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성역할적응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융복합 시대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 모아애착 및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 Maternal Role Adaptation of Employed Mothers in Convergence age)

  • 김지언;김미옥;이수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79-3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 강화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H시 거주 24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 137명으로 편의추출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모성역할적응은 모아애착(r=.488, p<.001), 사회적지지(r=.718,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는 사회적지지(β=.616), 출생 시 아기상태(β=.123), 현재 모유수유 여부(β=.127) 및 모아애착정도(β=.141)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55.5%(F=43.487, p<.001)이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진바 취업모의 모성역할적응을 위해 가족, 직장 및 지역사회에서의 사회적지지 강화를 위한 다양한 중재 전략이 요구된다.

초산모를 위한 모성역할적응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on First-time Mothers)

  • 김수정;서지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2-332
    • /
    • 2018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on first-time mothers. Methods: The research was quasi-experimental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first-time mothers admitted to two postpartum clinics at women's hospitals. The experimental group had 38 mothers and the control group had 35 mothers. A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was applied individually to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the 1st and 2nd weeks after childbirth. Assessing Adaptation to Motherhood, Semantic Differential Scale-Myself as Mother, and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were used to measure effects of the program. A pre-test was conducted in the 1st week after childbirth while post-tests were conducted in the 4th and 6th 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x^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using SPSS 24.0. Results: Maternal role adjustment (F=6.17, p=.015) and maternal identity (F=6.63, p=.01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in postpartum depression (F=1.11, p=.335)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enhance maternal role adjustment and maternal identity for first-time mothers.

양육 스트레스, 모성역할 적응, 출산 당시 병원에서의 수유방법과 모유수유 적응과의 관계 (Association of Parenting Stresses, Maternal Role Adjustment, and Types of Feeding during Hospital Stays at Birth to Breastfeeding Adaptation)

  • 안숙희;김윤미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2-27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association of maternal role adjustments, parenting stresses, and demographic factors to breastfeeding adaptation. Methods: A correla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o recruit 183 mothers who breastfeed or breastfed their babies. Participants'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s and were admitted to pediatric ward at 2 hospitals in metropolitan city of Korea. Inclusion criteria for subjects were mothers whose babies were from 1 month to 24 months ol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mothers' and babies' demographic variables, maternal role adjustments, parenting stresses, and maternal breastfeeding adaptations. Results: Higher levels of maternal adaptations and low levels of parenting stresse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maternal breastfeeding adaptations. Types of feeding during hospital stays and baby's health status at birth were also associated with maternal breastfeeding adaptation. Conclusion: Results showed that a higher level of mothers' adjustment to breastfeeding; indicated lesser parenting stresses with higher levels of maternal adaptation. Nursing interventions for breastfeeding should be applied for appropriate breastfeeding adaptation during mothers' hospital stay. As baby's poor health status at birth medical team should provide a proper breastfeeding education.

면 단위에 거주하는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분만 후 시기별 모유수유 실천 및 모성적응 (Breast Feeding Practice and Maternal Adapta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thers)

  • 김미옥;송경수;조윤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6-38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breast feeding rate and maternal adaptation of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a community.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5, and included a total of 283 mothers of infants an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he ${\chi}^2-test$, and one way ANOVA. Results: The rates of breast feeding after birth were 76.3% (1 month postpartum), 69.3% (3 months postpartum), 53.4% (6 months postpartum), 32.2% (9 months postpartum), and 22.6% (12 months postpartum). The level of maternal adaptation of subjects was $3.78{\pm}0.54$. Subjects who were breastfed until 9 months postpartum had a higher level of maternal adaptation than those who stopped breast feeding at 1 month postpartum (F=3.926, p<.002). The breast feeding rate of subjects who were educated about breast feeding after childbirt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receive breast feeding education after delivery. Conclusion: To increase the breast feeding rate and maternal adaptation, community health nurs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breast feeding programs to mothers soon after childbirth.

산후조리원 이용여부에 따른 초산모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 및 모성역할적응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The Changing Patter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aternal Adjustment Between Primiparas Who Used and Those Who did Not Use Sanhujori Facilities)

  • 송주은;박보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03-514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levels of postpartum fatigue, depression, childcare stress, and maternal identity according to postpartum period between primiparas who used Sanhujori facilities and those who did not.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ere 55 healthy primiparas who delivered at one of 3 hospitals in Chungnam, 21 using Sanhujori facilities and 34 not using these facilities during the first three weeks after childbirth.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08 to April 2009 at three measurement points, 2-4 days after childbirth (T1), 4-6 weeks (T2), and 12-14 weeks (T3).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7.0 WIN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care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at 4-6 weeks after childbirth. Postpartum depression and childcare stress at 4-6 week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postpartum periods, while maternal identity was significantly lower. Conclusion: Child care stres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among women who use Sanhujori facilities and the 4-6 week period after childbirth is very difficult to primipar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primiparas in Sanhujori facilities should focus on reducing childcare stress. Furthermore proper follow-up programs at 4-6 weeks are needed to decrease the difficulties in adjustment by new mothers.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using infant model)

