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유량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6초

양송이 마이코곤 병균(病菌)(Mycogone perniciosa Magn.)의 생장(生長)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 (Some Factors Affecting Growth of Mycogone perniciosa Magn. Causing Wet Bubble in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 한용식;김동수;전병성;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
    • /
    • 1974
  • 양송이[Agaricus bisporus(Lange)Sing]에 마이코곤병(病)을 일으키는 Macogone perniciosa Magn.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환경적(環境的) 요인(要因)의 영향(影響)을 본병(本病)의 방제(防除)와 관련(關聯)하여 시험(試驗)하였던 바 본(本) 병원균(病原菌)은 1. 차펙스배양기(培養基)에 수종(數種)의 미량원소(微量元素)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된 기본배양기(基本培養基)에서 탄소원(炭素源), 질소원(窒素源), K,P,Mg 및 중금속원소(重金屬元素)를 각각 결여시켜서 균사생장(菌絲生長)및 포자형성(胞子形成)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탄소원(炭素源)혹은 질소원(窒素源)이 결여(缺如)된 배양기상(培養基上)에서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거의 미미(微微)하였으며 포자형성(胞子形成)도 현저(顯著)히 줄었고 후막포자(厚膜胞子)의 크기도 비교적(比較的) 작았다. Mg,K,P 등 무기원소(無機元素)가 결여(?如)되었을 때에도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저조(低調)하였다. 2. 감자한천배양기(寒天培養基)와 맥아추출액체배양기(麥芽抽出液體培養基)에서 생육최적온도(生育最適溫度)는 $25^{\circ}C$이었으며 $10^{\circ}C$$35^{\circ}C$에서는 생육(生育)되지 않았다. 3. pH $3{\sim}4$의 강산성(强酸性)의 배양기(培養基)에서는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한 반면(反面)에 중성(中性)및 약산성(弱酸性)에서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였고 생육최적산도(生育最適酸度)는 pH 7이었다. 4. 토양시료중(土壤試料中)에서 생육(生育)되었을 때 $50^{\circ}C$의 수조상(水槽上)에서 20분간 열처리(熱處理)함으로써 완전(完全)히 사멸(死滅)되었다.根圈周圍)에 다수분포(多數分布)하였다.저장성에 있어서는 보통 밀쌀과 같이 큰 문제점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 환원유(還元乳)를 일정(一定)한 조건(條件)에서 한국 영양권장량과 비교(比較)했을 때, 모든 영양소(營養素)를 충분(充分)히 공급(供給)할 수 있었는데 나이아신 만이 권장량에 미달하였다. 또한 분유(粉乳) C에서 철분이 약간 미달했고, 비타민A는 1일(日) 권장량에 6배(倍)나 되어 앞으로 재검토(再檢討)를 요(要)하는 문제라 하겠다. 4.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분유간(粉乳間)에 다수 차계(差界)를 보였으며, 필수(必須)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이 우유에 가까웠던 점(點)으로 보아 아미노산 조절(調節)은 없었는듯 하였다. 발효유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우유와 거의 같았다. 5.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은 전체(全體) 포화지방산대(飽和脂肪酸對)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의 비(比)가 3종(種)의 분유간(粉乳間)에 비슷하였고, 특히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조성(組成)이 모유(母乳)와 유사(類似)하거나 높아 이들 지방산(脂肪酸)이 첨가(添加)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여러 결과(結果)들을 종합(綜合)할 때 3종(種)의 분유간(粉乳間) 영양효과(營養效果)는 비슷하고, 조제분유(調製粉乳)의 일반조성(一般組成), 무기질(無機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있어서 모유(母乳)에 상당히 접근(接近)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한편 철분, 비타민 등(等)의 강화(强化)로서 단일식품(單一食品)으로서의 효용성(效用性)을 높인 것은 사실이나, 일부 영양소(營養素)의 지나친 강화(强化)문제는 좀더 신중히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성(構成) polyol은 glycerol뿐이 었으며 세포외(細胞外) 지질(脂質)의 구성(構成) polyol은 glycerol,

