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 메신저

Search Result 10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Impact of Functional and Emotional Factors on Use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ward Mobile Messenger Service: Investiga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timacy and Fatigue (기능적·정서적 요인이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친밀감과 피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Ae Ri;Park, Yong Wan;Park, Yuji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1 no.1
    • /
    • pp.33-63
    • /
    • 2016
  • The diffusion of smartphone has make people engaged in communication with mobile messenger in everyday life. To understand the rapid growth of mobile messenger us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nique features of mobile messenger services as communication media. Based on the media synchronicity theory and literature about online communication, we identify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features of mobile messenger. In particula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functional and emotional features of mobile messenger would influence intimacy and fatigue. Also, intimacy and fatigue, as mediating variables, have an impact on use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ward mobile messenger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obile messenger providers and users which attempt to facilitate positive effect such as intimacy among users and reduce negative effect such as fatigue on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Messenger Service based on Multi-Agent System (멀티 에이전트 기반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의 설계와 구현)

  • Na, Sung-Jun;Kim, Dong-Uk;Lee, Gun-Ha;Chung, Hi-Jin;Shin, D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2a
    • /
    • pp.41-44
    • /
    • 2007
  • 최근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모바일 장비의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바일 장비와 더불어 각종 모바일 기반의 서비스 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반의 대표적인 서비스 중에서 메신저 서비스는 다중사용자간의 대화, 파일 전송, 위치 추적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선택의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메신저 벤더간의 프로토콜이 다르므로, 메신저간의 통합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메신저간의 통합을 위한 에이전트 기반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의 아키텍처를 소개한다. 제안하는 메신저 서비스는 멀티 에이전트로 구성되며, 각각의 메신저 서비스의 사용자를 에이전트화 하여 에이전트간의 협업과 통신을 통한 메시지 송, 수신 및 파일 전송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안하는 메신저 서비스는 에이전트 표준인 FIPA-ACL통신 규약을 준수함으로써, 에이전트 기반의 이기종 메신저 서비스와의 통신을 통한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Dependence of Mobile Instant Messenger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의존도에 관한 연구)

  • Rho, Heeock;Kim, Jaejon;Jin, Chanyong;Kim, Dogwan;Lee, 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89-91
    • /
    • 2013
  • 모바일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점점 급증함에 따라 카카오톡, 라인 등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시장이 급성장 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보시스템연구 분야에서는 사용자의 재사용 의도나 지속사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특정 시스템을 실질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의지하는 단계인 의존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형,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기반으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의존도에 선행요인들을 밝힘으로써, 사용자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의존과정을 전반적으로 설명하였다.

  • PDF

A Study on Antecedents of User Addiction in Mobile Messenger Services (모바일 메신저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Byoung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3
    • /
    • pp.95-103
    • /
    • 2014
  • Given social problems of technology addiction such as games and mobile messenger services (MMSs), it have become important to understand theoretical mechanisms to generate technology addiction.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d key antecedents of technology addiction in the MMS environment. We posit technology habit and user satisfaction as key predictors of technology addiction. In addition, the impacts of social interaction and flow on use's technology addition formation were investigated The research framework was tested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78 Kakaotalk users who have used more than 6 months. The analysis results found that both technology habit and user satisfac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technology addiction in the MMS contex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ocial interaction and flow significantly affects technology habit and user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help government and MMS providers establish policies or strategies to induce healthy MMS use.

Mobile Messenger system using XMPP (XMPP를 활용한 모바일 메신저 시스템)

  • Yong, SeungLim;Kim, Yong-jin;Do,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25-22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메신저 서비스들을 비교하고 분석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대화내용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저장하여 외부유출을 방지하고 프로토콜 내에서 제공해주는 암호화 방식을 통해 메시지를 송 수신하여 보안을 강화한 1:1채팅용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 한다.

  • PDF

How to Solve the Smart Paradox (스마트 패러독스를 해결하는 방법)

  • Yim, Myung-S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2
    • /
    • pp.79-88
    • /
    • 2014
  •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could change the lives of average citizens as much as did the telephone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television in the 1950s and 1960s. Researchers are debating whether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are improving or harming participation in community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155 participants in two universities completed questionnaires pertaining to their own mobile instant messengers use and feelings of loneliness. We used survey data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on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sample,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were used extensively for communication. Results suggest that greater use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were associated with declines in participants'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around which in turn creases their lonelines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for the design of technology.

