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접착포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물성의 변화(제1보)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Ory Cleaning(Part I))

  • Jee, Ju-Won;Lee, Dae-Ho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809-18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처리 후 프레스로 처리한 실제의 의복의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직물 변화에 대하여 물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물성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접착 후 EM은 대체로 감소하지만 강성과 이력 현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로 KOSHI, SHARI, HARI는 증가하고 THV는 감소하여 태는 접착으로 저하되었다. 2)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마찰특성에서 좀더 매끄러워지고 마찰 계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물성의 변화에서는 위사 방향의 큰 값을 갖는 경우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굽힘 강성과 전단강성은 감소하였지만 이력은 증가하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인다. 드라이클리닝 용제의 효과로 여겨진다. 무게는 증가하여 직물이 처리 후 수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싱 처리 후와 비교시 KOSHI, SHARI, HARI와 FURAMl는 감소하고 THV는 증가하여 태가 향상하였다.

  • PDF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 (Changes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Total Appearance Value (TAV)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Dry Cleaning)

  • Jee, Ju-W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359-136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의복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및 프레스로 처리 후 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 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FAST시스템과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직물의 형태안정성에서 주요인자인 습윤팽창(HE)은 접착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보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모직물의 습윤팽창(HE)의 조절시 접착심이 습윤팽창(HE)의 안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완화수축(RS)은 접착 후 조금 감소하였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프레싱 처리 후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직물이 수축하고 볼륨감이 생김으로 완화수축(RS)은 더욱 감소하였다. 모직물의 완화수축(RS)의 조절시 프레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직물의 의복형성능(TAV)은 접착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 직물이 좀더 부드러워지고 볼륨감이 생기면서 의복형성능(TAV)은 적게 향상됨을 보인다. 이와 같이 3가지 처리는 서로 보완되어 모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착포의 형태 보형성(shape retention)과 TAV(Total Appearance Value)의 변화 (Changes of Shape retention and Total Appearance Value(TAV) After Fusing)

  • 지주원;유효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15-102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se the bending property of the fused fabric and each component of the fused fabrics. 2) to examine the effect of fusing temperature on the bending property of the fused interlining and fused fabrics. 3) to examine the changes of B/W, 2HB/W and TAV of the fused fabr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face fabric, interlining, fusing temperature. Five types of wool fabric, four types of shingosen fabric and four types of interlining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using condition in this study were the three types of fusing temperature of 10$0^{\circ}C$, 12$0^{\circ}C$, 14$0^{\circ}C$, the pressure of 4 kgㆍf/$cm^2$, and pressing time of 12 second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ending rigidities and hysteresis of fabrics after fusing were increased. The bending behavior of fused fabrics were governed by the bending behavior of face fabric and interlinings and $\alpha$$_{B}$ values. 2) The KES standardized basic values of B/W and 2HB/W were increased after fusing. The B/Ws of fused fabrics were mainly determined by the $\alpha$$_{B}$ values of interlinings. The 2HB/Ws of fused fabrics seemed to be controlled by the fusing temperature. 3) The changes of TAVs of wool fused fabrics differed from those of shingosen fused fabrics. As the $\alpha$$_{B}$ values of fabric were larger and fusing temperature were increased, the TAVs of wool fused fabrics were smaller though those of shingosen fused fabrics were larger. 4) The TAVs of fused fabri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B/Ws of fused fabrics. In the case of wool fused fabrics, the TAVs of fused fabrics were negativly correlated with the 2HB/Ws of wool fabrics and used interlinings.nings.