  • PDF

만기분만과 조산 및 임신성 고혈압 산모의 초유내 무기질 함량 비교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in Colostrum of the Mothers with Fullterm, Preterm Delivery and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 안홍석;이주예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6호
    • /
    • pp.656-66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정상 만기 산모(30명), 조산모(10명) 및 PIH산모가(8명)출산 초기에 분비한 초유시료에서 5종의 다량 무기질(나트륨 칼륨 칼슘, 인, 마그네슘)과 3종의 미 량원소(철분. 아연. 구리)의 농도를 분석하여 재태기간이나 모체의 합병증에 따른 모유의 무기질 함량을 비교하였고 또한 임신기 무기질 섭취 량과 초유의 무기질 함량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정상 만기 산모의 임신기 영양소 섭취량은 단백질과 인을 제외하고는 권장량에 미치지 못했으며 칼슘, 철분과 아연의 섭취량은 권장량에 크게 미달되었다. 세 그룹 산모들의 임신기 1일 평균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했을 때, 조산모 그룹에서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가장 저조하였으며 이들의 인과 나트륨 섭취량은 정상 만기 산모의 섭취량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 < 0.05). PIH 산모의 영양소 섭취량은 정상 만기 산모그룹과 유사하였지만 이들의 임신기 칼슘 섭취량은 1일 평균 500.9mg으로 세 그룹 중 가장 적었다 세 그룹 산모들의 초유내 무기질 함량을 비교한 결과, 조산모 유즙의 칼륨과 인의 농도는 정상만기 산모의 유즙내 농도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 < 0.05) , 반면 조산모와 PIH산모의 유즙내 철분 함량은 정상 만기 산모의 유즙에 서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5). 그 외 그룹간 무기질 및 미량원소의 초유내 함량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한편 임신기 모체의 무기질 섭취량과 분만 초기에 분비되는 초유의 무기질 함량과의 상관성 분석에서 정상 만기 산모와 조산모 그룹간의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IH 산모에서는 칼슘 섭취량과 초유의 칼슘 농도 사이에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이 나타났다(p <0.05).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조산모 초유의 일부 무기질 함량이 정상 만기 산모 초유에서 보다 낮은 경향이므로 체내 무기질 저장량이 적고 성장속도가 빠른 조산아의 특성을 고려할 때, 조산모 초유의 무기질 영양은 다소 미흡하다고 사료되나 향후 PT의 성숙유에 대한무기질 함량과 조산아의 섭취량 및 성장패턴을 고려한 무기질 영양평가가 요구된다. 한편 PIH산모의 칼슘섭취 부족이나 또는 이들이 분비한 유즙의 높은 철분 함량과 관련하여 PIH산모에 대한 체계적인 무기질 대사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2'-푸코실락토오스의 자가포식을 통한 멜라닌 감소 연구 (A Study on Melanin Reduction through Autophagy by 2'-Fucosyllactose)

  • 정소영;유한준;허효진;이소민;;차병선;;이상훈;빈범호;이미기;곽병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5-112
    • /
    • 2022
  • 2'-fucosyllactose (2'-FL)는 사람의 모유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올리고당(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s)으로, 장내 유용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알레르기,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다양한 긍정적 기능을 가진 2'-FL의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저해 효능 및 자가포식 유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간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로 알려진 MNT-1 세포에서 독성 실험을 진행하여 40 g/L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동일 세포에서 20 g/L 농도로 7 일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40% 멜라닌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관련 인자 TYR 및 TYRP1의 단백질 발현량을 western blot 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FL 처리는 이들을 감소시켰으며, 더불어 자가포식 표지자인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의 형태가 LC3-I에서 LC3-𝚷로 변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2'-FL 처리에 따른 LC3 puncta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2'-FL로 활성화된 자가포식이 TYR 및 TYRP1 단백질 발현량을 저해시킴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시사된다. 결론적으로 2'-FL은 자가포식을 유도하여 멜라닌 생성이 억제됨이 확인되어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수유 초기 모유 중 철, 구리, 아연의 함량과 영아의 섭취량 추정 (Iron, Copper and Zinc Levels in Human Milk and Estimated Intake of the Minerals by Breast-Fed Infants during the Early Lactation)

