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터 RPM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5초

근관치료용 무선전기모터인 X-Smart의 전원의 종류에 따른 RPM 변화의 평가 (The Evaluation of RPM Change in X-Smart According to Power Source: Endodontic Wireless Electronic Motor)

  • 박세희;정동빈;조경모;김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1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관치료용 무선전기모터인 X-Smart의 지속적인 사용 시, 배터리전원과 AC 어댑터 전원일 때의 RPM의 유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X-Smart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신품 5대를 사용하였다. 본체에 연결한 핸드피스를 바이스에 고정하고, RPM의 측정을 위한 반사지를 붙인 Disk를 장착하였다. 비접촉식 RPM측정기인 TM-5000을 사용하여 RPM을 측정하였다. 배터리 전원시의 RPM과 AC 어댑터 전원시의 RPM을 5분마다 180분에 걸쳐 측정하였고 각 전기모터마다 3회씩 반복하였다. $SPSS^{TM}$ 14.0을 이용하여 2요인 반복측정분석을 통해 각 전원별 전기모터에 따른 RPM 변화량과 전원의 종류에 따른 RPM 변화량의 상관관계를 95% 유의 수준에서 비교하였다. 전원의 종류와 관계없이 같은 전원에서 각 기기별 RPM 변화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원의 종류에 따른 RPM 변화량의 차이는 90분 이후의 측정치에서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것이 관찰되어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배터리 전원의 무선전기모터로서의 X-Smart를 180분 이내로 연속사용 한다면, 신뢰성 있는 RPM 유지를 얻어 안전한 임상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Fuzzy Logic Control를 이용한 BLDC 모터의 전압 제어 속도 제어기 (Voltage Controlled Speed Controller of BLDC Motor Using Fuzzy Logic Control)

  • 박준호;한상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481-486
    • /
    • 2018
  • DC 모터는 브러시 구조가 있는 DC 모터와 브러시 구조가 없는 BLDC(Brushless DC) 모터로 분류된다. BLDC 모터는 DC 모터의 브러시가 없이 정류를 전자적으로 수행하는 모터로 BLDC 모터의 속도제어를 대표하는 것은 PI 제어이다. PI 제어기를 이용한 속도제어는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응답 특성이 느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상 상태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짧고 비선형 제어에도 쉽게 제어가 가능한 FLC(Fuzzy Logic Controller)를 이용해 전압을 가감하는 방식의 전압 제어 속도 제어기 제안하였다. 제시한 퍼지 속도 제어기의 타당성과 유용성은 MATLAB 프로그램의 Simulink를 통해 모의실험으로 입증하였다. 모의실험은 기준 속도를 500rpm, 800rpm, 1500rpm의 3가지 경우로 각각 PI 제어기와 제안한 퍼지 속도 제어기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퍼지 속도 제어기가 30% 정도 개선된 정상 상태 속도 응답 특성을 보이며 PI 제어기에 비해서 빠른 속도 응답 특성을 갖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홀 이펙트 센서를 이용한 유성기어 감속기모터의 동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Mechanical Power Monitoring System for Planetary Reduction Motor using Hall Effect Sensor)

  • 장인훈;오세훈;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4권 제2호
    • /
    • pp.201-204
    • /
    • 2004
  • 감속기가 사용되어지는 경우 부하의 변동이나 구동부의 상태변화에 따라 모터의 토크, 회전수 등이 변하는데 이러한 값들을 모니터링 하면 부하의 변동이나 구동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유성기어를 이용한 기어드 모터를 제작하고, LCD를 포함하는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 Torque, 전달회전수(rpm), 전달동력을 확인할 수 있는 소형의 표시기가 있는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달 토크를 측정하는 장비는 크기가 크고 고가이며 계측기를 연결하고 측정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성기어를 사용하면 간단히 모터의 토크 및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기를 모터에 부착할 수 있다. 측정 및 표시기는 기존 가격에 비해 매우 값싸게 제작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필요 없으며 검출 값을 시스템 제어부에 피드백 시키면 자기진단이 가능해진다. 특히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기능을 부과하면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복수 모터유닛의 네트워크 구성이 용이하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통신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다.

  • PDF

기중기에 사용된 모터의 회전수 측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device to measure the speed of motor used in a crane)

  • 김강철;한석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374-37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기중기에 사용된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정치를 설계하였다. 이 장치는 로타리엔코더, 회전수를 계산하는 속도 측정부, LCD 표시부 및 모터의 방향판별회로로 구성된다. 모터의 회전수측정 장치는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RPM으로 표시하고, 모터가 6° 회전 후에 모터의 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가 제한속도를 벗어나면 위험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와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오이 로봇 수확용 엔드이펙터 개발 (Development of an End-Effector for Cucumber Robotic Harvester)