  • PDF

필라멘트사용 PVA 호제의 유변학적거동 (Rheological Behavior of PVA Sizing Agents for Filament Yarn)

  • 장갑식;박정우;안승국;송기원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9-461
    • /
    • 2001
  • 호부(sizing)의 목적은 제직시 발생하는 마찰, 긴장 등으로부터 경사를 보호하는데 있다. 방적사의 경우에는 제직시에 직기와의 접촉부위에서 받는 마찰로 인해 모우가 발생하고 이들은 다시 종광에 달라붙어 엉키거나 이웃한 실과 엉키어 경사절을 발생시키므로 제직효율 및 최종직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때 사용되는 호제는 경사를 구성하는 섬유를 접착하여 포합성을 증가시키고 실 외부를 피복해서 모우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중략)

  • PDF

단위포장 방법에 따른 유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 (Effects of Item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during Storage)

  • 장민준;이근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8-165
    • /
    • 2013
  • 국내 한과 업체들에서 생산하는 대용량포장제품은 포장개봉 후 장기보관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최근 일부 업체를 중심으로 단위 소포장 방법을 적용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과 업체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단위 소포장 재질과 형태를 적용하여 실온 저장 중 품질변화와 저장성 차이를 비교하여 최적의 포장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유과시료들은 비포장구(C), 접착식 OPP 필름포장구(P1), 열봉함 OPP 필름포장구(P2)와 PS tray 포장구(P3)로 나누어 포장된 후 최대 8주까지 약 $25^{\circ}C$/상대습도 25% 내외의 조건으로 저장되었다. 저장 말기까지 모든 시료의 산가는 기준치인 2.0 mg KOH/g을 초과하지 않았다. P2 포장구에서는 저장 8주 동안 수분함량의 감소 폭이 가장 작았으며 저장 8주차까지 관능평가의 모든 항목에서 상품한계선인 5.0점 이상을 유지하여 조사된 시료들 중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산가, 경도와 수분함량 등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낱개 포장된 유과는 $25^{\circ}C$ 인큐베이터에서 최소 8주 이상의 저장한계를 가질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유과는 여러 물리화학적 품질지표 중 수분감소 및 감량에 의한 경도 상실로 인하여 상품성과 저장성이 제한되므로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우수한 수증기 차단성 포장재와 포장방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밀봉식 접착필름과 tray를 이용한 포장방법은 밀봉필름을 이용한 포장방법과 비교하여 작업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작업 시 포장재의 수증기차단성 및 접착 정도가 유과 제품의 저장 중 품질변화 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MDF 섬유(纖維)의 표면(表面) 형태(形態)와 접착제(接着劑)의 분포(分布) 관찰(觀察) (Micromorphological Features of MDF Fiber Surface and Adhesives Distribution in MDF)

  • 김재우;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2호
    • /
    • pp.61-70
    • /
    • 1996
  • 침엽수재(針葉樹材)(Radiata pine, Pinus radiata)MDF와 활엽수재(闊葉樹材)(Rubber wood, Hevea brasiliensis)MDF 각 1종을 대상으로 MDF를 제조하기 전 원료(原料) 섬유(纖維)의 미세(微細) 구조(構造) 및 내부결합력 시험 후 MDF의 파괴면(破壞面)에서 섬유표면(纖維表面)에 접착제(接着劑)가 도포(塗布)된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다. 원료 섬유는 침(針) 활엽수재(闊葉樹材) 모두 fiber twisting 및 shrinkage fold 등이 관찰되었다. 침엽수재(針葉樹材)의 경우는 유연벽공부(有緣壁孔部)에서 유연벽공(有緣壁孔)이 없는 부분에 비하여 shrinkage fold의 발생 빈도가 낮고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가도관(假導管) 중 벽공이 없는 부분에서 관찰되었다. 활엽수재(闊葉樹材) 목섬유(木纖維)는 침엽수재(針葉樹材)와 마찬가지로 shrinkage fold가 관찰되었으나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활엽수(闊葉樹) 섬유(纖維)에서는 벽공의 유무에 따른 shrinkage fold의 차이(差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목섬유(木纖維)가 침엽수(針葉樹) 가도관(假導管)보다 작은 단벽공(單壁孔)을 갖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방사유세포(放射柔細胞)와 가도관(假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박리(剝離) 부분(部分)에는 융기부(隆起部)가 관찰되었다. 내부결합력 시험후 나타난 파괴면을 통하여 접착제 분포를 관찰한 결과 거의 모든 섬유(纖維)들이 접착제(接着劑)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섬유(纖維)간 접착형태(接着形態)도 매우 다양하였다.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간에 강도(强度)의 차이는 있었지만 파괴(破壞) 형태(形態)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침활엽수(針闊葉樹) 모두 접착층(接着層)이 아닌 섬유(纖維)에서 파괴(破壞)가 발생하였으며 섬유에서 박리(剝離)된, 세포벽(細胞壁)의 일부가 다른 섬유(纖維)의 표면(表面)에 남아있는 형태와 섬유(纖維) 표면(表面)에서 떨어져 나간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구성이 단순한 침엽수(針葉樹) MDF에 비하여 유세포(柔細胞)와 도관(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파편들이 활엽수(闊葉樹) MDF에서는 다양(多樣)하게 분포하였다.

