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바일 기반 헬스케어서비스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5초

헬스케어 상황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프락시 구현 (Implementation of Mobile Proxy for Healthcare Context Information Service)

  • 안동인;박무현;신창선;주수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A)
    • /
    • pp.372-37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홈 내에서 헬스케어 상황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프락시에 대해 기술한다. 모바일 프락시는 헬스케어 홈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분산자원의 통합 및 맞춤형 관리모델인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다. 모바일 프락시의 주요 기능은 이동성을 지원 및 멀티미디어 스트림 동기화 그리고 그룹통신 지원한다. 특히, 클라이언트의 가용환경에 따라 수행객체에 대한 이동성을 제공한다. 이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상황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황정보는 거주자의 위치, 홈 내에 설치된 센서/기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건강 그리고 쾌적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헬스케어 상황정보 서비스를 위한 응용객체, 자원들의 그룹관리 지원 DOGF를 기반으로 이동성 지원 컴포넌트인 모바일프락시는 거주자 위치이동에 따라 적합한 헬스케어 상황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프락시를 이용한 헬스케어 상황정보 서비스는 헬스케어 지원 음악치료, 원격상담 서비스와 처방 주의 및 스케줄 알림서비스를 구현했다. 끝으로 제안한 환경에서 거주자의 위치, 시간 및 상황인식에 따라 구현하여 수행한 헬스케어 상황정보 서비스 결과를 보였다.

  • PDF

홈 네트워크 환경의 안전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방식 제안 (A Study on secure mobile hearth care service for homenetwork)

  • 서대희;이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863-1866
    • /
    • 2003
  • 최근 인터넷의 급성장에 따라 유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소개되고 서비스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자의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가 헬스케어 서비스이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 보급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촉진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보안적 취약점을 분석하고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 경우 요구되는 보안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하여 홈 네트워크 기반의 안전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U-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폰 활용 기술 동향 및 문제점 분석

  • 박종태;천승만;김균열
    • 정보와 통신
    • /
    • 제29권10호
    • /
    • pp.45-54
    • /
    • 2012
  •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탑재됨에 따라, U-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에서 환자 또는 의료진에게 스마트폰 기반의 의료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PC와 달리 사용자에게 이동성을 제공하고, 아울러 GPS, 가속도 센서 등을 비롯한 다양한 센서를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기반의 U-헬스케어 응용 서비스 구조를 제시하고, 현재 국내/외에서 개발된 U-헬스케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기반 U-헬스케어 서비스의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문제점 및 기술 동향을 알아본다.

u-환경에서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 지원 액티브 모델 기반의 서비스 컴포넌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rvice Component Based on Active Model Support Healthcare Application Service in u-Environment)

  • 정창원;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1-4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u-헬스케어 응용 서비스 지원을 위한 액티브 모델 기반의 서비스 컴포넌트를 제안한다. 서비스 컴포넌트는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기능을 세분화하여 구현하였다. 특히, 분산 객체그룹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헬스케어 홈서비스에 분산객체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된 환경에서 적응형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서비스 컴포넌트를 헬스케어 홈 모니터링, 모바일 모니터링, 웹기반 모니터링과 같은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에 적용하여 수행 결과를 보인다. 또한 응답시간과 네트워크 부하와 시스템 부하에 대한 성능 평가 결과를 보였다.

DOGF 기반의 모바일 프락시를 이용한 u-헬스케어 상황정보 시스템 (u-Healthcare Context Information System Using Mobile Proxy Based on Distributed Object Group Framework)

  • 정창원;안동인;강민규;주수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3호
    • /
    • pp.411-42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 홈 서비스를 위해 가정 내에 설치된 센서/기기로부터 수집된 위치, 건강 그리고 쾌적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지원하는 u-헬스케어 상황정보 시스템(HCIS)을 구현했다. HCIS는 분산자원의 맞춤형 관리모델인 분산객체그룹프레임워크(DOGF)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홈 환경에서 다양한 상황정보, 응용 그리고 장치들을 논리적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그룹화하고 관리한다. 또한 본 시스템은 DOGF의 구성요소인 모바일프락시와 컨텍스트제공자를 통해 가정 내 거주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연속적인 헬스케어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거주자에게 필요한 상황정보를 제공한다. 본 시스템의 수행성을 검증하기 위해 홈 내에서 제공되는 헬스케어 응용으로 거주자 위치기반의 끊임없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처방 주의 및 스케줄 알림/알람 서비스를 구현했다. 그리고 시나리오에 따라 거주자가 위치한 영역의 서비스 장치를 통해 헬스케어 홈 서비스의 수행결과를 보였다.

