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접착포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Ory Cleaning(Part I)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물성의 변화(제1보))

  • Jee, Ju-Won;Lee, D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809-18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처리 후 프레스로 처리한 실제의 의복의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직물 변화에 대하여 물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물성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접착 후 EM은 대체로 감소하지만 강성과 이력 현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로 KOSHI, SHARI, HARI는 증가하고 THV는 감소하여 태는 접착으로 저하되었다. 2)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마찰특성에서 좀더 매끄러워지고 마찰 계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물성의 변화에서는 위사 방향의 큰 값을 갖는 경우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굽힘 강성과 전단강성은 감소하였지만 이력은 증가하는 흥미로운 결과를 보인다. 드라이클리닝 용제의 효과로 여겨진다. 무게는 증가하여 직물이 처리 후 수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싱 처리 후와 비교시 KOSHI, SHARI, HARI와 FURAMl는 감소하고 THV는 증가하여 태가 향상하였다.

  • PDF

Changes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Total Appearance Value (TAV) of Wool-blended Fused Fabrics after Pressing and/or Dry Cleaning (모 접착포의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 처리에 의한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

  • Jee, Ju-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359-136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의복 관리와 생산 면에서 접할 수 있는 모 직물의 접착심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클리닝 및 프레스로 처리 후 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겉감으로는 신사복 춘하용 모 100% 또는 모 혼방 직물 15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심지로는 신사복에 많이 쓰이는 3종류 심지를 사용하였다. FAST시스템과 KES시스템을 이용하여 직물의 접착 후, 프레싱 처리 후,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의 변화를 시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직물의 형태안정성에서 주요인자인 습윤팽창(HE)은 접착으로 크게 감소하였고 프레싱 처리와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접착 후보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모직물의 습윤팽창(HE)의 조절시 접착심이 습윤팽창(HE)의 안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완화수축(RS)은 접착 후 조금 감소하였으나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프레싱 처리 후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는 직물이 수축하고 볼륨감이 생김으로 완화수축(RS)은 더욱 감소하였다. 모직물의 완화수축(RS)의 조절시 프레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직물의 의복형성능(TAV)은 접착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드라이크리닝과 프레싱 처리 후 직물이 좀더 부드러워지고 볼륨감이 생기면서 의복형성능(TAV)은 적게 향상됨을 보인다. 이와 같이 3가지 처리는 서로 보완되어 모직물의 형태안정성과 의복형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of Shape retention and Total Appearance Value(TAV) After Fusing (접착포의 형태 보형성(shape retention)과 TAV(Total Appearance Value)의 변화)

  • 지주원;유효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7
    • /
    • pp.1015-102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analyse the bending property of the fused fabric and each component of the fused fabrics. 2) to examine the effect of fusing temperature on the bending property of the fused interlining and fused fabrics. 3) to examine the changes of B/W, 2HB/W and TAV of the fused fabr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face fabric, interlining, fusing temperature. Five types of wool fabric, four types of shingosen fabric and four types of interlining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using condition in this study were the three types of fusing temperature of 10$0^{\circ}C$, 12$0^{\circ}C$, 14$0^{\circ}C$, the pressure of 4 kgㆍf/$cm^2$, and pressing time of 12 second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ending rigidities and hysteresis of fabrics after fusing were increased. The bending behavior of fused fabrics were governed by the bending behavior of face fabric and interlinings and $\alpha$$_{B}$ values. 2) The KES standardized basic values of B/W and 2HB/W were increased after fusing. The B/Ws of fused fabrics were mainly determined by the $\alpha$$_{B}$ values of interlinings. The 2HB/Ws of fused fabrics seemed to be controlled by the fusing temperature. 3) The changes of TAVs of wool fused fabrics differed from those of shingosen fused fabrics. As the $\alpha$$_{B}$ values of fabric were larger and fusing temperature were increased, the TAVs of wool fused fabrics were smaller though those of shingosen fused fabrics were larger. 4) The TAVs of fused fabri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B/Ws of fused fabrics. In the case of wool fused fabrics, the TAVs of fused fabrics were negativly correlated with the 2HB/Ws of wool fabrics and used interlinings.nings.

  • PDF

Rheological Behavior of PVA Sizing Agents for Filament Yarn (필라멘트사용 PVA 호제의 유변학적거동)

  • 장갑식;박정우;안승국;송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59-461
    • /
    • 2001
  • 호부(sizing)의 목적은 제직시 발생하는 마찰, 긴장 등으로부터 경사를 보호하는데 있다. 방적사의 경우에는 제직시에 직기와의 접촉부위에서 받는 마찰로 인해 모우가 발생하고 이들은 다시 종광에 달라붙어 엉키거나 이웃한 실과 엉키어 경사절을 발생시키므로 제직효율 및 최종직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때 사용되는 호제는 경사를 구성하는 섬유를 접착하여 포합성을 증가시키고 실 외부를 피복해서 모우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중략)

  • PDF

Effects of Item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during Storage (단위포장 방법에 따른 유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

  • Jang, Min Jun;Lee, Keun Taik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0 no.2
    • /
    • pp.158-165
    • /
    • 2013
  •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quality changes of Yukwa during storage using the various item packaging methods present in the domestic market. The samples consisted of a self-adhesive-oriented polypropylene (OPP) film pouch (P1), a heat-sealed OPP film pouch (P2), and a polystyrene (PS) tray with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id (P3). These were stored at $25^{\circ}C$ up to eight week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e acid values of all the study samples remained under the Korean hygiene regulation limit of 2.0 mg KOH/g. The P2 samples showed both the slowest decrease in water content and the slowest increase in hardness value during storage. Sensory evaluation also showed that the P2 samples were the only ones that maintained their market value of 5.0 throughout the eight-week assessment period.

