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시 소재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EAT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적모시직물 디자인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Processing of Spinning Ramie Jacquard Textile Design Using EAT Program)

  • 정고은;우효정;이정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3-226
    • /
    • 2009
  • 최근 의생활에 있어서 가장 큰 변화는 쾌적성의 추구와 건강을 중심으로 한 기능성 소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된다는 것이다. 천연 섬유 중 모시는 통기성이 우수하고 감촉이 깔깔하여 고온 다습한 우리나라의 여름철 옷감으로 좋으므로 현대 의생활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그동안 모시직물은 심미적인 욕구에도 잘 맞아 한국인의 정서에 좋은 이미지로 자리 잡고 있지만 수공예적 생산방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어 전통모시직물로는 많이 이용이 되어왔으나 현대 방적모시직물을 이용한 새로운 직물디자인 개발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방적모시섬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면서 현대 방적모시직물의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사의 특성과 제조공정 특성에 의해 미세한 감성촉감의 차이를 유발하기 좋은 폴리에스터를 경사로하고 방적모시와 라이오셀을 위사로 하여 현대 모시직물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모시의 소비를 증가시키고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직물문양을 디자인하였다. 직물의 복잡한 문양을 컴퓨터로 디자인하고 자동으로 제직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인 E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카드 직물 특유의 고급스러움을 살리며 공정과정에서의 실의 밀림 등을 고려하며 조직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직물은 제직 후 염색 가공하여 쿠션, 방석, 테이블 러너 등의 시제품으로 제작하여 고부가가치 모시제품의 개발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PDF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의 품질 특성 연구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Added with Ramie Leaf Extract Powder (Boehmerianivea)Powder)

  • 최영심;엄영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소재인 모시 잎 분말을 손쉽게 다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볶은 콩가루에 첨가하여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모시 잎 분말 0% 콩다식의 경우 수분함량은 $8.39{\pm}0.98%$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모시 잎 분말 10% 첨가한 콩다식의 경우가 $14.71{\pm}0.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의 명도와 적색도, 황색도는 모시 잎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의 조직감 측정 항목 중 경도, 검성, 씹힘성의 경우 모시 잎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부착성과 응집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의 관능검사 색과 맛, 부드러운 정도, 전체적인 기호도의 경우 모시 잎 분말 8% 콩다식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향기는 모시 잎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모시 잎 분말을 첨가한 콩다식의 경우 색이나 맛, 향기,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8%를 첨가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한 첨가 수분이라고 사료된다.

  • PDF

모시대잎을 이용한 항산화 및 피부개선 효과 측정 (Measuring of Anti-oxidant Activity and Skin Improvement Effect using Adenophora remotiflora leaf)

  • 이민정;이연희;김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39-246
    • /
    • 2013
  • 본 연구는 모시대(Adenophora remotrflora)잎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모시대잎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모시대잎 열수추출물의 DPPH 소거능이 에탄올추출물에 비하여 약 9% 정도 높은 값을 보였고(p<0.05),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경우에는 열수추출물(65.22%)이 에탄올추출물(63.50%)에 비해서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의 경우에는 에탄올추출물(47.90 mg/mL)이 열수추출물(40.82 mg/mL)에 비해 유의차 있는 효능을 보였다(p<0.05). 2011년 10월 20부터 11월 17일까지 35~60세 중년여성 16명을 대상으로 오른쪽 얼굴에는 베이스팩을, 왼쪽 얼굴에는 모시대잎 파우더팩을 주 2회씩 4주 동안 적용하여 수분, 거칠기, 모공, 투명도를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 색소침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나(p<0.05) 거칠기, 모공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시대잎은 새로운 화장품소재로서 피부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시 소재의 문양에 따른 감성 이미지 평가 (The Effect of Motives of Ramie Fabrics on Sensory Image Evaluation)