IoT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 모델 (Data Storage and Security Model for Mobile Healthcare Service based on IoT)

  • 정윤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187-193
    • /
    • 2017
  •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의 생체신호 측정, 질병 진단 및 예방을 포함한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는 여러 가지 요소 기술들이 통합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각 요소 기술 자체의 보안 취약성과 연동 시 새로운 보안 취약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IoT 기반의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서버에 전달할 때 제 3자로부터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사용자의 헬스케어 정보를 안전하게 처리, 보관, 저장할 수 있도록 헬스케어 센서 정보 별로 속성 값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계층적으로 통합 관리한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모델은 기존모델보다 IoT 장치의 처리율은 평균 10.5% 향상되었고, 서버의 오버헤드는 기존 모델에 비해 평균 9.9% 낮은 결과를 얻었다.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의 효과 (Effects of Mobile based-Healthcare Service using Human Coaching to the Self-care of Diabetes)

  • 이미준;강희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83-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이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당뇨병 진단을 받은 31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 활용도는 남녀의 차이가 있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chi}^2=6.059$, p= .048*)가 있었다. 둘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와 활동밴드 활용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660, p<.01). 셋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 활용률 추이를 확인한 결과 1주차부터 49주차까지 79%에서 41%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 서비스가 참여자들에게 자기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에 접근성이 쉽고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일부 확인되었다.

헬스케어 홈 서비스를 위한 실내위치 기반의 상황정보 지원 시스템 (Context Information Supporting System Based on Indoor Location for Healthcare Home Service)

  • 안동인;신창선;주수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D)
    • /
    • pp.64-6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실내 거주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의 구성요소인 모바일 프락시(Mobile Proxy)를 이용하여 상황정보 지원 시스템 구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시스템은 가정 내 거주자의 이동을 고려하여 건강상태 및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상황정보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분산객체그룹 프레임워크의 그룹관리 서비스는 가정 내 위치 탐색 및 추적 센서와 서비스 수행객체 및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거실이나 침실과 같은 분할된 영역으로 그룹화하고, 모바일 프락시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동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수행의 연속성을 지원한다. 그리고 상황정보에 따라 헬스케어 맞춤형 정보 서비스가 지원되도록 했다. 상황정보 지원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이동성을 고려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시간 및 위치에 따라 처방 주의 정보 및 스케줄 알림 서비스로 구현했으며, 상황정보 지원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행 결과를 원격 데스크 탑과 상황정보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했다.

  • PDF

모바일 게이트웨이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mart health-care System based on Mobile Gateway)

  • 전재환;강성인;김관형;최성욱;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20-922
    • /
    • 2012
  • 논문은 기존의 헬스케어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서비스(smart healthcare service)에 관한 연구이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스마트폰의 기능에 맞추어 기초체력 운동 지수, 섭취 칼로리, 심박 체크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보건의료서비스에 특화시켜 환자와 의사가 직 간접적으로 진료를 할 수 있게끔 하는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원격진료 서비스가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게이트웨이 기능의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 PDF

사용자 맞춤형 응급 관리를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Mobile Healthcare System for Personalized Emergency Management)

  • 천승만;최주연;박종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6호
    • /
    • pp.50-59
    • /
    • 2014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환자의 응급 상태를 정확하게 응급 감지하고 신속히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헬스케어 서비스에서는 전달된 생체 정보를 의료진 또는 의료 서비스 공급자가 항시 모니터링을 하여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의료진이 항시 모니터링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다수 환자를 실시간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하기에는 어렵다. 더구나, 환자마다의 고유한 환자의 건강 상태의 특징 (나이, 성별, 병력 기록 등)들이 있기 때문에 통계적인 의료 지식으로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은 더욱 힘든 일이다.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맞춤형 응급관리를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안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의 특징은 환자의 고유한 건강 상태의 특징을 정책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자로부터 측정된 생체 정보에 대해 응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안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념을 입증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