User Interface Design Research of Mobile Instant Messenger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UI 디자인 연구)

  • Yi, Chae-Yong;Hahn, Sang-Taek;Kang, Seok-M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1-26
    • /
    • 2007
  • 유선 인터넷에서 인스턴트 메신저는 간단한 질문/확인, 만남이나 작업 조정, 사회적인 친교 등을 위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를 무선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MSN, Yahoo, AIM, ICQ, 버디버디, 네이트온 등이 모바일용 메신저를 내놓고 있다. 특히 한국 10대의 경우 SMS를 실시간 대화에 가깝게 (짧고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메신저는 큰 호응이 있으리라 예상하였다. 그러나 네이트온 모바일 메신저의 경우, 2002년 출시된 이후 별다른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네이트온 사용자들의 사용행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일반 SMS 사용자들과 네이트온 사용자들의 무선 커뮤니케이션 사용행태를 1주일간의 Diary Study에 기초한 Contextual Inquiry (Intermittent)를 실시하여 사용률이 저조한 이유를 분석한 뒤, 퍼소나를 구성하여 무선 환경에 맞는 완전히 혁신적인 새로운 형태의 무선 메신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메신저에 반드시 있는 사용자 등록이나 친구 추가 기능을 없애고 휴대전화 번호 기반으로 동작하며, 상태 정보(Presence)를 없애면서 상대방 상태에 따라 IM 혹은 SMS로 적절히 변환되어 전달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이를 사용자들을 통해 다시 검증해 본 결과 사용자들이 무척 쉽게 받아들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TOMP protocol-based reliable messenger app services (STOMP 프로토콜 기반 신뢰적 메신저 App 서비스 개발 및 구현)

  • Gwon, Hyeon-Su;Lee, Hyo-Dong;Han, Hyun-Min;Oh, Jeong-Seok;Kim, Chang-Muk;Jeong, Seol-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7-270
    • /
    • 2021
  • 현재 세계 모바일 App 시장에서는 메신저 서비스가 꾸준히 인기를 이어가고 있으며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 또한 월간이용자수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App들이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자체 채팅 서비스를 도입하거나 외부 메신저 App을 연동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 IT 기업의 경우 자체 개발 인력 및 인프라를 마련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외부 메신저 App 연동 시 이탈 역효과의 단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은 중·소 IT 기업에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STOMP 프로토콜 활용 자체 메신저 App 서비스를 개발하려 한다. 본 논문을 통해 App 자체에서 메신저 기능을 손쉽게 도입해 이용자 이탈율 최소화를 기대한다.

  • PDF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TMTO 및 GAN 모델을 활용한 안전성 분석

  • Seungjun, Baek;Yongjin, Jeon;Uk, Hur;Jongsung, Kim
    • Review of KIISC
    • /
    • v.32 no.6
    • /
    • pp.23-28
    • /
    • 2022
  •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적용된 암호기술은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메신저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패스워드, 사용자 정보 및 기기 정보 기반으로 생성된 암호화 키를 통해 암호화되므로 높은 안전성을 갖는다. 이러한 암호기술의 특성 때문에 국가 법집행기관은 범죄단서 확보 및 사실 증명을 위한 증거 분석과정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최근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발생하고 있는 일련의 범죄 사건들을 볼 때 정당한 접근 하에 범죄단서 확보를 위한 암호분석 기술은 활발히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10종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 대한 TMTO 및 GAN 모델을 활용한 안전성 분석을 제시한다.

Smart Paradox: An Effect of Mobile Instant Messengers (스마트 패러독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영향에 관한 연구)

  • Yim, Myung-Se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3 no.4
    • /
    • pp.7-13
    • /
    • 2012
  •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could change the lives of average citizens as much as did the telephone in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and television in the 1950s and 1960s. Researchers are debating whether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are improving or harming participation in community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155 participants in two universities completed questionnaires pertaining to their own mobile instant messengers use and feelings of loneliness. We used survey data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on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sample,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were used extensively for communication. Results suggest that greater use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were associated with declines in participants' communication with the people around which in turn increases their lonelines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for the design of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