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형선

검색결과 1,196건 처리시간 0.03초

해상에서의 속도성능 해석법

  • 권영중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9
    • /
    • 1994
  • 해상의 신속성능해석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 하겠다. 이를테면 (1)시운전결과해석법의 개선, (2)Service Power Marhin 산정법의 개선, (3)연료경제성이 고려된 최적속력산정, (4)실선-모형선 상관수정값 개선, (5)고성능선박을 위한 통합설계법의 개선, (6)미래선박의 설계자료 수집, (7)용선계약과 관련된 문제점 해소등 수 많은 예를 찾을 수 있다.'1' 상기에 예시된 목적들의 달성을 위하여서는 이론적인연구 이외에 선 속의 체계적인 mNOITORING이 추천되고 있다. 효율적인 Monitoring system을 문헌'2,3,4'에서 예를 찾을 수 있다.

  • PDF

전면부 변형형태에 따른 보강토 벽체 구조물의 파괴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ilure Behavior of the Reinforced Earth Wal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Deformed Types of the Face)

  • 김준석;이상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67-17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전면부 변형형태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파괴거동을 탄소봉 모형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에서는 모형 보강토 벽체의 전면판 변형 형태를 상부변형, 수평변형, 하부변형 등 3종류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변형된 벽체의 파괴선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사진촬영 기법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상부변형의 조건일 경우 파괴선은 포물선의 형태를,수평이동의 조건일 경우 파괴선은 매우 큰 원호의 형태를 보였으며, 하부변형의 조건일 경우 파괴선은 직선화된 대수나선형태를 보였다. 현재 설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복합중력식 설계법의 가상파괴선은 하부변형 조건의 파괴선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 PDF

차로공동이용화를 위한 신호최적화모형 개발 연구 (Signal Optimization Model Reflecting Alternative Use of Lanes for Left/Through Traffic at A Signalized Intersection)

  • 신언교;홍성표;김동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5-8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에서 교통용량을 최대한 활용하고, 방향별 교통량에 부응하는 교통용량을 배분하기 위하여 교차로 후방에 정지선을 설치한 차로공동이용방안 및 이에 따른 혼합정수선형계획법의 신호최적화기법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부도로에서 주교차로와 후방 정지선 사이의 대기차량 저장공간으로 진입되는 직진과 좌회전 차량은 주교차로 해당 이동류 현시에 완전히 소거되어 모형의 안정성을 입증해주었다. 그리고 본 모형 적용으로 평균지체시간 46∼64%, 연료소모량 18∼32% 정도를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본 모형의 적용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교차로 후방에 수반되는 정지선의 영향으로 연료소모량 감소효과 보다 지체시간 단축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모형은 좌회전포켓 설치가 곤란한 교차로나 좌회전 교통량이 많은 교차로를 포함하여 혼잡이 심한 교차로(critical intersection)등에 적용할 경우 큰 효과가 기대되며, 세가로 등이 교차로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교차로 간격이 큰 도로 등에 적용이 추천된다.

  • PDF

실선 물분사 추진장치 성능시험 및 모형선-실선 상관관계 (Performance Test and Model-Ship Correlation for a Waterjet Propulsion System)

  • 안종우;이창용;박영하;정종안;김병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11-18
    • /
    • 1998
  • 본 논문은 복합지지형 초고속 화물 시험선인 "나래"호에 장착된 물분사 추진장치에 대한 해상성능시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물분사 추진 장치에서 제트 속도, 임펠러에 걸리는 추력 및 토오크 계측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해상성능시험 결과로부터 물분사 추진장치의 성능을 분석하였고, 1996년에 수행된 유사 물분사 추진장치 모형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상성능시험로부터 추정된 유효마력은 모형선 결과와 좋은 일치를 보여준다. 시험선의 최적 부상 높이는 0.75m로 추정되고 물분사 추진장치의 준추진효율은 15노트에서 0.315으로 추정되었다. 본 시험을 통하여 펌프의 성능, 제트 효율, 유입부 덕트와 노즐에서의 손실 등에 관한 유용한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모형시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 PDF

실 해상모형시험을 이용한 선미 보조동체 장착 Stepped hull 선형의 횡동요 및 저항특성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Rolling and Resistance Performance for the Stepped-Hull with attached a Stern-body by using Sea Model-Test)

  • 조효제;손경호;박충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813-818
    • /
    • 2007
  • 선박의 선형시험설비로는 회류수조, 예인수조 등이 있으나, 소형 고속선박은 실선 대응 모형선의 축적비가 대형선에 비해 매우 작고 수조의 유속과 예인전차의 속도제한으로 고속선의 설계선속까지의 성능검증에는 한계로 작용하였다. 이에, 고속 활주형선의 선형시험 검증을 위해 실 해상모형시험기법을 정립하였다. 한편, 고속 Stepped Hull선형은 일체형 활주형 선저선형에 비하여 고속 주행시 공기공급에 따른 접수면 감소로 인하여 저항감소에 따른 속도향상과 연비절감 효과가 있으나, 선미 좌우측의 접수면 감소에 따른 횡동요 안정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속 선형시험이 가능한 해상모형시험을 이용하여 선미 보조동체 장착 유무에 따른 고속 Stepped Hull 선형의 횡동요 및 저항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컨테이너 정기선 선사의 전략적 제휴를 위한 수리적 모형 연구 (Mathematical Model for Liner Shipping Alliance Problem)

