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웹 앱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obile System of X-Band KICT-Hydrological Radar (KICT 수문레이더 모바일 표출시스템)

  • Han, Myoung Sun;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0-520
    • /
    • 2015
  • 본 연구는 현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중인 수문레이더의 관측자료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수 있도록 모바일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모바일 앱 개발 방식은 대체적으로 모바일 웹, 하이브리드 앱, 네이티브 앱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모바일 웹 방식은 웹 시스템을 모바일 사이즈에 맞게 개발하여 브라우저를 지원하는 모든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의 리소스 접근이 힘들고 네트워크 사용이 힘든 경우 따로 기능을 사용 할 수 없다. 네이티브 앱 방식은 디바이스의 리소스 사용이 용이하고 네트워크 사용이 힘든 경우 기능 사용이 가능하나 OS별 개발과 버전별로 기능 구현에 따른 제약이 있고 유지보수가 힘들고 개발 비용이 많이 든다. 하이브리드 앱은 네이티브 앱과 웹 앱의 장점을 합친 형태로 핵심 기능들은 네이티브 앱으로 구현하고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한 부분은 웹을 통해 관리하도록 구현한다. 때문에 디바이스 리소스 사용이 용이하고 네트워크 사용이 힘든 경우에도 기능 사용이 가능하다. 또 유지보수가 편하고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본 모바일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앱 방식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모바일서는 레이더 관측자료인 반사도와, 현재 강수량 및 10분 강우량, 1시간 강수량을 표출하였다.

  • PDF

Mobile app authoring tool with category builder and hybrid app generator (카테고리 빌더와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를 통한 모바일앱 저작도구)

  • Hyun, Cheol;Kim, S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9-70
    • /
    • 2012
  • 본 연구는 콘텐츠 배포를 위한 앱 제작에 있어 모바일앱 개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저작도구에 관한 것이다. 카테고리 빌더란 콘텐츠의 특성과 수요자의 특성을 분석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모바일웹을 생성할 수 있는 도구이며, 하이브리드앱 생성기는 모바일웹 코드를 기반으로 네이티브 코드와 통합된 하이브리드 모바일앱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의 분류에 맞게 사전에 카테고리를 빌드 후 제공된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세부 내용을 수정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내용은 HTML5 표준에 맞는 모바일웹페이지로 생성된 후 하이브리드앱으로 변환한다. 제안된 모바일앱 저작도구는 모바일앱 개발의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N-Screen Convergence Application with Mobile WebApp Environment (모바일 웹앱 환경에서의 N-스크린 융합 활용에 관한 연구)

  • Lee, Myeo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2
    • /
    • pp.43-48
    • /
    • 2015
  • Web 2.0/3.0 in accordance with the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o meet the expansion needs to order, a wide range of mobile internet devices spread in mobile app, mobile web, mobile webapp and hybrid app environment that is based on all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n the mobile painter been progressing rapidly. However, the need to gradually ensure compatibility of mobile services in the life cycle of the appearance and reality of these devices is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mobile devices has emerged shortened. Therefore, in this study to suggest the best infographics design the structure and framework of the future mobile environment through a study of the use of the N-Screen convergence in mobile wepapp environmen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bile App Log Analysis Platform (모바일 앱 로그 분석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 Yang, Kuk-Mo;Choo, Jae-G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5-108
    • /
    • 2019
  • 미국 애플사의 아이폰 발표 이후 스마트폰은 PC 웹 기반 서비스를 빠르게 대체하며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왔다. 모바일 앱(이하 앱) 기술은 네이티브, 웹 방식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진화 되었다. 앱의 확산으로 디지털 마케팅, 사용성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 되었으나 시장에서 활용되는 분석 도구가 모든 기술 요소를 지원하지 못하여 분석가가 여러 도구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앱 네이티브, 웹 로그 데이터 통합 수집을 지원하는 로그 분석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A Study on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 Jung, Jong-K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1
    • /
    • pp.171-19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smartphone and app, to review the theoretical researches and the representative service examples in academic libraries'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s, and to propose the proper mobile services methods based on smartphone apps in academic libraries of Korea. The ways for mobile app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are like these: 1) Libraries need to prepare the hybrid service system based on the combination of mobile web and app for smartphone. 2) Libraries have the guidelines for choosing apps which are applied to library services. 3) Libraries develop the apps for library marketing and education services and make use of existed apps to their own services. 4) Smartphone application bibliography service(Appography service) needs to be developed and serviced as an academic library service field.