  • 이순임;김재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6호
    • /
    • pp.1015-1026
    • /
    • 2006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find out (1) the effect of motives on perceiver's image perception on ramie fabrics, and perceiver's trait, age and gender on sensory image evaluation of ramie fabrics. The research was a quasi experiment and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e study were a set of material stimuli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to measure sensory image of the stimuli, an aesthetic value scale. the independent design was motif design techniques(Plain Weave, burnt-out, embroidery, stripe, check). The subjects were 421 adults in Daejeon and Seachun. The results was as follows: The factor analysis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for the ramie materials emerged 4 different image dimensions: attractiveness, hand, elegance, weight). The five design techniqu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mage affects on some selective dimensions. The burn-out design gave the most attractive image, the embroidery design gave the softest image and plain weaved fabric presented the lightest hand image. Consumer's aesthetic values, gender and age tended to affect sensory image evaluation of ramie materials. On conclusion the result revealed that design strategy for the ramie material, design development though motives will be an essential process. and for material design pursued design image and target consumer's trai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 PDF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로 처리된 견직물의 주관적 선호감성 (The preference of silk fabrics by the linen-like finishing-used polyurethane resin)

  • 이정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9-214
    • /
    • 2002
  •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의 섬유를 개발하기 위해서 얻어진 다양한 태 특성을 가진 직물의 적절한 용도를 감각적 감성평가를 통해 밝히려는 목적을 가지고, 첫번째 단계로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로 가공처리한 견직물의 선호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물의 개별감각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마가공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강경성이 부여된 견직물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인 감각을 평가하고 객관적인 특성과 연관지어 보았다. 강경성이 다르게 제작된 견직물과 시판모시로 구성된 9종류의 직물의 까실까실하다, 매끄럽다, 습하게 느껴진다, 뻣뻣하다, 차다, 하늘하늘하다의 6개의 개별감각과 촉감이 좋다와 여름철소재로 선호한다의 종합적 평가를 행하여 9종류의 직물의 위치도를 작성하여 여름철소재의 선호감성과 촉감, 직물개별감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름철소재의 선호감성에 영향을 주는 직물의 개별감각은 부드러워서 촉감은 좋지만 까실까실한 감각이 있어 다소 차게 느껴지는 감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의마가공된 견직물이 여름철 소재로 선호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직물 소재와 색상, 톤에 따른 감성 이미지 평가 - 한산모시와 면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olor, Tones values on Image Perception of natural dyeing of Han-san Mosi and cotton)

  • 김재숙;이순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62-67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lor, tone, perceiver's gender on image perception of natural dyeing of cotton and mosi.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The 7-point semantic). The stimuli was 20 fabrics manipulated with two kinds of fabrics(cotton, mosi), five colors(red, yellow, blue, green, purple) and two tone variations. The subjects were 412 adults in Daejeon and Kongju.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erceived image of the stimulus material consisted of 4 dimensions (attractive, conspicuous, hand, weight) colors, tons, materials as well as perceiver's gender affected on some selected image dimensions color affected on the four image dimensions, tone affected on the conspicuous, hand and weight images, materials affected on the attractive and hand image and perceiver's gender affected on the weight image. Interaction effects existed among colors, tons and materials on the conspicuous image. In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gestalt theory in which the sum of the parts is bigger than the whole and design strategies for the Mosi fabrics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persuited design image as well as target consumers.

모시 소재에 적합한 한국적 이미지의 의상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제1보) - 고구려 시대 복식의 미적 특징을 적용하여 - (Fashion Design Study on Korean Traditional Image Suitable for Ramie Fabric(I) - The Application of Aesthetic Property of Goguryeo Era Clothing -)

  • 이미연;이건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1호
    • /
    • pp.130-144
    • /
    • 2008
  • A recent concern about Goguryeo era reflects the efforts to find out our spiritual roots, which have descended from the ancient times; Goguryeo clothing study leads to analysis of our national spirit in terms of form.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mal property and intrinsic meaning of Goguryeo clothing for Korean ramie clothing design and draw traditional images to derive design elements applicable to ramie clothing. On the basis of technical books, newspaper article, internet and precedent studies, theoretical study on Goguryeo clothing and ramie property was followed up with positive study to analyze the clothing on the Goguryeo ancient tomb mur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rogressive spirit is to progress and develop anything actively; This spirit represents Goguryeo people's ambition and racial characteristic as horse-riding people; The rigidity of ramie fabric is suitable for expressing straight silhouettes and detail in Goguryeo dress. Second, a fluidity means flowing property in opposition to fixation; in the case of clothing, it has a tendency to change form according to body motions; The extensibility and crease-resistance of ramie fabric is suitable to express pleated skirts and holds high design value for modern people who tend to regard clothing as important individuality expression. Third, a universal property to introduce and receive; as Goguryeo was a prosperous country established by conquering an open plain, the period formed a society that recognized diversity by introducing foreign cultures freely; a universality suggests the direction of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ramie clothing and stimulates us to discovert new design through compromise between various cultures rather than to stick to traditional style. Considering the fact that precedent studies on traditional clothing are concentrated upon the Joseon period and also limited to formal analysis, this study aims to derive design elements for actual clothing making.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study as well as reference for designers who wish to design modern Korean clothing.