Micromorphological Features of MDF Fiber Surface and Adhesives Distribution in MDF (MDF 섬유(纖維)의 표면(表面) 형태(形態)와 접착제(接着劑)의 분포(分布) 관찰(觀察))

  • Kim, Jae-Woo;Park,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2
    • /
    • pp.61-70
    • /
    • 1996
  • 침엽수재(針葉樹材)(Radiata pine, Pinus radiata)MDF와 활엽수재(闊葉樹材)(Rubber wood, Hevea brasiliensis)MDF 각 1종을 대상으로 MDF를 제조하기 전 원료(原料) 섬유(纖維)의 미세(微細) 구조(構造) 및 내부결합력 시험 후 MDF의 파괴면(破壞面)에서 섬유표면(纖維表面)에 접착제(接着劑)가 도포(塗布)된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였다. 원료 섬유는 침(針) 활엽수재(闊葉樹材) 모두 fiber twisting 및 shrinkage fold 등이 관찰되었다. 침엽수재(針葉樹材)의 경우는 유연벽공부(有緣壁孔部)에서 유연벽공(有緣壁孔)이 없는 부분에 비하여 shrinkage fold의 발생 빈도가 낮고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가도관(假導管) 중 벽공이 없는 부분에서 관찰되었다. 활엽수재(闊葉樹材) 목섬유(木纖維)는 침엽수재(針葉樹材)와 마찬가지로 shrinkage fold가 관찰되었으나 표면(表面) 박리(剝離)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활엽수(闊葉樹) 섬유(纖維)에서는 벽공의 유무에 따른 shrinkage fold의 차이(差異)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목섬유(木纖維)가 침엽수(針葉樹) 가도관(假導管)보다 작은 단벽공(單壁孔)을 갖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 방사유세포(放射柔細胞)와 가도관(假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박리(剝離) 부분(部分)에는 융기부(隆起部)가 관찰되었다. 내부결합력 시험후 나타난 파괴면을 통하여 접착제 분포를 관찰한 결과 거의 모든 섬유(纖維)들이 접착제(接着劑)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섬유(纖維)간 접착형태(接着形態)도 매우 다양하였다.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간에 강도(强度)의 차이는 있었지만 파괴(破壞) 형태(形態)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침활엽수(針闊葉樹) 모두 접착층(接着層)이 아닌 섬유(纖維)에서 파괴(破壞)가 발생하였으며 섬유에서 박리(剝離)된, 세포벽(細胞壁)의 일부가 다른 섬유(纖維)의 표면(表面)에 남아있는 형태와 섬유(纖維) 표면(表面)에서 떨어져 나간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구성이 단순한 침엽수(針葉樹) MDF에 비하여 유세포(柔細胞)와 도관(導管) 및 목섬유(木纖維)의 파편들이 활엽수(闊葉樹) MDF에서는 다양(多樣)하게 분포하였다.

  • PDF

The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Ganglioside GM3 in Atre tic Follicles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of Adult Rat Ovary (성숙한 난소의 난포 발달이 진행되는 동안 폐쇄난포에서의 Ganglioside GM3의 서로 다른 분포)

  • 추영국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9 no.4
    • /
    • pp.410-418
    • /
    • 1996
  • Gangilosides are ubiquitous membrane components in mammalian cells and are suggested to play essential roles in cellular phenomena such as cell-cell interadion, differentiation, and signal transduction. Rat ovary contained GM3 as major gangiloside. Nn order to study GM3 distribution in the atretic follicles and its possible changes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frozen sections were stained with spedfic monocional antibodies against eleven gangilo-series gangliosides including GM3. In the atretic follicles, Glf3 was expressed in a spatlo-temporally different manner during foilicular development, but GM1 and other gangliosides were not immunohistochemicaily detected. in atretic follicle from primary follicle stage, GM3 was expressed in all the theca cells and some granulosa cells adjacent to oocyte. In atretic follicle from secondary follicle stage, GM3 were expressed in all theca cells and granulosa cells. in atretic follicles from developing Graaflan follicle stages, GM3 was similarly expressed as in secondary follicle stage.

  • PDF

Shear bond strength of Universal bonding systems to Ni-Cr alloy (니켈-크롬 합금에 대한 다용도 접착 시스템의 전단결합강도)

  • Song, So-Yeon;Son, Byung-Wha;Kim, Jong-Yeob;Shin, Sang-Wan;Lee, Jeong-Yol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3 no.4
    • /
    • pp.295-300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Ni-Cr alloy and composite resin using universal adhesive system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using metal primer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120 cast commercial Ni-Cr alloy (Vera Bond 2V) disks were embedded in acrylic resin, and their surfaces were smoothed with silicon carbide papers and airborne-particle abrasion. Specimens of each metal were divided into 6 group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metal primers (Metal primer II, Alloy primer, Metal & Zirconia primer, MKZ primer) and universal adhesive systems (Single Bond Universal, All Bond Universal).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37^{\circ}C$ for 24 hours. Shear bond strength testing was perform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 head speed of 1 m/min. Data (MP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he post hoc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 (${\alpha}$=.0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ingle Bond Universal, All Bond Universal, Metal Primer II and Alloy Primer, MKZ Primer, Metal & Zirconia Primer (P<.001). Conclusion: Universal Adhesive system groups indicated high shear bond strength value bonded to Ni-Cr alloy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 groups using primers except Metal Primer II.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mprovement of universal adhesive systems which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restorations is recommended especially non-precious metal alloy. Mo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ilane inclusion or exclusion in universal adhesiv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