  • 정기호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85-95
    • /
    • 2014
  • 동일 항로를 운항하는 해운사들 간의 전략적 제휴는 과당 경쟁을 피하고 운송합리화를 통한 비용 절감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특히 컨테이너 정기선 선사들 간의 전략적 제휴 형태로 가장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는 것이 공동배선을 통한 컨테이너 수송이다. 동일 항로를 운항하는 제휴사들 간에 이와 같이 공동배선을 통해 수송하게 되면 제휴를 맺은 선사들 공히 비용을 줄이고 수익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제휴를 맺고 공동배선을 하는 경우 총 비용을 최소화하는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풀기 위한 해법으로서 엑셀의 최적화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 논문들에서도 동일한 문제를 대상으로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들 모형은 비선형계획법 모형으로서 해법을 적용하여 풀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은 선형계획법 모형으로서, 기존 논문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선형계획법 모형에 비해 개선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비선형계획법 모형을 이용하여 항로별 컨테이너 수송 할당 방법을 찾고자 할 경우 현실적인 문제를 대상으로 풀기가 까다로워 현실 적용가능성 측면에서 상당히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형을 적용하면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모형의 현실 적용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기존 논문에서 사용한 예제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추가기능 프로그램인 Premium Solver Platform을 엑셀 최적화 도구에 연동하여 풀어 본 결과, 자사 선박 및 제휴사 선박에 대한 최적 할당방법을 아주 쉽게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사 단독으로 컨테이너 수송하는 경우의 모형도 제시하여 동일한 문제를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제휴 선사와 공동배선을 하는 경우가 자사 단독으로 컨테이너 수송하는 경우보다는 총비용 측면에서 많은 절감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이용자 중심의 경전철 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 부산~김해경전철과 부산도시철도 4호선(반송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ing the Services for Users of LRT (Light Rail Transit)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 Focus on Busan Gimhae Light Rail Transit and Busan Subway Line 4(Bansong Route) -)

  • 장석용;정헌영;백상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61-272
    • /
    • 2013
  • 경량전철(LRT: Light Rail Transit)은 중량전철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진 효과적인 대중교통수단이다. 따라서 많은 지자체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고, 부산광역시에서는 이미 반송선과 부산김해경전철 등 2개 노선을 국내 최초로 무인운행방식으로 도입하여 운행중에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도입된 경전철과 관련한 이용자 측면의 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경전철의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데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무인자동운전 경량전철(부산김해경전철과 반송선)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량전철에 대한 안전성 의식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만족도를 파악하고, 구조방정식 기법을 활용하여 두 개의 서비스 이용만족도 모형(반송선모형과 부산김해경전철모형)을 구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자 중심의 경전철 서비스 개선대책과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동력추정을 위한 모형선-실선 상관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Ship Correlation Analysis of Powering Performance)

  • 박용제;김은찬;이춘주;임효관;박호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32-41
    • /
    • 1994
  • 선박해양공학연구센터 예인수조에서 시험되었던 선박 가운데 선형과 프로펠러가 모형과 실선이 동일하였던 36척에 대하여 모형선-실선상관해석을 수행하였다. 뚱뚱한 선형이 대부분임에도 불구하고, 타수조의 결과보다 약간 나은 일치를 보였다. 통계적 처리에 의하여 반류비 수정계수와 거칠기 수정계수에 대한 회귀식을 구하였고, Townsin의 거칠기계수를 적용한 경우의 저항수정계수에 대한 식을 도출하였다.

  • PDF

무인쌍동선의 실해역 DP 성능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모형시험 검증 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the dynamic positioning(DP) system and model testing for performance estimation on katamaran type unmanned surface vehicle(USV) at open sea)

  • 송형도;조석규;손남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8-188
    • /
    • 2022
  • 선박의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인 무인 운용체계는 근래에 많은 관심을 받고 연구되어 왔다. 특히 무인수상선과 무인수중체의(USV-AUV)의 복합 운용 분야는 그 동안 어려움이 있었던 심해저 탐사 및 특수 임무 활용에 용이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쌍동선 형태인 무인수상선이 모선이 되고 무인수중체가 결합하여 충전하고 다시 진수하여 원거리 및 심해저 조건에서 무인수중체가 운용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일부인 USV-AUV의 docking을 위한 DP 시스템을 개발하고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학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제작된 무인쌍동선과 추진 시스템을 활용하여 모형시험을 통해 검증한 D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화성 제부도 앞바다에서 실선 D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 해역에서의 DP 시스템 테스트는 정확한 환경 조건의 계측 및 구현이 어려워 모형시험과 같은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지만, 정성적으로 DP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