  • 민병로;문정환;이대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3-67
    • /
    • 2003
  • 본 실험은 오이수확기의 메니퓰레이터에 장착하는 엔드이펙터를 생각한 것이다. 모터는 DC모터로 기어를 이용하여 작동되며, 동력전달에 있어 균형적인 배분을 이루었고, 따라서 부드러운 작동이 가능하였다. 또한 축을 이용한 베벨기어의 동력 전달로 모터에서 나온 회전력을 기어로 확실히 전달하였고, 결과적으로 오이 과병 절단 rpm에 있어서는 정확한 측정이 가능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터는 칼날을 회전시키는데 있어 제어가 쉽고, 정확한 동력전달로서의 베벨기어는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제시했다. 2.실험에서의 반복적인 오이 절단작업에 제시된 결과는, 모든 작물에 적용될 수는 없지만, 오이 과병의 절단은 적정 rpm라 각도를 구하여 기계적 최적상황을 찾았다. 수평에서 위로 30$^{\circ}$각도와 198 rpm에서 효율 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 졌다. 3. 엔드이펙터의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고장 없이 제작되어야 하고 또한 경량이며 수분에 부식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1.2kW 급 BLDC 모터의 열 발산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eat Dissipation Measuring System for 1.2-kW BLDC Motor)

  • 이인준;예정우;이대훈;황평;심재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1호
    • /
    • pp.1423-1428
    • /
    • 2013
  • 본 논문은 1.2kW 급 BLDC 모터의 분석을 위하여 열 발산 측정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온도증가는 모터절연체의 문제를 일으켜 모터 수명과 연결되므로 모터의 온도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실험에서 모터의 부하를 설정하기 위해 자동차용 제너레이터를 장착하였고, 부하의 변경을 위해 165W~495W를 변화를 주었다. 다양한 부하조건하에 분당 모터 회전 수를 2000~4000 까지 변경하면서 모터 각 부분에 열전대로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자연대류조건하에서는 모터의 회전 수 및 부하가 증가할수록 온도는 수렴하지 않으며 모터코일의 온도가 최고 $120^{\circ}C$ 이상까지 증가하였으나, 강제 대류조건하에서는 4000s 이상에서 $84^{\circ}C$에 수렴하였다. 모터의 최대/최소 온도 차이는 회전 수 및 부하가 증가할수록 최소 $10^{\circ}C{\sim}26^{\circ}C$의 차이를 보였다. 온도의 분포는 모터코일(1 번채널), 모터외부옆면(5 번채널), 모터내부 캡(2 번채널), 모터외부상부(4 번채널), 모터내부벽면(3 번채널)순으로 나타났다.

핸드피스용 BLDC 모터 속도 제어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Brushless DC Motor Speed Control System for Handpieces)

  • 곽성우;양정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97-60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미용 목적의 핸드피스에 사용가능한 BLDC 모터의 속도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저비용 개발을 위해 모터 내부의 홀 센서 값을 속도 제어에 이용하였다. 모터 전원 회로와 드라이버 회로는 가정용 220V 전원을 입력으로 사용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별도의 다른 전원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핸드피스 작업 시 발생하는 부하 변동에 따른 급속한 속도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과속 방지 제어기를 탑재하였다. 개발된 제어 시스템은 5,000~30,000 RPM 구간에서 운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핸드피스 모듈에서 부하 변동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터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실험으로 입증한다.

차세대 전기 항공기를 위한 HTS 모터의 개념 설계 (Conceptual Design of an HTS Motor for Future Electric Aircraft)

  • 레딘브엉;남기동;이석주;박민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49-57
    • /
    • 2020
  • 기존의 전기 모터는 큰 중량과 부피의 단점으로 항공기 적용에 적합하지 않다. 고온 초전도 (High-Temperature Superconducting: HTS) 모터는 전류 밀도와 자기장 밀도가 높으며 손실이 적어 일반 전기모터와 비교하여 크기와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은 미래 항공기 전기 추진용 HTS 모터의 개념 설계 및 해석 결과를 제시한다. 회전속도가 7,200 RPM인 2.5 MW 용량의 HTS 모터를 설계하고 무게 대비 출력 비(kW/kg)를 분석하였다. HTS 모터 계자코일 (Field Coil)의 운전온도는 LH2 (Liquid Hydrogen) 냉각을 고려하여 20K을 선정하였다. 고정자 권선 (Stator Winding)은 다상 구성 (Multi-Phase Configuration)으로 연결하였고 와전류 (Eddy Current)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Litz 선을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모터의 무게 대비 출력 비는 약 18.67 kW/kg으로 기존 모터보다 훨씬 높음을 확인하였다.

고속 모터용 연자체의 밀도와 자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 (A density and magnetic characteries of the soft magnetic composite core for high speed motor)

  • 차현록;윤철호;정태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801-802
    • /
    • 2006
  • 본 논문은 기존의 전기강판 재질을 이용한 모터가 아닌 SMC 재질을 이용한 모터 성형 시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점이 모터의 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하였다. 기존의 전기 강판 재질 모터에서 밀도는 전 영역에서 고른 분포를 갖는 반면에, SMC를 이용한 모터는 위치와 형상에 따라 다른 밀도와 응력 분포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MC 재질을 이용한 모터의 특성이 전기적 에너지 변환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 하기위해, 고속모터(30000rpm)급 모터에서 silicon steel 재질 모터와 SMC 재질모터를 비교 하였다. 비교결과 SMC 재질 모터의 경우 밀도 편차가 5.8%이상 발생되었으며 이는 전기적 특성에 10%이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속모터의 경우 자속 포화가 심해 일정하게 높은 밑도 특성이 요구 되는 것으로 파악 되었으며, 향후 이 방법은 SMC 재질을 이용한 모터 설계에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