  • PDF

성숙한 난소의 난포 발달이 진행되는 동안 폐쇄난포에서의 Ganglioside GM3의 서로 다른 분포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Ganglioside GM3 in Atre tic Follicles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of Adult Rat Ovary)

  • 추영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10-418
    • /
    • 1996
  • Gangiloside는 포유동물세포에 편재하는 막성분으로서, 이들은 세포상호간의 접착, 분화 및 정보전달과정에 과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Rat난소는 주요한 Gangiloside로서 GM3를 함유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폐쇄난포에서 이들의 분포여부와 난포의 발달 과정에서의 변화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Rat 난소의 동결절편을 이용해 GM3를 포함 11종류의 Gangilo-series Gangiloside에 대해 특이한 단일항체로서 염색시켰다. 폐쇄난포들에서 GM3는 난포발달이 진행되는 동안 시간적, 공간적으로 서로 다른 양식으로 발현하였다. 그러나 GM1을 포함한 다른 종류의 Gangiloside들은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일차난포에서 관찰되는 폐쇄난포들에서 GM3는 모든 교막세포와 난자에 인접한 과립막세포의 일부에서 발현하였다. 이차난포의 시기에서 이들 폐쇄난포의 GM3는 모든 교막세포와 과립막세포들에서 발현하였다. 이어서 발달하고 있는 그라프난포의 시기에서 관찰되는 폐쇄난포의 GM3발현은 이차난포에서의 분포패턴과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 PDF

니켈-크롬 합금에 대한 다용도 접착 시스템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Universal bonding systems to Ni-Cr alloy)

  • 송소연;손병화;김종엽;신상완;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95-300
    • /
    • 2015
  • 목적: 레진과 니켈-크롬 합금의 결합력에 미치는 금속 프라이머 및 다용도 접착제의 영향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실험을 위해 120개의 니켈-크롬 합금(Vera Bond 2V) 디스크를 제작하여 아크릴 레진 실린더에 포매하였다. 시편의 표면은 220 grit, 600 grit의 실리콘 카바이드지로 연마한 뒤 $50{\mu}m$의 알루미늄옥사이드 입자를 분사하여 처리하였다. 실험군은 메탈 프라이머의 적용(Metal primer II, Alloy primer, Metal & Zirconia primer, MKZ primer)과 다용도 접착 시스템(Single Bond Universal, All Bond Universal)에 따라 6개 군으로 나뉘었다. 각 시편의 중앙에 높이 2 mm, 직경 3 mm로 복합레진을 충전하였으며, 제작된 모든 시편은 $37^{\circ}C$ 증류수에서 24시간 보관하였다. 만능시험기에 시편을 위치시킨 후 1 mm/min cross head speed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0.05의 유의수준으로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고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결과: Single Bond Universal, All Bond Universal, Metal Primer II 3개 군과 Alloy Primer, MKZ Primer, Metal & Zirconia Primer 3개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 니켈-크롬 합금에 대한 다용도 접착 시스템의 전단결합강도는 Metal Primer II를 제외한 기존의 금속 프라이머를 적용했을 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더 나아가 다용도 접착 시스템 내 실란(Silane) 포함 여부에 따른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