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형 객체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8초

분산객체 기술을 이용한 금융분석모형과 자료의 통합

  • 허순영;이근우;김형민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8-301
    • /
    • 2000
  • 본 논문은 금융상품을 나타내는 자료 객체로부터 분석 모형을 분리해 내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들을 자유롭게 통합할 수 있는 객체 지향 구조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자료와 모형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구체적 객체 지향 구성체를 제시한다. 또한, CORBA나 DCOM과 같은 분산 객체 기술을 이용하여 분산 시스템 환경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통합 회계 데이타모형과 그 응용 -객체 중심 접근법을 중심으로- (An Integrated Accounting Data Model and Its Application - Based on Object-oriented Approaches)

  • 남천현;한경석;곽수근
    • 정보기술과데이타베이스저널
    • /
    • 제2권2호
    • /
    • pp.35-54
    • /
    • 1995
  • 회계시스템에 데이타베이스시스템을 도입하는 연구의 주류는 데이타베이스 분야에서 개발된 데이타모형(data mood)을 이용한 회계 데이타모형의 개발에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타베이스 분야에서 최근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는 객체지향 데이타모형을 적용한 회계 데이타모형(Object-oriented Accounting Data Model; OADM)을 개발하고 응용하는 데 있다. OADM은 회계시스템의 정보제공능력 제고 및 시스템통합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OADM은 데이타모형 관점에서 규명된 전통적 회계시스템의 본질을 모형화의 배경으로, REA 모델을 모형화의 기초로, 그리고 객체지향 데이타모형을 모형화의 도구로하여 개발된다. 회계 데이타모형화에 있어서 복합적인 회계데이타의 표현, 복합적이고 까다로운 회계처리절차의 데이타화, 타부문과의 연계, 회계시스템의 변경 및 확장 등의 제 문제점은 기존의 데이타모형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우나 객체지향 데이타모형을 회계 데이타모형화에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관련한 후행 연구로는 활동중심 원가계산의 모형화, 예산시스템의 모형화 그리고 사무정보시스템의 모형화 등을 들 수 있다. OADM은 이러한 모형화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모형의 실증분석도 가치 있는 미래연구로 본다.

  • PDF

변화탐지와 회상 과제에 기초한 시각작업기억의 통합적 객체 표상 검증 (Integrated Object Representations in Visual Working Memory Examined by Change Detection and Recall Task Performance)

  • 이인애;현주석
    • 인지과학
    • /
    • 제35권1호
    • /
    • pp.1-21
    • /
    • 2024
  • 본 연구는 두 가지 이론적 모델인 통합된 객체 모형과 특장 병렬-독립 저장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시각작업기억 표상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I에서 참가자들은 색상 사각형, 방위 막대 또는 두 가지 모두로 구성된 배열을 기억한 뒤 이를 토대로 변화탐지과제를 수행했다. 단일 특징 조건에서 기억배열은 하나의 특징(방위 또는 색상)으로만 구성된 반면, 두 가지 특징 조건은 둘 모두를 포함했다. 두 조건간 변화탐지 수행의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병렬-독립 저장 모형보다는 통합된 객체 모형을 지지한다. 실험 II에서는 이등변삼각형의 방위, 색상 사각형 또는 두 특징 모두로 구성된 기억배열을 대상으로 회상과제가 실시되었으며, 단일 특징과 두 가지 특징 조건 간 회상 수행이 비교되었다. 두 조건 간 회상 정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표상 선명도와 추측반응에 대한 분석 결과는 강한 객체 모형보다는 약한 객체 모형을 시사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작업기억의 표상 특성을 둘러싼 현시점의 논쟁에 있어서 병렬-독립 저장 모형이 아닌 통합된 객체 모형의 우세를 지지한다.

Unified Modeling Language를 활용한 다관점 업무 시스템 모형화 (Multiple Perspective Business System Modeling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 김종우;김진삼;조진희;전진옥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2373-2383
    • /
    • 1999
  • 최근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광범위한 활용과 더불어 객체지향 개발방법론, 객체지향 모형화 언어가 활발히 보급되어 있다. 객체지향 개발방법론을 채택하여 정보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사전 작업인 업무 분석 및 재설계 작업을 객체지향 모형화 언어를 활용하여 진행하면 업무 분석 및 재설계 산출물을 정보시스템 개발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정보시스템 개발에 참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모형화 언어의 표준으로 대두되고 있는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에 기반한 업무 프로세스 모형화 기법(UML-B, UML extension for Business Modeling)을 제시한다. UML-B에서는 UML의 표기법을 사용하여 업무 시스템의 조직 구조, 행위자, 사용사례, 업무 프로세스, 개체 관점을 표현하도록 한다. 또한 UML이 제공하는 확장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업무에 대한 모형화 작업의 용이성을 증진시키고 경영혁신(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기법을 객체지향 모형화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PDF

모형 객체 패턴을 이용한 Federation 통합시험 방법 (A Method of Integration Testing for Federation using Mock Object Patterns)

  • 심준용;이용헌;이승영;김세환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1-48
    • /
    • 2011
  • 개발 기능에 대한 단위시험 모듈을 구현할 경우 도메인 구현부와 시험 구현부의 종속성이 높기 때문에 단위시험 모듈의 재사용이 어렵다. 특히, 동일한 구조나 기반 프레임워크를 재사용하는 시스템의 경우 구성 소프트웨어의 내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위시험 모듈의 중복이 불가피하며, 통합 시험 코드는 해당 모듈 간 연동 인터페이스 구현에 종속되기 때문에 각 모듈의 개발 일정에 따라 단위시험 수행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TDD 기법 중 하나인 모형 객체(Mock Objects) 패턴을 이용한 단위시험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도메인 모듈과 시험 모듈을 분리할 수 있도록 도메인 모듈을 대리하는 모형 객체를 생성하고, 해당 모형 객체를 시험 모듈과 통합함으로써 단위시험 모듈의 구현을 용이하게 한다. 본 논문은 HLA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는 Federate의 Federation 통합 및 연동 시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모형 객체를 적용한 모형 Federate를 설계하고, 모형 Federate의 구성 모듈을 위한 테스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 프레임워크는 RTI 서비스를 위한 시험 함수를 제공하며, 해당 함수들은 xUnit 패턴에 의해 자동화 된다.

