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자상호작용시 어머니의 행동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어머니를 위한 상담활용 부모교육(CUPEM)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Utilized Parent Education for Mothers(CUPEM))

  • 김진이;정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53-6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Utilized Parent Education for Mothers (CUPEM). CUPEM was developed bas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Solution-Focused Therapy, Satir's Experiential Family Therapy,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he subjects were 51 mothers of 4 and 5 year old children and randomly assigned either to the intervention group (n=26) or the comparison group (n=25).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d 10-2 hour intervention sessions while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the intervention after this study was completed. Both groups received pre-and post-test evaluation, and a follow-up 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ing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lessened while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nd positive maternal behaviors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se mothers' self-confidence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aring were improved. Third, this effect lasted for at least one month after the termination of this program.

어머니로의 역할 전환 지원을 위한 음악중재 프로그램 사례연구 (Case Study of Music Intervention for Supporting Maternal Transition)

  • 김수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1호
    • /
    • pp.61-77
    • /
    • 2010
  • 본 연구는 모성전환 지원의 일환으로 노래 부르기를 격려하기 위해 가정을 방문하여 음악중재 프로그램을 교육한 후 2주간 아이에게 노래 부르기를 실시한 어머니들의 경험과 의견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2개월에서 11개월 사이의 건강한 아이를 둔 어머니들 중 참여를 원하는 어머니들을 선정하여 어머니 유아에게 노래 부르기에 대한 교육적인 정보와 함께 노래 부르기를 쉽게 하실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을 제공 한 뒤 2주 동안 스스로 모자 상호작용 시 노래를 불렀을 때 느낀 경험과 의견 등을 종합하기 위한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구조적, 비구조적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매일 아이에게 노래를 부르면서 경험한 것과 실제 노래 부르기가 어떤 도움을 주었는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네 명의 어머니 모두 긍정적인 경험과 노래 부르기를 통한 양육활동 및 부부관계의 도움을 보고하였으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모성 전환 시 도움이 필요한 여러 대상군의 어머니들에게로의 적용 가능성이 발견되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한 효과성 검증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