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인프라 공유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obile Infrastructure Sharing Trends in Korea and Major Overseas Countries (국내외 모바일 인프라 공유 현황)

  • Lee, H.J.;Cho, E.J.;Jeong, S.K.;Lee, K.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6 no.5
    • /
    • pp.51-61
    • /
    • 2021
  • To reduce mobile network deployment costs and expand service coverage, mobile infrastructure sharing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and potential benefits of mobile infrastructure sharing as documen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Then, the current status of significant cases of mobile infrastructure sharing in major overseas countries is examined. Finally, sharing 5G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in Korea is introduced. The Korean case is expected to complete national 5G coverage successfully without involving negative competition.

Context-aware Mobile AR System for Personalization, Selective Sharing, and Interaction of u-Contents in u-Space (지능형 정보 공간에서 u-콘텐츠의 개인화, 선택적 공유 및 상호작용을 위한 맥락 인식 증강 현실 시스템)

  • Suh, Young-Jung;Park, Young-Min;Shin, Choon-Sung;Yoon, Hyo-Seok;Chang, Yoon-Je;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98-60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정보 공간에서의 모바일 증강 현실 기반 환경 제어, u-콘텐츠의 개인화, 선택적 공유 및 협업의 개념을 포함하는 맥락 인식 모바일 증강 현실 (Context-aware Mobile AR) 시스템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인프라의 발전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컴퓨팅 리소스들로부터 획득되는 환경 및 개인의 맥락정보와 u-콘텐츠 활용의 용이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스마트 오브젝트들을 인지하기가 어려우며, 인터페이스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스마트 오브젝트들을 제어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또한, 다양한 u-콘텐츠의 획일적인 증강은 사용자에게 혼란만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은 맥락 인지 기술과 모바일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개인화된 스마트 오브젝트 컨트롤과 개인화된 u-콘텐츠의 증강 및 선택적인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 PDF

XML 기반 Global Peer-to-Peer 언진의 저장소 설계

  • 권태숙;이일수;이재욱;이승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27-129
    • /
    • 2001
  •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주요 P2P 솔루션들은 파일 공유, 전자상거래 등의 단일 서비스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저장소 또한 솔루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위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향후 P2P 네트워크상에 전자상거래, 지식공유, Collaboration 등의 여러 서비스를 동시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 및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와 이러한 요구사항에 따른 개선된 저장소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의 구현이 용이하며, PC, 웹, 모바일 환경에서 연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XML 기반 Global Peer-to-Peer 엔진(글로벌 P2P 엔진)의 저장소 설계에 대하여 다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저장소는 P2P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토리지 공유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위하여 저장매체에 대해 투명성을 제공하도록 메모리, 디스크의 데이터에 직접 억세스 하는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으며, 멀티미디어 등의 공유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XML로 구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설계함으로써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P2P 엔진의 저장소 설계로 구현될 P2P 서비스는 XML을 이용한 이기종 플랫폼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로 구성된 데이터의 효율적인 검색 방법과 피어간 디스크 공유 기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finition and Specification of Mobile Collaborative Services for Supporting Collaborations on Mobile Environment (이동 환경에서의 협업 지원을 위한 모바일 협업서비스의 정의와 명세)

  • Lee, Hong-Chang;Lee, M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621-624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이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이동 환경에서의 협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협업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인 협업시스템은 컴퓨터 인프라 기반의 자원 공유와 통신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공동작업 수행 환경을 제공한다. 무선 인터넷 기반의 이동 환경의 등장은 이러한 협업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열었지만, 이동 환경을 고려한 협업 기능의 표준화된 정의 와 이를 지원하는 프레임워크의 부재로 인하여 쉽게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환경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협업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모바일 협업서비스를 정의하고 이를 명세하였다. 이동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협업 상황들을 분석하고 이를 모바일 협업서비스로 정의하여 분류하였다. 그리고 협업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하여 정의된 모바일 협업서비스를 정형적으로 명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모바일 협업서비스의 표준화 방향을 제시한다.

TOPAZ;A Shared Infrastructure for Ubiquitous Services (TOPAZ;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위한 공용 인프라스트럭처)

  • Bae, Ju-Hee;Kang, Jong-Hyun;Lee, Ji-Wan;Pae, Young-Woo;Lee, Won-I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385-390
    • /
    • 2007
  •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운전자, 헬스케어 관련 종사자, 일반 시민 등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단말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 가공하여 개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u-City 에서는 건강과 교육, 가정 환경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이벤트들을 기반으로 상황에 따라 개인화된 서비스를 거주지, 거리, 빌딩, 공공 장소 같은 다양한 환경에 제공하려 하고 있다. 최근의 표준화 논의에서는 다양한 공공 서비스와 상용/민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공유할 수 있는 단말, 네트워크, 센터, 소프트웨어 인프라스트럭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표준화 논의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TOPAZ는 서비스 기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인프라스트럭처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들이 웹 서비스를 통해 인프라스트럭처를 사용하여 쉽게 개발, 배포, 운용될 수 있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TOPAZ의 필요성과 서비스 컴포넌트들에 대해 서술하고 유틸리티 컴퓨팅의 입장에서 본 서비스의 질, 서비스 미터링, 자원 관리, Scalability 등의 고려 사항과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TOPAZ의 성능, 적용 결과 등을 소개한다.

