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The Impact of Mobile Device Usage Skills on Life Satisfact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Young-Eun J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11
    • /
    • pp.335-341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on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whether self-efficacy mediates this relationship. To this end, among the data on the digital information gap conducted in 2022, responses from 607 people were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5.0 and AMOS 24.0, with the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elf-efficacy as the parameter. As a result,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mproving the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was found to increase self-efficacy.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self-efficacy through bootstrapping,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efforts to improve accessibility, such as education to improve North Korean defectors' ability to use mobile devices, were suggested.

The Effect of Mobile Device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on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social participation (중고령자의 모바일기기 이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기반 온라인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Su-Kyoung;Shin, Hye-Ri;Kim, Young-S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23-34
    • /
    • 2020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social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device cap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data of 2018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aron & Kenny (1986)'s 3 step process, targeting 1,665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obile device capability of the middle and older aged people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the mobile device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ged people on life satisfac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mobile social participation including expressing opinions on social concerns, proposing policies and filing a civil complaint, donation and volunteering work and online voting and responding to a poll. The result represents that th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pad, capability of the middle and older aged group not only directly benefits the group but also helps expand their mobile social participation, which leads to, although indirectly, highe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study is expected to be a groundwork for a practical intervention for enlarging the use of mobile device and lifting digital information level of the elderly to encourage mobile social participation and drive life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Marriage Immigrant Women's Satisfaction with Digital Information Change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Dea-Hu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207-21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 중 결혼이주여성 응답을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결혼 기간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일수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정보화기기 활용 역량 중 PC 활용 능력은 부(-)적 영향을 미쳤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은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디지털 정보활용 역량 중 취미여가에 활용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사회자본 중 가교형 사회자본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결혼 이주 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변화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Model of Learning Activity Tool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Mobile Learning (모바일러닝 기반에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활동을 위한 학습지원도구 모형 개발)

  • Bae, Ji-Hy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6.04a
    • /
    • pp.344-347
    • /
    • 2016
  • 유비쿼터스 환경 시대에 맞춰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들은 지식기반사회의 학습도구로서 지식접근 및 창출에 중요한 요소인 인터넷과 웹을 활용하게 되고 이동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CPS, 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을 활용하는 교육용 앱에 대한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돕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데 있다. 제안하는 학습지원 도구는 모바일 앱 형태로 제작되며 학습활동에 있어 다양한 창의적 사고과정 활동과 표현방식, 상호작용성 등의 기능을 통해 학습자의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 인지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환경은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앱 인벤터 서버환경에서 제공되는 컴포넌트와 이벤트 핸들러를 이용하여 교수자모드와 학습자모드의 앱을 각각 설계하였다. 교수자 앱은 학습활동 제공을 의미하는 프로바이더(Provider) 모드 기능이 포함되며 학습자 앱은 CPS 활동을 위한 학습활동 모드 기능이 설계된다. 대부분의 창의성 관련 앱들은 그래픽작업을 통한 두뇌활동 향상 프로그램, 체험활동 위주의 프로그램 등으로 출시가 되어 있으나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활동 관련 앱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업활동에서의 활용측면에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echnology Trends and Market Prospect of Mobile UI (모바일 UI 기술동향 및 시장 전망)

  • Kim, Y.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4
    • /
    • pp.11-20
    • /
    • 2012
  • 최근 아이폰이 등장하면서 인터페이스는 새롭게 재조명받게 되었으며,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제공하는 컴퓨팅 능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중요하다. 과거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말은 컴퓨터에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지만, 다양한 디지털 기기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의 출시로 인해 그 의미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기술 및 성능화의 차별화가 한계에 봉착하면서 인터페이스 중심으로 경쟁 패러다임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UI(User Interface)의 새로운 혁신을 이끌고 있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모바일 UI의 진화 방향 및 제조사별 UI 적용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모바일 UI 기술동향과 모바일 UI 시장을 전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Mobile Social Participation of Disabled Elderly People - with the focus on a comparison with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고령장애인의 모바일 사회참여 영향요인 연구 - 청장년장애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Roh, Seung-Hyu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8 no.2
    • /
    • pp.81-97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obile social participation of elderly disabled people compared to that of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eckman's two-stage model. The first stage of the research focused on the populations who have mobile devices, while the second stage focused on factors that influence mobile social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or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mobile social participation is associated with living alone, PC usage ability, mobile usage ability, internet usage ability, and attitude towards digital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presents a plan to support the mobile social participation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Design of a PREP-based Mobile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 설계)

  • Lee, Deuk-Y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101-107
    • /
    • 2010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이 발달한 정보화 사회의 현실에서 웹 기반의 프로그램 및 모바일은 중요한 매체로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읽기는 정보 획득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능력이나 학습장애아의 대부분이 읽기능력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오늘날 컴퓨터의 발달은 아동의 언어교육 특히 읽기 교육을 위해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자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모바일 활용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PREP 기반의 모바일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첫째, 학습장애아들의 읽기 능력 프로그램이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생과 상호협력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장애아의 읽기 능력에 대한 진전도를 점검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개별적 수준에 따라 수준별 학습을 제공하여 다양한 학생의 개별적 수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학습장애아동의 읽기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모바일 기기를 통해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벗어남으로써 기존의 PREP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n Enhanced Milieu Teaching Strategies based Mobile Learning System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Autistic Children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EMT 기반의 모바일 학습 시스템)

  • Lee, Deuk-Y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213-219
    • /
    • 2009
  • 정보사회와 함께 무선 인터넷이 발달하고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많은 정보들이 교류되면서 교육분야에서도 모바일기기 및 첨단 매체들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자폐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논문을 성찰하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Enhanced Milieu Teaching : EMT)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신장시킬 수 있는 모바일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EMT는 아동의 기능적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환경 조절 전략과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반응적 상호전략을 결합하여 중재하는 것으로서 본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에서 의미있게 반복될 수 있는 5가지 상황을 주제 내용으로 선정하여 의사소통 목표어와 상황의 유기적인 관련성을 갖고 의사소통 능력을 학습하고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날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을 활용하여 무한하게 반복할 수 있음으로써 의사소통 목표어의 일반화에 도달할 수 있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개별적, 수준별 STEP을 제공하며, 의미 있는 상황을 통해 의사소통 목표어를 학습하게 되므로 자폐성 아동의 자발적 의사소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Morpheme Segmentation and Part-Of-Speech Tagging Using Restricted Resources (제한된 자원을 사용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

  • Kang, Sangwoo;Yang, Jaechul;Kim, Harksoo;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212-214
    • /
    • 2012
  •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규칙 기반 방법, 통계 기반 방법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 방법을 제안한다. 모바일 기기는 계산 처리 능력과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제한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착을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규칙 기반 형태소 분석 방법인 좌최장일치법을 변형하여 형태소 분석을 수행 하고, 통계적인 방법인 hidden Markov model 을 축소하여 형태소 품사 부착을 수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hidden Markov model을 사용한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을 보여주며 모바일 기기에 적합하도록 소량의 메모리 사용과 월등히 빠른 속도로 형태소 분석 및 품사 부칙을 수행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