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웹 앱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1초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간의 데이터 연동 기법 (Data Linkage Method among the Mobile Web and Native Apps)

  • 강효운;이규화;김진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3-705
    • /
    • 2013
  •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서비스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을 병행하여 서비스 한다.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는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리소스 및 연산 결과 등의 모든 정보를 담아 두고 접근하여 활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반면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 네이티브 앱을 활용하면 디바이스 내부에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및 리소스를 저장하여 활용한다. 이 경우 네이티브 앱에서 연산을 수행하고 변경되는 데이터가 발생하면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그 이유는 병행 접근이 가능한 서비스의 경우 차후에 현재 접근한 네이티브 앱이 아닌 모바일 웹으로 접근하였을 때를 대비해서 최근의 데이터를 항상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서비스의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 데이터 업데이트 문제로 많은 자원 소모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고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하여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최소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시간으로 사용자들끼리 정보를 주고받아 상호작용하는 서비스의 빈도가 상당히 낮거나 없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는 서버 접근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제안의 핵심은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의 기본적인 접속 정보만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차후 접속하는 타입이 현재와 다른 경우에만 최근에 변경된 데이터를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여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서비스 업체의 경우 서버 유지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는 빈번히 일어나는 서버와의 통신에 소요되는 비용 및 끊김 현상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RCS 동기 이론을 적용한 학습용 모바일 앱 설계 연구 (The Use of the ARCS Motivation Model in Mobile Learning Apps Design)

  • 김의호;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69-79
    • /
    • 2015
  • 증강현실까지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그 활용 범위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능이 있음에도 학습용 앱은 부족한 상황이다. 모바일의 장점인 이동성은 학습자가 시공간의 제한 없이 학습할 수 있지만 학습자가 학습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장소도 제공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 동기를 유발시키고 지속시킬 모바일 기반 학습용 앱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ARCS 이론의 동기 전략과 웹 기반 콘텐츠의 UI를 분석하여 모바일 학습용 앱 설계 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또한, ARCS 이론을 적용한 모바일 학습용 앱 설계의 절차적 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학습용 앱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머신러닝 기반 블록체인 DApp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chine Learning-based Blockchain DApp System)

  • 이형우;이한성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65-7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악성 앱을 자동적으로 판별하기 위해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토대로 웹 기반 DApp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공인 실험 데이터를 대상으로 안드로이드 악성 앱 판별에 96.2587% 정확도를 제공하는 최적의 머신러닝 모델을 선정하였고, 안드로이드 악성 앱에 대한 자동 판별 결과를 Hyperledger Fabric 블록체인 시스템 내에 자동적으로 기록/관리하였다. 또한 적법한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만이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의 DApp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머신러닝 기반 안드로이드 악성 앱 판별 블록체인 DApp 시스템 개발을 통해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이용 환경에서의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후에 일반적인 범용 데이터를 대상으로 머신러닝과 블록체인을 결합한 보안 서비스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러닝 기반에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활동을 위한 학습지원도구 모형 개발 (A Study on Model of Learning Activity Tool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Mobile Learning)

  • 배지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44-347
    • /
    • 2016
  • 유비쿼터스 환경 시대에 맞춰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들은 지식기반사회의 학습도구로서 지식접근 및 창출에 중요한 요소인 인터넷과 웹을 활용하게 되고 이동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CPS, 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을 활용하는 교육용 앱에 대한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돕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데 있다. 제안하는 학습지원 도구는 모바일 앱 형태로 제작되며 학습활동에 있어 다양한 창의적 사고과정 활동과 표현방식, 상호작용성 등의 기능을 통해 학습자의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 인지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환경은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앱 인벤터 서버환경에서 제공되는 컴포넌트와 이벤트 핸들러를 이용하여 교수자모드와 학습자모드의 앱을 각각 설계하였다. 교수자 앱은 학습활동 제공을 의미하는 프로바이더(Provider) 모드 기능이 포함되며 학습자 앱은 CPS 활동을 위한 학습활동 모드 기능이 설계된다. 대부분의 창의성 관련 앱들은 그래픽작업을 통한 두뇌활동 향상 프로그램, 체험활동 위주의 프로그램 등으로 출시가 되어 있으나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활동 관련 앱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업활동에서의 활용측면에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앱을 위한 배색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 -머티리얼 디자인 컬러 시스템의 색채 추천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lor Recommendation System for Mobile App -Focused on the Method of Color Recommendation for the Material Design Color System)

