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웹 앱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ata Linkage Method among the Mobile Web and Native Apps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간의 데이터 연동 기법)

  • Kang, Hyo-woon;Lee, Kyu-hwa;Kim, Jin-d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703-705
    • /
    • 2013
  •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서비스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을 병행하여 서비스 한다.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리소스 및 연산 결과 등의 모든 정보를 담아 두고 접근하여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반면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 네이티브 앱을 활용하면 디바이스 내부에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및 리소스를 저장하여 활용한다. 이 경우 네이티브 앱에서 연산을 수행하고 변경되는 데이터가 발생하면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그 이유는 병행 접근이 가능한 서비스의 경우 차후에 현재 접근한 네이티브 앱이 아닌 모바일 웹으로 접근하였을 때를 대비해서 최근의 데이터를 항상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서비스의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 데이터 업데이트 문제로 많은 자원 소모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고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하여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최소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시간으로 사용자들끼리 정보를 주고받아 상호작용하는 서비스의 빈도가 상당히 낮거나 없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는 서버 접근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제안의 핵심은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의 기본적인 접속 정보만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차후 접속하는 타입이 현재와 다른 경우에만 최근에 변경된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서비스 업체의 경우 서버 유지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는 빈번히 일어나는 서버와의 통신에 소요되는 비용 및 끊김 현상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Use of the ARCS Motivation Model in Mobile Learning Apps Design (ARCS 동기 이론을 적용한 학습용 모바일 앱 설계 연구)

  • Kim, Eui-Ho;Yang, Hae-So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4
    • /
    • pp.69-79
    • /
    • 2015
  • As the distribution rate of a smart phone which can actualize even augmented reality is getting higher, the application scope of a smart phone is sharply increasing. However, in spite of various functions of it, there is still lack of learning app. Mobile equipments can bring no spatial-temporal restriction of learning to a learner, but they can tempt a learner into inappropriate spaces. In this sense, learning app is necessarily needed to motivate and keep learner's inner desire. This thesis suggested considerations when learning mobile app is designed by analyzing motivation strategy of ARCS Theory and UI of web based contents. Also, a design method of mobile learning app was suggested based on a procedural model of mobile learning app adapting ARCS Theor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chine Learning-based Blockchain DApp System (머신러닝 기반 블록체인 DApp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Hyung-Woo;Lee, HanSeong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6 no.4
    • /
    • pp.65-72
    • /
    • 2020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web-based DApp system based on a private blockchain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automatically identify Android malicious apps that are continuously increasing rapidly. The optimal machine learning model that provides 96.2587% accuracy for Android malicious app identification was selected to the authorized experimental data, and automatic identification results for Android malicious apps were recorded/managed in the Hyperledger Fabric blockchain system. In addition, a web-based DApp system was developed so that users who have been granted the proper authority can use the blockchain syste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ecurity in the Android mobile app usage environ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machine learning-based Android malicious app identification block chain DApp system present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develop enhanced security services that combine machine learning and blockchain for general-purpose data.

A Study on Model of Learning Activity Tool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Mobile Learning (모바일러닝 기반에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활동을 위한 학습지원도구 모형 개발)

  • Bae,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344-347
    • /
    • 2016
  • 유비쿼터스 환경 시대에 맞춰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들은 지식기반사회의 학습도구로서 지식접근 및 창출에 중요한 요소인 인터넷과 웹을 활용하게 되고 이동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CPS, 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을 활용하는 교육용 앱에 대한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돕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데 있다. 제안하는 학습지원 도구는 모바일 앱 형태로 제작되며 학습활동에 있어 다양한 창의적 사고과정 활동과 표현방식, 상호작용성 등의 기능을 통해 학습자의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 인지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환경은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앱 인벤터 서버환경에서 제공되는 컴포넌트와 이벤트 핸들러를 이용하여 교수자모드와 학습자모드의 앱을 각각 설계하였다. 교수자 앱은 학습활동 제공을 의미하는 프로바이더(Provider) 모드 기능이 포함되며 학습자 앱은 CPS 활동을 위한 학습활동 모드 기능이 설계된다. 대부분의 창의성 관련 앱들은 그래픽작업을 통한 두뇌활동 향상 프로그램, 체험활동 위주의 프로그램 등으로 출시가 되어 있으나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활동 관련 앱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업활동에서의 활용측면에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Mobile App -Focused on the Method of Color Recommendation for the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모바일 앱을 위한 배색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머티리얼 디자인 컬러 시스템의 색채 추천 방법을 중심으로)

  • Hwang, Seung-Hyun;Lee, Hyun-Jh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0
    • /
    • pp.353-363
    • /
    • 2019
  • This study is for the use of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the color combination of mobile application. For this study, color combination methods of a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that recommends harmonized colors automatically and of a mobile web application were applied to a mobile application design and a color combin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n for a survey on the experiment using the two methods, color combinations, selected colors and satisfaction with outputs were investigated on a 7-point Likert scale. And color combination characteristics of output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design color palette made it easy to select colors by systematizing the regular coloring stages of fixed colors automatically,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or compositions and color scopes of dominant color, assort color and accent colors, which are three-color combinations of mobile web application and accent color selection function was required for each design, since only primary colors and secondary colors could be selected. Moreover, chromatic colors were used a lot in the material system because of the fixed color scopes and color combination scopes and images of color combination outcomes varied depending on the color combination scopes, even when tones with a big contrast or complementary colors were selected. The role of color composition was important according to the color combination scopes.