퍼지객체지향자료모형에서 구간값 퍼지집합을 이용한 속성값 계산 (Calculating Attribute Values using Interval-valued Fuzzy Sets in Fuzzy Object-oriented Data Models)

  • 조상엽;이종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45-51
    • /
    • 2003
  • 일반적으로 퍼지객체지향자료모형에서 속성값은 퍼지집합을 표현한다. 만일 퍼지객체지향자료모형에서 속성값을 구간값 퍼지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퍼지객체지향자료모형에서 사용하는 속성값을 더 유연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퍼지객체지향자료모형의 상속구조에 나타나는 프레임내에 있는 속성값을 구하기 위해 구간값 퍼지집합을 사용하는 우선순위 논리곱연산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이 방법은 속성값의 소속정도가 기존의 퍼지집합이 아닌 구간값 퍼지집합으로 표현하는 지식정보처리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 PDF

SCORM 기반의 협동학습객체 모형 설계 (Development of Cooperative Loaming Object Model based on SCORM)

  • 정영식;배영권;김명렬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413-421
    • /
    • 2004
  • 지식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웹을 통하여 정보와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 도구를 제공할 수 있는 웹 기반협동학습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웹 기반 협동학습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재사용 가능한 협동학습객체 모형을 SCORM을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협동학습객체 모형을 필드와 메소드, 속성으로 구성하였다. 필드는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된 상호작용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모델로 구현하였으며, 메소드는 상호작용 결과를 LMS에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API 함수로 구현하였다. 또한 협동학습객체의 속성은 접근성, 다형성, 포장성, 제어성으로 구분하여 각각 베타데이터, 계열화, 패키지, 런치를 통해 구현하였다. 이러한 협동학습객체는 학습 내용과 결합하여 하나의 협동학습 활동을 구성하게 되고, 이렇게 구성된 협동학습 활동을 계열화함으로써 교수 학습 설계가 이루어진다.

  • PDF

다항회귀함수를 이용한 이동객체의 불확실한 위치 추정 (Estimating Moving Object`s Uncertain Position using Polynomial Regression Function)

  • 양은주;안윤애;오인배;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310-312
    • /
    • 2001
  • 샘플링되지 않은 불확실한 이동객체의 위치값을 추정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방범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선형 보간법이다. 선형 보간법을 사용할 경우 샘플링 구간은 좁게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고 계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연속적인 이동객체의 경로는 직선이라기 보다는 곡선으로 나타내어지므로 샘플링되지 않은 이동객체의 위치값에 대해 불확실한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반환하게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샘플링된 이동객체의 위치값에 오차가 없다는 가정하에서 모든 위치점을 지나는 보간 다항식을 구해서 처리하는 선형 보간법 대신 이동객체의 위치값 자체의 오차범위까지 고려하는 다항회귀모형(polynom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한 이동객체의 불확실한 이동위치 추정방법을 제시한다. 다항회지모형은 이용할 경우 선형 보간법 보다 추정된 위치값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객체의 과거 및 미래 위치값을 사용자에게 반환해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 PDF

수치지형도의 객체화 변환에 관한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Translation from Korean Digital Topographic Maps to Distributed Objects)

  • 황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255-26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치지형도를 객체지향적 설계 분석 방법을 통해 객체화하기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객체지향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인 캡슐화, 다형성, 상속등을 통해 가능한 정보은폐된 수치지형도 객체를 설계하였다. 이를 이해 수치지형도의 자료모형을 분석하고, 지도 사상들 간의 상호관계를 계층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로부터 현재 수치지형도의 레이어 구성은 공간자료모형이나 자료 정의의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정의한 계층이 실제 자료 특성에 모호하게 반영되어 이를 구체화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자료 레이어' 단계와 '객체 클래스' 단계를 통합하여 객체의 계층을 구분하였고, 수치지형도 공간 원형 클래스를 정의하여 이를 통해 공간 객체를 자신의 자원으로 활용하는 연계 매커니즘(ISCO)을 통하여 수치지형도 레이어 객체들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한 수치지형도 객체를 JAVA를 통해 구현한 다음 실제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 환경에서 편리하게 상호 공유하여 수치지형도 객체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지능형 교육 시스템을 위한 적응적 지식베이스 객체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Adaptive Knowledge Base Object Model for Intelligent Tutoring System)

  • 김용범;김영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4호
    • /
    • pp.421-428
    • /
    • 2006
  • Intelligent Tutoring System(ITS)이 다양한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개별화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영역 전문가를 대신할 효율적인 대안으로 인식되어짐에 따라, Learning Companion System(LCS)에 대한 연구도 긍정적으로 검토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LCS에서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동일한 역할을 하는 복수 LC의 결합이 필요하고, 이는 개별적 지식베이스의 확보를 선행 조건으로 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구조의 연결주의적 관점을 근거로, 지식베이스 자체의 자기 학습(self learning)이 가능하고, 지식베이스 객체의 소유자에 의해 적응적으로 성장 가능한 지식베이스 객체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 지식베이스 객체 모형은 개별적 지식베이스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여, 지식베이스 객체를 이용한 적응적 ITS 개발의 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