Status and Trends of Mobile Services Via Smartphone in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서비스 현황 분석 연구)

  • Kim, S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3 no.4
    • /
    • pp.71-91
    • /
    • 2012
  • As the smartphone market has expanded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market, university libraries need to provide mobile library services to keep up with students' growing demand in mobil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trends of mobile services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This study investigated mobile services of 434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114 ones which are members of ARL during the months of September and November in 2012.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were offering 55 mobile Web and 29 mobile application services with 11.2 and 10.7 contents respectively. In addition, on the basis of the identified current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further step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mobile services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An Analysis and Web Accessibility Assessment of Mobile Service of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 Gu, Jung-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5 no.1
    • /
    • pp.75-101
    • /
    • 2011
  • With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the mobile demand for information from libraries is increasing and mobile library service will soon be quired. This study analyzed the mobile library services for the mobile webs established by 4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56 belonging to ARL in the United States. It examined 42 mobile applications developed by universities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18 mobile applications developed by the universities and university libraries belonging to ARL in the United States. Mobile accessibility was assessed by conducting mobileOK test for the mobile websites of the same libraries. The study shows tha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should establish mobile websites focusing on key contents which reflect the demand for mobile information of users, and secure mobile web accessibility which the users could conveniently use.

HTML5 and Mobile Framework Trends for Mobile Web Applications (모바일 웹 앱을 위한 HTML5 및 프레임워크 동향)

  • Chae, W.S.;Park, C.W.;Choi, W.;Ahn, S.Y.;Roh, B.S.;Lee, J.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3
    • /
    • pp.92-100
    • /
    • 2012
  • 애플과 구글이 주도한 모바일 앱 장터에 새로운 변화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로 무장한 모바일 웹 앱의 등장은 모바일 인터넷 환경의 비약적인 발전과 고사양의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에 힘입어 모바일 앱의 생태계를 재구성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의 발달 과정과 모바일 웹 환경에서의 HTML5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고 모바일 웹 프레임워크에 대해 정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obile Apps for Checking Web Security Configurations of Wireless Access Points (무선공유기 웹 보안 설정 점검을 위한 모바일 앱 개발)

  • Yoon, Heeju;Kim, Ji Hye;Lee, Hae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101-102
    • /
    • 2016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의 도래와 함께, 무선공유기(wireless access point)들의 보안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연구진은 대부분의 무선공유기들이 제공하는 웹 기반 관리 인터페이스들에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web application vulnerability)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 국내 주요 무선공유기들에 대한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점검을 수행하였으며, 악용이 가능한 여러 취약점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진이 무선공유기 대상 웹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점검에 보조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한 3종의 모바일 앱(mobile app)들을 설명한다.

  • PD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APP for Marine Pollution Responder (해양오염 방제작업자를 위한 모바일 앱의 개발과 구현)

  • Choi, Jong-Wook;Kim, Sang-Woon;Kim, Chang-Gyuen;Lee, Chan-Geun;Joo,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4
    • /
    • pp.352-35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on a mobile APP called MAMIS(Marine pollution Accident response Mobile Information System) and it's functions. MAMIS was developed by Korea Coast Guard for marine pollution responder in 2012. Users can get information on marine pollution response easily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place. MAMIS can be operated by smart phones with Android OS and iOS, both of which are the most popular mobile operating systems in Korea. And it has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hybrid APP which combined the functions of mobile APP and mobile WEB. MAMIS is composed of 9 menus, 5 mobile-based ones and 4 web-based ones. The mobile-based menus are on substance information, clean-up skills, response measures, QR code scanning, and volunteer's safety, and the web-based ones on weather information, response equipment, clean-up materials, and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