  • PDF

A Study of Big Data Transmission using Science DMZ (Science DMZ를 활용한 빅데이터의 효율적 공유 방법 연구)

  • Choi, Won-Jun;Kim, Jae-Hun;Kim, Sun-Young;Kim,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3-74
    • /
    • 2017
  • 제4차 산업혁명(클라우드, 빅데이터, Internet of Things, 인공지능 등)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연구가 되면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모바일, 클라우드 서버 등)에서 축적되는 데이터의 양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이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프라를 지원하는 기관에서는 종종 데이터가 빅데이터가 되어갈수록 기관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어려워 직접 방문하여 필요한 정보만 전달 받기도 한다. 초고속 네트워크 시대에 우리는 과학기술정보의 효율적인 공유를 위한 신속한 전송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방법을 Science DMZ 환경에서 문제를 풀어 보고자 한다.

Development of Smartphone Game Application using Android (Android를 이용한 스마트폰 게임 어플리케이션)

  • Kim, Kyungha;Lee, Aeri;Choi,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376-377
    • /
    • 2013
  • 스마트폰이 도입된지 불과 몇 년만에 모바일 컴퓨팅은 이제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자 도구가 되었다. 이제 우리의 일상은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이나 SNS 등을 이용해 보다 합리적인 정보 탐색을 위하여 얻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실시간으로 공유한다. 최근 선호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오락, 유틸리티, 소셜 네트워크의 비중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폰의 흐름에 발 맞춰, Android기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에서만 즐길 수 있던 게임에서 벗어나 보다 접근성이 편리한 스마트폰에서 실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인프라(별점 주기, 랭킹)와 item shop 기능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더블버퍼링, 각종 센서, Surface View 등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Technology and Policy for Blockchain-based Spectrum Sharing (블록체인 기반의 전파 공유 기술과 전파 정책)

  • Shin, Na Yeon;Nam, Ji-Hyun;Choi, Ye Jin;Lee, Il-G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0
    • /
    • pp.13-21
    • /
    • 2019
  • The restricted network or the unbalanced distribution of spectrum is causing the problems of lack of spectrum resources and deterioration of the service quality. In addition, the existing centralized radio sharing method has not been a fundamental solution for radio sharing and is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convenience, and secur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ockchain-based spectrum sharing as a low-cost, trustworthy, high-efficiency platform that can distribute and share spectrum resources, and propose policies to realize this. In the spectrum sharing platform, spectrum information about Wi-Fi AP and LTE mobile hotspot is registered in the blockchain, and spectrum sharers and users can conclude peer-to-peer spectrum sharing contract quickly and efficiently through smart contract. The pay for the shared spectrum resources and reward for spectrum quality management open platform ecosystem to activate the circulation-sharing and it can provide a convenient and efficient public wireless infrastructure.

Stable Gateway Selection Scheme which is used for MANET with Internet (인터넷과 연동된 MANET에서 안정적인 게이트웨이 선택 방안)

  • Shin Chang-Yui;Kim Sung-Ho;An Sun-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d
    • /
    • pp.301-303
    • /
    • 2006
  • Mobile Ad Hoc Networks(MANET)은 기존의 인프라없이 독립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 따라 새로운 도전 영역으로써 MANET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게이트웨이가 등장하고 있는데. MANET boundary를 공유하는 영역에서의 노드는 이러한 여러 개의 인터넷 게이트웨이들에 대한 선택문제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네트워크의 환경에 맞는 적절한 해결책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기존의 해결책은 hop count를 기준으로 간단하게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는 있지만 노드의 이동성에 따른 전송량 감소가 빈번해서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NET이 모바일 환경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점을 고려해서 노드의 이동성향을 고려해서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도록 하여 전체네트워크의 전송량을 증가시키는 대안을 제시한다.

  • PDF

사이버 환경에서의 보안위협

  • KIm, Ji-Hoon;Cho, Si-Haeng
    • Review of KIISC
    • /
    • v.20 no.4
    • /
    • pp.11-20
    • /
    • 2010
  • 정보시스템과 인터넷의 발전은 모든 정보 자산의 네트워킹이 가능해짐에 따라, IT 인프라를 중심축으로 한 정보사회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최근에는 참여 공유 개방으로 대변되는 웹 2.0 기술과 함께 가히 폭발적인 스마트폰 시장환경이 맞물리면서 "모바일 웹 2.0" 시대로의 빠른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따른 정보사회의 역기능도 만만치 않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이미 해킹 및 악성코드로 인한 정보 유출 피해를 비롯하여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인한 비즈니스 연속성 침해에 이르기까지 끊이지 않는 사이버 침해사고를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진화하고 있는 악성코드에 대한 최근 동향 분석을 통해 미래 정보 사회를 주도할 소설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보안위협이 어떻게 진화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전쟁의 사례 분석을 통해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인지와 인식이 확립되고 보다 강력하고 안전한 대응 체계를 위한 우리의 노력이 끊임없이 연구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