  • 황혜민;김주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805-381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산후조리원에 있는 산모를 대상으로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하는 S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48명의 산모이다. 아기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돌봄 교육프로그램은 2주 동안 3차례의 구두교육 및 실기교육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3년 7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산모의 신생아 양육 지식정도는 교육 전 2.27점에서 교육 후 2.8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t=-7.049, p<.001) 부모효능감의 점수도 교육 전 2.69점에서 교육 후 2.89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5.545, p<.001) 교육 만족도는 교육 후 4.12점으로 나타났다. 즉 출산 후 산모들에게 구두 교육과 아기모형을 활용한 실습 교육을 접목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산모들의 양육지식 및 부모효능감을 증가시켜 새로운 모성역할 획득과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정신과 환아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OF CHILD PSYCHIATRIC PATIENTS)

  • 임계원;홍강의;이근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60-175
    • /
    • 1991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의 기본이 되는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부부관계와 부모자녀 관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1987년 7월부터 9월사이에 소아 정신과에서 치료받은 환아의 부모들과 일반 아동이 부모들을 대상으로 결혼 만족도 검사(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 MSI)와 부부 적응도 척도(Dvadic Adjustment Scale ; DAS)의 두가지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환아 부모군은 환아의 진단면에 따라 정신증, 신경증, 틱, 자폐증, 정신지연의 5군으로 분류하였고 각군의 결과가 평가되었다. 1) 환아부모군은 대조군보다 결혼만족도가 낮다. 2) 환아부모군은 대조군보다 부부 적응도가 유의하게 낮다(P<0.01). 3) 환아부모군, 대조군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역할개념이 더 진보적이며 환아부모군에서 역할부담이 여자에게 편중됨으로써, 양육갈등(conflict in child rearing)은 모성 우월현상과 연관됨을 시사한다. 4) 원래 가족의 고통스러운 가족력(Family History of Distress)는 결혼의 정서적 의사소통, 성생활, 자녀양육과 연관이 깊다. 5) 결혼 만족도 검사(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 MSI)의 전반적 고통 척도(Global Distress Scale ; GDS)에 의하면 정신증, 신경증, 자폐증, 정신지체, 틱의 순서로 불만족도를 보였다. 6) 부부 적응도 척도(Dvadic Adjustment Scale ; DAS)에 의하면 정신증, 신경증, 틱, 자폐증, 정신지체의 순서로 부적응도를 보였다. 7) 틱군은 자녀양육 갈등 및 양육태도에 문제점을 시사하였고 부부관계 자체는 유의한 장애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서 부부의 부적응 및 불만족은 자녀양육 및 자녀문제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며 소아의 정신증과 신경증군의 발병요인은 결혼 불만족과 부적응과 관련이 깊으며 자폐증이나 정신지연군의 발병요인은 결혼 불만족과 부적응과 관련이 깊지 않음을 시사한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 on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 배지현;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78-290
    • /
    • 2018
  • 본 연구는 2007년부터 10년 동안 발표된 국내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 중 학술정보서비스(http://www.riss.kr)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 출산에 관련된 연구(74편)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은 학문분야, 연구설계, 주요 주제 및 중재 연구에 사용된 결과 변수에 의해 분석되었다. 74편의 논문 중 학위논문은 28편(38.6%), 학회지는 46편(61.4%)으로 조사 되었으며, 이중 37편(50.0%)은 간호학에서 수행되었다. 양적 연구의 경우 45편(60.8%), 질적 연구가 29편(39.2%)으로 질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더 적은 편이었고, 양적 연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설계는 서술적 연구가 22편(29.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주요 개념은 간호의 패러다임인 간호, 환경, 건강, 인간 영역으로 분류하였고, 네 가지에 속하지 않은 것은 기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연구 주제는 건강 영역인 사회 심리 측면이었으며, 다음은 인간 영역 순이었다. 8편의 중재 연구 분석에서 7편은 산욕기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고, 나머지 1편은 산욕기 결혼이주여성과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가장 빈번하게 측정 된 결과 변수는 적응에 대한 중재에서 양육과 관련된 모성역할 수행자신감, 지지, 지식에 대한 내용이었다. 연구 유형별 연구 설계에서는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 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양적 연구에서도 실험연구 보다는 서술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실험연구의 경우에서도 연구의 대상자가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 뿐 아니라 그들의 가족을 포함한 새로운 간호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