  • PDF

상주지역의 불천위제사 제수문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Sacrifice Food of Bulchunwi Sacrificial Ceremony in Sangju Area)

  • 김귀영;김보람;박모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39-751
    • /
    • 2015
  • 최근 6차 산업이 부각되면서 종가문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종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불천위제례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불천위를 모시는 종가는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봉화, 영주, 예천, 상주, 영덕, 영양 등 주로 경북 북부지역에 집중되어 있는데, 경상북도 상주에서도 불천위를 모시는 종가가 14위나 되어 이들 종가를 대상으로 불천위 진설도와 제수 실태를 현장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에서 2015년 동안 진행되었고, 소재 노수신, 월간 이석, 우복 정경세, 조당 이목수의 불천위 제례를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불천위 제수의 진설과 제수 품목, 조리법에 국한하였고, 심층인터뷰와 더불어 문헌을 비교 검토하였다. 1. 진설의 열은 월간이 4열이고, 다른 종가에서는 5열로 진설하였다. 열에 따른 진설 품목은 5열이 실과류, 4열이 나물류, 3열이 탕류, 2열이 적, 편류 1열이 메, 갱, 면으로 구성되었다, 진설품목은 메, 갱, 면, 장, 포, 침재, 대추, 밤, 배, 감, 사과, 호두, 고사리, 도라지, 조기, 편, 쌈은 공통적이나, 적, 탕, 전, 나물류는 종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탕은 우복종가가 7탕으로 가장 많고, 소재와 입재종가는 5탕, 월간은 3탕을 진설하였다. 2. 적은 월간종가가 계적, 어적, 육적을 쌓아 올려 하나의 제기에 담아 도적으로 진설하였고, 우복종가는 계적, 어적, 육적을 각각의 제기에 담아 진설하였다. 그리고 소재종가와 입재종가는 계적을 별도로 진설하고, 육적과 어적은 하나의 틀에 담아 도적으로 진설하였고, 어적을 별도로 진설하여 이중으로 진설하였다. 포는 대구포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진설의 위치가 월간종가에서는 우포(右脯)로 진설되고, 다른 종가에서는 좌포(左脯)로 진설하였다. 3. 제수품으로 생고기 사용 여부는 우복종가에서 생고등어, 입재종가에서 생조기, 소재종가에서 육회를 사용하는 정도였다. 즉,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조기와 같은 육어고기는 대부분 익혀 사용하였다. 그 외 대부분 제수는 무침이나 데치는 조리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갱은 미역국이 2종가, 탕국이 2종가였는데, 탕국은 탕의 식재를 삶고 남은 육수를 활용한 것이다. 특히 월간종가는 미역탕국을 갱으로 사용하였다. 4. 제수품목 중 종가에서 주문하는 음식은 유과, 약과, 본편(시루떡, 찰떡, 증편, 경단), 술이고 나머지 대부분의 제수는 당일 종가에서 준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천위 제례의 음식문화는 의례적 요소가 강하다. 이러한 식문화는 종가의 권위를 상징하고, 대외적으로 표명하고자 했던 조선중기에 비교적 정착되었다. 하지만 조선후기 일제 강점기와 전쟁, 산업화 등 역사적 격동기를 함께 하면서 종가의 불천위 제례 문화가 많은 변화를 거듭하였다. 문화는 그 자체만으로 한 시대를 파악하는데 의미가 있다. 종가의 통과의례 중 핵심적 문화행위인 제례, 그 중에서도 종가의 존재와 정체성에 직결되는 불천위 제례에 대한 현장조사와 그에 대한 고증연구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