A Study on Development of Responsive Web and Hybrid App using Bootstrap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반응형 웹 및 하이브리드 앱 개발)

  • Heo, Neung-Ho;Kim, Hyeong-Eun;Choi, Byung-Jun;Kim, Young-Jin;Kim, Yong-Hoon;Suh, Tae-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738-741
    • /
    • 2016
  •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 기기가 등장함에 따라 기존 웹 어플리케이션으로는 개발자가 의도한대로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어려우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별로 각각 개발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개발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기기의 화면 크기에 가변적인 반응형 웹을 구축하고 모바일 운영체제의 웹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앱을 구현함으로써 개발과정 및 개발 시간 단축을 검증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 for diagnosing sensor of IoT module (IoT모듈의 센서 진단을 위한 모바일 앱 설계 및 구현)

  • Kim, Jin-Hong;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8-120
    • /
    • 2019
  • 최근 IoT 모듈 즉, 사물 인터넷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IoT 제품으로 가정에서 인터넷과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카메라, 전등, 보일러 등을 제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보통의 IoT모듈은 센서로 값을 추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센서의 정확성과 고장 유 무를 판단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와 무선통신, 웹서버,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센서에서 추출된 값을 비교 분석한 표준편차를 이용해 센서의 고장 유 무를 판단 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아두이노의 와이파이, 온습도센서 모듈 등을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하고 각종 환경, 제어정보들을 HTTP통신을 이용하여 웹서버와 통신하여 전달하고 제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직접 IoT모듈에 가지 않아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센서 상태를 모니터링 및 진단하고 고장 유 무를 파악하여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 PDF

Study of Mobile App GUI Interface for SAP (SAP에 대한 모바일앱 GUI 인터페이스 연구)

  • Yoon, KyungBae;Park, Jong-Youel;Park, Dea-W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9
    • /
    • pp.201-207
    • /
    • 2013
  • Recently, the interest in a Mobile Office is increasing dramatically and the Smart Phone App Service begin in earnest to be requested in an area of applying SAP system to PC.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system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 the configuration and Mobile App which cause difficulties in embodying SAP system-based Apps suitable for a mobile environment. First, by realizing SAP system interface that can operate in mobile devices in the form of GUI, assisting the connecting parts of SAP for the users-friendly set-up, providing the communication method of Client, Application, and SAP Service in the form of web service through TCP/IP, and finally showing cases of implementing the method of delivering the data request and result value of Server and Client in the form of XML suggest more effective and new method, the research suggests a new way of making the linkage of SAP more efficient.

A Modeling Technique for Development of Mobile App.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모델링 기법)

  • Cho, Eun-Sook;Kim, Chul-Jin;Lee, Sook-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3999-4005
    • /
    • 2013
  • We forecast that the scale of mobile market will be large scale according to the twenty million times of smart phone's user is arrived. The type of software development is being transferred into mobile-based App. or cloud computing-based service from web-based software. Currently both Google's android and Apple's IOS are known for two prominent platforms. Existing modeling techniques cannot be applied into the case of mobile application which is executed those platforms. Therefore, we suggest a modeling technique that is customized existing modeling techniques into android-based software development. That is, we propose an analysis and design techniques which are needed into android-based mobile smart environ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brid Apps Design based on Spring MVC (스프링 MVC 기반에서 하이브리드 앱 디자인 설계 및 구현)

  • Lee, Myeo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3
    • /
    • pp.395-400
    • /
    • 2019
  • The Web environment of the frontend domain is increasingly competitive to preempt the new standard of presentation layer. N-Screen, a service that enables users to seamlessly use one content in various devices in Korea, is competing for market preemption by recognizing it as a core service of the future. In the cloud computing, N-screen is a typical service type. However, most of the frontend research required for groupware in enterprise environments has been limited to responsive web design for the web and native apps for mobile. Gradually, the need for MVC design patterns is increasingly widening in enterprise environments to overcome the cultural differences of companies and to support one source multi-use strategy supporting multiple devices and development productiv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and design JPetStore with hybrid application design based on Spring MVC, e-government standard framework environment of next generation web standard, and provide reference model of frontend hybrid apps design in future enterpris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