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넷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Optim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Backbone for Reinforced Concrete Damage Feature Extraction (철근콘크리트 손상 특성 추출을 위한 최적 컨볼루션 신경망 백본 연구)

  • Park, Young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4
    • /
    • pp.511-523
    • /
    • 2023
  • Research on the integ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deep learning for reinforced concrete damage detection is actively underwa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have a high impact on the performance of image classification, detection, and segmentation as backbones. The MobileNet, a pre-tra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efficient as a backbone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damage detection model because it can achieve sufficient accuracy with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Analyzing vanill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MobileNet under various conditions, MobileNet was evaluated to have a verification accuracy 6.0~9.0% higher than vanill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ith 15.9~22.9% lower computational complexity. MobileNetV2, MobileNetV3Large and MobileNetV3Small showed almost identical maximum verification accuracy, a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MobileNet's reinforced concrete damage image feature extraction were analyzed to be the optimizer RMSprop, no dropout, and average pooling. The maximum validation accuracy of 75.49% for 7 types of damage detection based on MobilenetV2 derived in this study can be improved by image accumulation and continuous learning.

Analysis of Bluethooth Scatternet Formation Algorithm over Mobile Networks (모바일 환경에서 블루투스 스캐터넷 형성 알고리즘 분석)

  • 이대봉;장종욱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2
    • /
    • pp.201-207
    • /
    • 2003
  • A multi-hop ad-hoc network can be formed out of Bluetooth capable devices through the use of scatternets. Many topologies can be deployed for scatternet; the most commonly proposed topology in the literature are tree structure and ring structure. We analyze the performance between tree formation algorithm and ring formation algorithm. We then present quantative result that compare the expected traffic performance between Blutooth ring scatternet and Bluetooth tree scatternet. The simulation results showes that Ring structure of scatterent have good performance than Tree structure over mobile environments.

Automatic Weblog Generation from Mobile Context using Bayesian Network and Petri Net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페트리넷을 이용한 모바일 상황정보로부터의 블로그 자동 생성)

  • Lee, Young-Seol;Cho, Sung-Bae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4
    • /
    • pp.467-471
    • /
    • 2010
  • Weblog is one of the most spread web services. The content of the weblog includes daily events and emotions. If we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s and create a weblog, user can create their own weblog easily. Some researchers already developed systems that created weblog in mobile environment. In this paper, user's activity is inferred from personal information in mobile device. The inferred activities and story generation engine are used to generate text for creating a weblog. Finally, the text, photographs and user's movement in Google Map are integrated into a weblog.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with Bloom Filter on PMIPv6 (블룸 필터를 이용한 Proxy Mobile IPv6에서의 위치 정보 처리)

  • Kim, Soo-Duek;Lee, Jong-Hyouk;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190-1193
    • /
    • 2009
  • 최근 무선네트워크의 급격한 발달로 이동 중에도 통신을 할 수 있는 요구사항에 IETF에서는 Mobile IPv6(MIPv6)라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MIPv6는 IPv6환경에서 모바일 노드(모바일 노드)가 이동을 하면서도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인데, 실제 상용망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모바일 노드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스택의 탑재가 높은 오버헤드를 가지고 있고, 시그널링 비용이 많이 들기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난 해 Proxy Mobile IPv6(PMIPv6)가 표준화 되었다. PMIPv6는 모바일 노드에 이동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스택을 올리지 않고 네트워크 엔티티가 대신 모바일 스택을 가지고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시그널링 비용을 줄였다. 하지만 PMIPv6에서는 인접한 네트워크 사이에서 패킷을 전송할 때 MAG간의 통신이 가능하지 않고, 오직 LMA를 통하여 대응 노드(대응 노드)에게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게다가 같은 서브넷에 있는 대응 노드에게 패킷을 전송할 때도 LMA를 거치게 되는 불필요한 과정이 발생한다. 게다가 LMA를 통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은 지연과 리오더링(Re-Ordering)을 발생시켜본 패킷 재전송을 유발하여 전송 품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접한 MAG간의 통신, 또는 같은 서브넷 내에서의 통신에서 LMA를 거치지 않고 통신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블룸 필터를 이용한 통신 기법을 제안한다.