  • 황승현;이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53-363
    • /
    • 2019
  • 본 연구는 모바일 앱 배색을 위한 색채 추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택 색상에 조화되는 색채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머티리얼 시스템과 모바일 웹 앱의 3 배색을 모바일 앱 디자인에 적용하여 배색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두 가지 방법의 실험에 대한 설문으로 색상 구성과 선택 색상, 결과물의 만족도에 관한 정도를 리커트 7점 척도로 알아보았고, 결과물에 따른 배색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머티리얼 컬러 팔레트는 정해진 색상의 규칙적인 색조 단계를 자동으로 시스템화하여 색상 선택을 쉽게 하였지만, 모바일 웹 앱 3 배색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에 대한 색상 구성과 색상 범위가 다르며, 프라이머리 컬러와 세컨더리 컬러만 선택 가능하여 디자인에 따라 강조색의 선택 기능이 필요했다. 또한 머티리얼 시스템은 색상 범위와 배색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유채색의 사용이 많았고, 대비가 큰 색조나 보색을 선택해도 배색 범위에 따라 배색 결과물의 이미지가 달라져서 배색 범위에 따른 색상 구성의 역할이 중요했다.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반응형 웹 및 하이브리드 앱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Responsive Web and Hybrid App using Bootstrap)

  • 허능호;김형은;최병준;김영진;김용훈;서태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38-741
    • /
    • 2016
  •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 기기가 등장함에 따라 기존 웹 어플리케이션으로는 개발자가 의도한대로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어려우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별로 각각 개발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개발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기기의 화면 크기에 가변적인 반응형 웹을 구축하고 모바일 운영체제의 웹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앱을 구현함으로써 개발과정 및 개발 시간 단축을 검증하였다.

IoT모듈의 센서 진단을 위한 모바일 앱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 for diagnosing sensor of IoT module)

  • 김진홍;장시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8-120
    • /
    • 2019
  • 최근 IoT 모듈 즉, 사물 인터넷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IoT 제품으로 가정에서 인터넷과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카메라, 전등, 보일러 등을 제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보통의 IoT모듈은 센서로 값을 추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센서의 정확성과 고장 유 무를 판단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아두이노와 무선통신, 웹서버,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센서에서 추출된 값을 비교 분석한 표준편차를 이용해 센서의 고장 유 무를 판단 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아두이노의 와이파이, 온습도센서 모듈 등을 이용하여 통신 연결을 하고 각종 환경, 제어정보들을 HTTP통신을 이용하여 웹서버와 통신하여 전달하고 제어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직접 IoT모듈에 가지 않아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센서 상태를 모니터링 및 진단하고 고장 유 무를 파악하여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 PDF

SAP에 대한 모바일앱 GUI 인터페이스 연구 (Study of Mobile App GUI Interface for SAP)

  • 윤경배;박종열;박대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201-207
    • /
    • 2013
  • 최근 모바일오피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PC에 SAP 시스템을 적용한 곳에서는 스마트폰 앱 서비스에 대한 사항이 본격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P 시스템을 모바일 환경에 맞는 앱을 구현함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 환경설정과 모바일 앱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한다. 모바일 기기에서 구동이 가능한 SAP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GUI 형태로 구현하여 SAP의 연동 부분을 사용자가 쉽게 설정할 수 있게 지원하며, Client Application과 SAP Service의 통신 방법은 TCP/IP를 통하여 웹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하며 Server와 Client의 데이터 요청 및 결과 값은 XML형태로 전달하는 방법을 직접 구현 한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SAP의 연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구현한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모델링 기법 (A Modeling Technique for Development of Mobile App. based on Android)

  • 조은숙;김철진;이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99-4005
    • /
    • 2013
  • 스마트 폰 2천만 시대가 도래 하면서 향후 모바일 시장의 규모는 엄청나게 거대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동반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의 형태도 웹 기반 소프트웨어에서 모바일 기반의 앱 형태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서비스 형태로 변화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을 위한 플랫폼으로는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가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 하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앱을 개발할 경우 기존의 소프트웨어 모델링 기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모델링 기법을 안드로이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맞도록 특화된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스마트 환경에 필요한 분석 및 설계 기법을 모델링 기법으로 제안한다.

스프링 MVC 기반에서 하이브리드 앱 디자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brid Apps Design based on Spring MVC)

  • 이명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95-400
    • /
    • 2019
  • 프론트엔드 영역의 웹 환경은 표현층의 새로운 표준을 선점하고자 하는 경쟁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다양한 기기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끊김없이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인 N-스크린을 미래의 핵심 서비스로 인지하여 시장선점을 위하여 경쟁을 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에서 대표적인 서비스 형태가 N-스크린이다. 그러나 엔터프라이즈 환경의 그룹웨어에 필요한 프론트엔드 연구는 대부분 웹에 대해서는 반응형 웹 디자인과 모바일은 네이티브 앱에 국한되어져 왔다. 점차 기업들의 문화적인 차이를 극복하고 하나의 소스를 여러 가지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원소스 멀티유즈 전략과 개발 생산성을 위하여 MVC 디자인 패턴의 필요성은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웹표준의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환경인 스프링 MVC 기반에서 하이브리드 앱 디자인으로 JPetStore를 분석 및 설계한 후 구현함으로써 향후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의 프론트엔드 하이브리드 앱 디자인의 참조 모델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