배상근;김병국;정재승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7-226
    • /
    • 2006
  • 객체의 추출 및 추적은 동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 및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매우 기본적이고 중요한 단계로 여러 가지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두 대의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면서 이동하는 객체를 추적하고 좌표를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특히 개발한 알고리즘의 적용 및 실용화를 위해 축구장에 대한 1/100크기의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CCD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영상에서 이동 객체 (축구공)의 RGB값을 이용해 후보를 선정하고 후보 중 객체의 크기값(MBR size)을 이용해 객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이동객체의 영상좌표를 획득하고 이동객체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예상 움직임 범위를 결정하여 그 범위 내에서만 검색을 실시해 이동객체의 실시간 위치를 추적하게 된다. 한편 두 대의 CCD 카메라에 대한 상호표정 및 절대표정을 수행하고, 공간전방교선법을 이용함으로써 이동객체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시간지리학 응용을 위한 시공간데이터베이스 기반의 GIS 컴퓨팅 연구 (Geocomputation with Spatio-Temporal Database for Time Geography Application)

  • 박기호;이양원;안재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21-237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시간지리학 모형을 위한 객체관계형 시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시공간경로, 시공간프리즘, 시공간접근성에 대한 질의 및 시각화를 수행하는 GIS 컴퓨팅을 연구한다. 이러한 GIS 컴퓨팅환경은 (i) 시공간데이터베이스의 자료원이 되는 개인통행자료를 수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ii) 시간지리학 모형을 포함하는 객체관계형 시공간데이터베이스 서버, (iii) 시공간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시간지리학 모형에 대한 질의와 시각화를 수행하는 3D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시공간 개인통행자료는 GPS-PDA 클라이언트를 통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자동 수집되고, 시공간자료관리 미들웨어의 중개를 거쳐 좌표변환 및 DB전송이 이루어진다. 일반 DBMS를 확장하여 구현한 시공간데이터베이스는 시간지리학 응용을 위한 시공간 객체 및 시공간함수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시공간 SQL을 구성할 수 있다. 질의 및 시각화 클라이언트는 시공간경로, 시공간프리즘, 시공간접근성에 대한 SQL 질의 결과를 X-Y 공간축과 T 시간축으로 이루어진 시공간입방체를 통해 표현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간지리학 모형을 위한 모바일 GIS와 DBMS의 연동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시공간객체와 시공간함수를 포함하는 객체관계형 시공간데이터베이스의 구현을 통해 대용량 자료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시간지리학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수립하였다.

  • PDF

몰입형 시뮬레이션 환경을 위한 축소 모형 및 가이더 인터랙션 (Miniature and Guider Interaction for an Immersive Simulation Workspace)

  • 김명희;조은;유효선;이선민;박지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44-1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CAVEW^{TM}-like$ 시스템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기반의 몰입형 시뮬레이션 환경에 필요한 인터랙션 기법을 제안한다. 축소 모형(miniature) 인터랙션은 원거리에 있는 객체를 쉽게 선택하거나 조작하기 위하여 가상 세계 전체를 축소하여 사용자 근처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조작함으로써 대상 객체와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조감도(bird's eye view)로 표현되는 지도상에 사용자 위치를 표시하여 가상 세계 탐색시 이동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축소 모형은 투명 패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여지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택타일 피드백(tactile feedback)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리드(grid)를 이용한 비주얼 가이더는 가상 세계 내에 그리드를 디스플레이하여 대상 객체와 사용자간의 위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대형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인터랙션은 정확한 깊이 인식이 어렵기 때문에 인터랙션 시사용자의 불필요한 행위를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이 같은 문제점을_개선하여 객체 조작 시 느껴지는 피로감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몰입 및 상황 기반 시뮬레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활성화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