Summarizing User's Daily Life with ConceptNet and KeyGraph (컨셉넷과 키그래프를 이용한 일상생활 요약)

  • Lee, Young-Seol;Kim, Kyung-Joong;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244-249
    • /
    • 2006
  • 모바일 기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기억을 되살리거나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하루 동안 수행한 수많은 행동이나 겪은 사건들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하루 동안 발생한 모든 일을 보여주기 보다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일만 보여주는 것이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사용자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더 도움이 될 것이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키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루를 요약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사용자로부터 얻은 데이터에 직접 키그래프를 적용한 결과로 얻은 데이터는 사람이 직관적으로 그 중요성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상위 수준의 정보에 키그래프를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에서 수집된 GPS 위치 정보를 장소정보로 변경하여 컨셉넷에 입력하고 관련된 개념을 추출한다. 컨셉넷(ConceptNet)은 수많은 어휘들의 연관관계를 의미망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이용하는 상식을 포함하고 있다. 컨셉넷에서 추출된 개념들로 문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문서에 키그래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행동에 관련된 개념 중 핵심적인 개념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개념들은 사용자가 하루 동안 수행한 행동이나 경험을 요약할 수 있는 정보가 된다. 3명의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로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해 본 결과, 직관적으로 중요한 경험에 관계된 개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Life Story Generation in Mobile Environments Using User Contexts and Petri Net (사용자 컨텍스트와 페트리넷을 이용한 모바일 상의 라이프 스토리 생성)

  • Lee, Young-Seol;Cho, Sung-Bae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2
    • /
    • pp.236-240
    • /
    • 2008
  • People use diary or photograph for recall-ing their memory in order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recording their lives. If the experienced events are organized to a story, S/he can share her/his experience with others, and recall her/his significant events easi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generates a story with Petri net and user contexts collected from mobile device. Here, we use Petri-net as a representation method that links human activities or experience causally. It is appropriate solution for modeling parallel events in real world, and for representing non-linear story line. In order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we show an example of generating a story of user's experience with user contexts from mobile device and evaluate them.

Automatic post address print out system based on QRcode or CVS (QR 코드 및 CVS 기반 주소지 자동 기표지 출력 시스템)

  • Choi, Jae-Ho;Jeong, Yang-K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1
    • /
    • pp.113-118
    • /
    • 2016
  •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problems in sending mails at the postal service reception desks and proposes a system which transmits address information to POSNET(the terminals at post office reception) without the use of an additional security system based on address information which is stored in the terminals of mobile phones. The system proposed transforms the information of users into two-dimensional barcode(QR code) of the POSNET and a number of address information is texturized and transmitted to the POSNET with the use of how to read QR code and LAN such as bluetooth. When the system proposed is connected to the postal reception system, it can create and output mail addresses for mobile computers automatically and contribute to better performance for the post office reception clerks and better economic results.

A Efficient Delivery of Broadcast Packet in Bluetooth Network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브로드캐스트 패킷 전송 기법 연구)

  • Park, Mi-Seon;Kim, Gil-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411-1414
    • /
    • 2002
  • 블루투스는 본래 이동전화 핸드셋, 헤드셋, 그리고 휴대형 컴퓨터와 같은 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저가, 저 전력, 단거리의 무선 기술이다. 그러나 전자 제품간에 표준화된 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됨으로 인하여 블루투스는 휴대전화나 PDA, 노트북 PC 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부착되어 무선 ad-hoc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블루투스는 시분할 다중화 시스템(TDM) 방식으로 최대 8 개의 블루투스 기기가 모여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는 '피코넷(piconet)' 을 형성할 수 있고 여러 개의 피코넷을 연결하여 '스캐터넷(scatternet)' 이라는 더 큰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기존의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는 단순한 재전송 방식으로 인해 신뢰성과 효율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블루투스의 특징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브로드캐스트 패킷의 수신을 보장하면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 패킷 전송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