  • 김을상;조금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3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measure the content of iron, copper and zinc in human milk and to estimate the intake of iron, copper and zinc of breast-fed infants during the early period of lactation. Twenty-five lactating women who delivered in a hospital in Seoul volunteered for the study. Milk samples were collected at day 2, 3, 4, 5, 6, 7, 15 and 30 postpartum. The contents of iron, copper and zinc were determined using th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fter wet digestion. The intakes of iron, copper and zinc of infants were estimated by multiplization with the infant milk intake reported in our laboratory. The content of iron was 0.58 $\mu\textrm{g}$/g in colostrum, 0.48 $\mu\textrm{g}$/g in transitional milk and 0.39 $\mu\textrm{g}$/g in mature milk while the estimated iron intake of infants was 271, 255 and 259 $\mu\textrm{g}$/day, respectively. The content of copper in the milk was 0.45 $\mu\textrm{g}$/g in colostrum, 0.43 $\mu\textrm{g}$/g in transitional milk and 0.33 $\mu\textrm{g}$/g in mature milk while the estimated copper intake of infants was 210, 229 and 220 $\mu\textrm{g}$/day, respectively. The content of zinc in the milk was 5.24 $\mu\textrm{g}$/g in colostrum, 3.70 $\mu\textrm{g}$/g in transitional milk, 2.93 $\mu\textrm{g}$/g in mature milk while the estimated zinc intake of infants was 2452, 1968, and 1949 $\mu\textrm{g}$/day,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pper and zinc intake of infants are met to RDA but iron is not.

  • PDF

수유 첫 5개월간 모유 영양아의 Na과 K 섭취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of Breast-Fed Infants during the First 5 Months of Lactation)

  • 이정실;이영남;김을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1호
    • /
    • pp.23-2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and infants intake of sodium and potassium from human milk during the first 5 months of lactation. The sodium concentrations of the milk during the lactation appeared 21.1, 18.1, 15.9, 12.4, 10.6 and 11.4 mg/100g at 0.5, 1, 2, 3, 4, and 5 months of lactation respectively. The potassium concentrations of the milk 48.5, 43.3, 40.8, 39.9, 40.5 and 38.5 respectively, Na/K ratio of the milk were 0.76, 0.75, 0.70, 0.56, 0.46 and 0.53(mEqu\\mEq). Sodium intakes of breast-fed infants were 106.9, 108.4, 90.6, 82.5 and 95.6mg/day during the lactation. Potassium intakes of the infants were 255.7, 276.0, 289.7, 294.6, 320.3 and 318.3mg/day. Sodium and potassium concentrations in infant formula averaged 23.62 and 67.61 mg/100g which was 1.90 and 1.69 times as those of breast milk at 3 month of lactation. Commercial whole milks had 39.53 and 135.22mg/100g of sodium and potassium respectively which was 3.19 and 3.39 times as those of the milk. From this study, reevaluation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if breast-fel infants was merited and the regulation of that minerals in infant formula is need to lower the renal solute load of formula-fed infants.(Korean J Nutrition 34(1):23-29, 2001)

  • PDF

모유영양아의 수유기간별 에너지, 단백질, 지질과 유당 섭취량 (A Longitudinal Study on Energy, Protein, Fat and Lactose Intakes of Breast-Fed Infants)

