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웹 앱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8초

KICT 수문레이더 모바일 표출시스템 (Mobile System of X-Band KICT-Hydrological Radar)

  • 한명선;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20-520
    • /
    • 2015
  • 본 연구는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중인 수문레이더의 관측자료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수 있도록 모바일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모바일 앱 개발 방식은 대체적으로 모바일 웹, 하이브리드 앱, 네이티브 앱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모바일 웹 방식은 웹 시스템을 모바일 사이즈에 맞게 개발하여 브라우저를 지원하는 모든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의 리소스 접근이 힘들고 네트워크 사용이 힘든 경우 따로 기능을 사용 할 수 없다. 네이티브 앱 방식은 디바이스의 리소스 사용이 용이하고 네트워크 사용이 힘든 경우 기능 사용이 가능하나 OS별 개발과 버전별로 기능 구현에 따른 제약이 있고 유지보수가 힘들고 개발 비용이 많이 든다. 하이브리드 앱은 네이티브 앱과 웹 앱의 장점을 합친 형태로 핵심 기능들은 네이티브 앱으로 구현하고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한 부분은 웹을 통해 관리하도록 구현한다. 때문에 디바이스 리소스 사용이 용이하고 네트워크 사용이 힘든 경우에도 기능 사용이 가능하다. 또 유지보수가 편하고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본 모바일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앱 방식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모바일서는 레이더 관측자료인 반사도와, 현재 강수량 및 10분 강우량, 1시간 강수량을 표출하였다.

  • PDF

카테고리 빌더와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를 통한 모바일앱 저작도구 (Mobile app authoring tool with category builder and hybrid app generator)

  • 현철;김상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0
    • /
    • 2012
  • 본 연구는 콘텐츠 배포를 위한 앱 제작에 있어 모바일앱 개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저작도구에 관한 것이다. 카테고리 빌더란 콘텐츠의 특성과 수요자의 특성을 분석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모바일웹을 생성할 수 있는 도구이며,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는 모바일웹 코드를 기반으로 네이티브 코드와 통합된 하이브리드 모바일앱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의 분류에 맞게 사전에 카테고리를 빌드 후 제공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수정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은 HTML5 표준에 맞는 모바일웹페이지로 생성된 후 하이브리드앱으로 변환한다. 제안된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 개발의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웹앱 환경에서의 N-스크린 융합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Screen Convergence Application with Mobile WebApp Environment)

  • 이명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3-48
    • /
    • 2015
  • 웹 2.0/3.0의 진화에 따른 정보기술 환경의 확장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바일 인터넷 기기의 확산으로 모바일 앱, 모바일 웹, 모바일 웹앱, 그리고 하이브리드 앱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정보기술 산업에서의 모바일화가 급속히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출현과 디바이스의 생명주기가 점점 단축되고 있는 현실에서 점차 모바일 서비스의 호환성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웹앱 환경에서의 N-스크린 융합 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모바일 환경에서의 최상의 인포그래픽 설계 구조와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도록 한다.

모바일 앱 로그 분석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bile App Log Analysis Platform)

  • 양국모;주재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5-108
    • /
    • 2019
  • 미국 애플사의 아이폰 발표 이후 스마트폰은 PC 웹 기반 서비스를 빠르게 대체하며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왔다. 모바일 앱(이하 앱) 기술은 네이티브, 웹 방식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화 되었다. 앱의 확산으로 디지털 마케팅, 사용성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 되었으나 시장에서 활용되는 분석 도구가 모든 기술 요소를 지원하지 못하여 분석가가 여러 도구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앱 네이티브, 웹 로그 데이터 통합 수집을 지원하는 로그 분석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1-191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앱에 관한 정보통신기술의 원리를 소개하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들을 살펴보고 미래 도서관의 모바일서비스 예측에 의거 바람직한 스마트폰 앱기반의 모바일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스마트폰 앱기반 모바일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모바일 웹과 앱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할 스마트폰 앱 평가 원칙을 수립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마케팅과 교육서비스에 앱을 개발하거나 활용한다. 넷째, 앱정보에 대한 앱서지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서비스 현황 분석 연구 (Status and Trends of Mobile Services Via Smartphone in University Libraries)

  • 김성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1-91
    • /
    • 2012
  • 스마트폰 시장이 확대되고 20대 대학생이 스마트폰 이용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현재 증가하고 있는 모바일 서비스 수요에 발맞추어 대학도서관도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 운영 실태와 제공되는 콘텐츠의 유형을 조사함으로써 국내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9월 15일에서 11월 20일에 걸쳐 국내 434개 대학도서관과 미국 ARL 소속 114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대학도서관은 55개의 모바일 웹 서비스와 29개의 대학도서관 단독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고 웹 서비스는 평균 11.2개, 앱 서비스는 평균 10.7개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더 나아가 모바일 서비스 제공방식과 콘텐츠 측면에서 국내외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문제점을 기반으로 국내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and Web Accessibility Assessment of Mobile Service of University Libraries)

  • 구중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5-101
    • /
    • 2011
  •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도서관 정보에 대한 모바일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4개 대학도서관 및 미국 ARL 소속 56개 대학도서관이 구축한 모바일 웹, 국내 대학 및 대학도서관이 개발한 모바일 앱 42개, 미국 ARL 소속 대학 및 대학도서관이 개발한 모바일 앱 18개를 대상으로 모바일 도서관 서비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4개 대학도서관 및 미국 ARL 소속 56개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모바일OK 테스트를 실시하여 모바일 웹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은 이용자의 모바일 정보 수요를 반영한 핵심 콘텐츠 위주로 모바일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이용자가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모바일 웹 접근성 확보를 제안하였다.

모바일 웹 앱을 위한 HTML5 및 프레임워크 동향 (HTML5 and Mobile Framework Trends for Mobile Web Applications)

  • 채원석;박찬우;최완;안세영;노병석;이준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3호
    • /
    • pp.92-100
    • /
    • 2012
  • 애플과 구글이 주도한 모바일 앱 장터에 새로운 변화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로 무장한 모바일 웹 앱의 등장은 모바일 인터넷 환경의 비약적인 발전과 고사양의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에 힘입어 모바일 앱의 생태계를 재구성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의 발달 과정과 모바일 웹 환경에서의 HTML5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고 모바일 웹 프레임워크에 대해 정리하였다.

  • PDF

무선공유기 웹 보안 설정 점검을 위한 모바일 앱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s for Checking Web Security Configurations of Wireless Access Points)

  • 윤희주;김지혜;이해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101-102
    • /
    • 2016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의 도래와 함께, 무선공유기(wireless access point)들의 보안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연구진은 대부분의 무선공유기들이 제공하는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들에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web application vulnerability)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 국내 주요 무선공유기들에 대한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점검을 수행하였으며, 악용이 가능한 여러 취약점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진이 무선공유기 대상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점검에 보조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3종의 모바일 앱(mobile app)들을 설명한다.

  • PDF

해양오염 방제작업자를 위한 모바일 앱의 개발과 구현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 for Marine Pollution Responder)

  • 최종욱;김상운;김창균;이찬근;주영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2-35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양오염 방제작업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2012년에 해양경찰청에서 개발한 모바일용 해양오염대응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그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다. 본 시스템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Android와 iOS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모바일앱 기술과 모바일웹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앱 형식으로 개발하였다. 이용 가능한 기능은 물질정보, 방제방법, 대응기술, QR스캔, 자원봉사 등 5개의 모바일 앱과 기상정보, 대응장비, 방제자재, SNS 등 4개의 모바일 웹으로 총 9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