  • 김을상;이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7호
    • /
    • pp.771-77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protein, fat, lactose and energy in the human milk and the intake of human milk and those nutrients in breast-fed infants from 16 lactating women in Seoul area during the first 5 months postpartum. Daily human milk intake was determined by test-weighing method and the milk from 16 mothers was analyzed for protein (semimicro Kjeldahl, N $\times$ 6.38), fat (milk checker), lactose (HPLC). Energy was calculated by Atwater and milk factor. The mean intake of human milk to the 5th month of lactation was 668 $\pm$ 186 $m\ell$/day. Mean protein contents of the human milk at 0.5, 12, 3, 4 and 5 months postpartum showed 1.48, 1.35, 1.17, 1.11, 1.15 and 1.10 g/100 $m\ell$ respectively. Lipid and lactose contents of the human milk during the first S months postpartum averaged 3.38 g/100 $m\ell$ and 6.79 g/100 $m\ell$. Energy contents at 0.5, 12, 3, 4 and 5 months postpartum showed 64.2, 66.1, 68.3, 60.1, 58.9 and 61.2 g/100 $m\ell$ respectively. Protein intake of infants from the human milk was 8.22 g/day which was 54.8% of Korean RDA. Lipid and lactose intake of infants were 23.0 and 45.6 g/day. Energy intake of infants was 422.3 kcal/day which was 84.4% of Korean RDA. Total energy content was almost same value regardless of Atwater or milk factor but the energy ratio was some different. Protein and solid contents decreased the course of lactation but lactose content was less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research were required for the RDA.

수유 기간별 모유 분비량과 수유양식에 관한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Human Milk Volume and Lactational Pattern)

  • 이종숙;김을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4권1호
    • /
    • pp.48-57
    • /
    • 1991
  • The longitudinal changes on human milk volume per day and lactational performance of Korean primiparae(n=9) and multiparae(n=6) from 0.5 month to 5 months after parturition have been studied by test-weighing method. The human milk volume per day tended to increase during lactation. The mean volume to the 3rd month of lactation was 643m1 for primiparae and 654m1 for multiparae, and it was 647 $\pm$ 182m1 for both of them. The mean volume to the 5th month of lactation was 648m1 for primiparae and 668m1 for multiparae, and it was 658$\pm$186$m\ell$ for both of them. The peak volume was observed at the 1st month of lactation in 8 women of 15 lactating women, that is, 53.3% . The high distributions of the individual mean volume to the 5th month were found 550~650$m\ell$(40.0% ) and 650~750$m\ell$(26.7% ). and 13 women of 15 lactating women(86.6% ) were observed below 750m1. The number of feeding per day was 7.7~9.3 to the 5th month and the mean volume per feeding was 65~101$m\ell$. While the former tended to decreased, the latter increased during lactation. The human milk volume was correlated with the peak volume. but not with maternal age. weight before delivery. maternal height and birth weight. As mentioned above, the human milk volume of Koreans was about 658$\pm$ 186$m\ell$ and 86.6% of it was below 750$m\ell$. So the human milk volume, referred to as 800$m\ell$ i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might be estimated over real amount. It is necessary to study according to regions. socioeconomic levels. maternal nutritional status and the early stage of lactation.

  • PDF

모유 영양아의 수류기간별 Taurine 섭취량에 관한 연구 (Longitudinal Study on Taurine Intake of Breast-Fed Infants from Korean Non-Vegetarian and Lacto-Ovo-Vegetarian)

  • 김을상;이종숙;최경순;조금호;설민영;박미아;이규한;이영남;노희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8호
    • /
    • pp.967-973
    • /
    • 1993
  • The longitudianl study on taurine intake of breast-fed infants from Korean lacto-ovo-vegetarian (n=23) and non-vegetarian(n=22) at 3-5, 15, 30, 60, 90, 120, 150 days postpartum was performed. The taurine content of human milk was analyzed by amino acid autoanalyzer (LKB-Alpha plus) and the human milk intak of infants was measured by test weighing method. The mean taurine content of human milk at each postpartum period was 434$\pm$128.362$\pm$, 304$\pm$90, 306$\pm$90, 302$\pm$77, 310$\pm$108, 248$\pm$53 nmol per ml in non-vegetarian and 418$\pm$112, 380$\pm$97, 314$\pm$97, 262$\pm$83, 206$\pm$79, 176$\pm$55, 153$\pm$31 nmol per ml in lacto-ovo-vegetarian, respectively. Th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lactation(p<0.05). The mean tauring intake at 15, 30, 60, 90, 120, 150 days postpartum was 195$\pm$94, 202$\pm$74, 212$\pm$54, 177$\pm$43, 137$\pm$47, 132$\pm$35, 106$\pm$15 umol per day in infants of lacto-ovo-vegetarian. Thu taurine content in human milk and the taurine intake of infants were different during lactation between non-vegetarian and lacto-ovo-vegetarian, and the intake per kg body weight during lactaion decreased.

  • PDF

필러의 입자크기가 고체전해질 연료전지용 밀봉유리의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le Size of the Filler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Sealing Glass for Solid Oxide Fuel Cells)

  • 조민영;문지웅;이미재;최병현;박선민;황해진;최헌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5-305
    • /
    • 2007
  • SOFC용 밀봉유리$({\sim}10.0{\times}10^{-7}/K)$의 열팽창 계수를 SUS430$({\sim}12.0{\times}10^{-7}/K)$ 인터커넥터에 매칭 시키기 위하여 모유리에 비하여 열팽창계수가 큰 $CaTiO_3\;({\sim}13.5{\times}10^{-7}/K)$ 입자를 필러로서 첨가하였다. 필러입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밀봉재의 열팽창 계수가 증가하고, 동일 함량의 필러를 첨가하는 경우 필러 입자의 크기가 작을 수록 밀봉재의 연화점 상승 폭이 커서 SUS430 기판과의 접합 상태가 불량해짐을 관찰하였다. 필 테스트, 접합시험, 미세구조 분석 등을 통하여 필러 입자 크기가 증가 할 수록 SUS430과의 접합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보다 많은 양의 필러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팽창 계수 제어가 용이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제주지역(濟州地域) 여중학생(女中學生)의 영양실태(營養實態)와 성장발육(成長發育)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Nutrients Intake and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of Junior High School Girls in Cheju Is. Area)

  • 홍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4호
    • /
    • pp.15-26
    • /
    • 1975
  • 제주도내 중학교 2학년 여학생 418명에게 일반적인 환경실태, 영양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성장발육과의 관계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A. 조사대상자의 일반 실태 1. 형제의 수는 대부분이 $5{\sim}6$명이었다. 2. 유아기에는 90%가 모유로 양육되었으며 이유는 $7{\sim}12$개월이 20.9%이고 $13{\sim}24$개월이 45%였다. 3. 식사시간이 불규칙한 학생은 45.7%이며 불규칙한 이유는 식욕부족과 시간부족이 각각 42.9%, 31.9%였다. 4. 1년을 기준해서 병으로 결석하는 일수는 $2{\sim}5$일이 52%였다. 5. 기호 실태에 있어서는 주식으로는 잡곡밥이 45%, 식빵이 30.6%, 국수는 26.3%가 즐기고 40.7%나 흰밥을 제일 싫어하고 있다. 부식으로는 계란, 쇠고기, 닭고기, 김치류를 좋아하고 버터, 돼지고기, 나물류를 싫어한다. 간식은 아이스크림, 우유, 과일, 과즙, 빵 등을 좋아하고 호콩 등을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영양섭취 실태 1. 열량섭취 평균은 1,738Ca1, 총 섭취열량에 대한 탄수화물의 비율은 73%, 단백질이 15%, 지방이 12% 로 나타났다. 2. 열량 및 모든 영양소가 권장량에 미달이나 vitamin A. $B_{1}$. Niacin 등은 권장량에 달하고 있다. 3. 단백질이 1일(日) 평균 섭취량은 68g 으로서 권장량 75g에 가깝다. 총 단백질에 대한 동물성 단백질이 비율은 36%로 나타났다. 4. 총식품 섭취량에 있어서 동물성 식품이 평균섭취 비율은 14%, 곡류가 63%를 차지하고 있다. C. 영양 섭취실태, 성장발육, 지능과의 상호관계 1. 열량 섭취량과 성장발육은 상호 의의(意義)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2. 단백질 섭취량과 성장발육도 상호관계가 의의(意義)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3. 열량과 단백질 섭취와 지능과의 상호관계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같은 상호 관계의 결과를 보면 영양과 성장발육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지적되고 반면 영양과 지능과의 관계는 간접적인 영향이 있을 뿐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