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모듈러 건축물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초

모듈러 주택의 열교 및 결로 취약부위별 단열성능 분석 (Insulation Performance Analysis of Vulnerable Parts of Thermal Bridge and Condensation in Modular Buildings)

  • 김미연;김형근;박진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1-39
    • /
    • 2021
  • 모듈러 공법은 내장재와 기계·전기 설비 등이 시공된 구조체를 제작 공장에서 건설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 및 시공하는 공법이다. 모듈러 공법은 특히 주택과 같은 소규모의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건축물을 대상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건설 산업에 모듈러 주택의 도입된 기간이 길지 않은 만큼 아직 모듈러 주택의 환경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듈러 주택의 단열성능을 적외선 이미지 분석과, Air-Surface Thermal Ratio 방법, 실내외 온도차비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 서울시에 위치한 준공 후 2년이 경과된 모듈러 주택과 RC 주택을 비교하여 단열성능 분석하였다.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프로젝트 현장설치 및 양중 단계의 품질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Quality Assurance in the Lifting and Assembly Phase of Modular Construc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pproach)

  • 이정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95-605
    • /
    • 2023
  • 모듈러 건축 사례가 많아지면서 모듈러 건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적용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의 장점 중 하나는 공장제작을 통한 우수한 품질의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 양중 및 설치 단계까지 품질관리를 위한 노력과 방법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현재 현장 양중 및 설치 단계에서 품질유지 및 관리에 적용하고 있는 방안들의 중요도와 예방효과를 프로젝트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IP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품질 유지 및 관리 방법이 잘 적용되고 있으나, 프로젝트 참여자들간 일부 항목들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프로제트 참여자들의 현장설치단계 품질관리 인식개선을 위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강재 프레임 주택형 모듈러의 경제성 분석: 벽식구조인 도시생활형주택과의 사례비교를 통해 (An Economic Analysis of Steel Framed Modular Housing: Compared with Case of Urban Type Living Housing of Wall-slab)

  • 방종대;전주영;박지영;김종엽;김갑득;천영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305-314
    • /
    • 2014
  • 노동집약적 현장중심의 습식공법의 한계로 인해 기술집약적이고 공장생산방식인 유닛 모듈러 공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닛 모듈러 공법을 개발하여 학교, 기숙사, 군막사 등에 활발히 적용하고 있으나 주거용 건축물에는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거주성능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고, 경제성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듈러 공법의 기술발전과 주거용 건축물로의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모듈러 주택의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건설원가만을 단순 비교했을 때 모듈러 주택의 건설원가는 약 6.2%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듈러 주택의 장점인 공기단축이나 공장생산을 통한 생산성을 제고할 경우, 모듈러 주택의 건설원가는 벽식구조 주택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결 강판 형상에 따른 모듈러 유닛 간 접합부의 거동 비교 (Comparison of Behavior of Connections between Modular Units according to Shape of Connector Plates)

  • 이상섭;배규웅;박금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467-476
    • /
    • 2016
  • 모듈러 건축물에서 모듈러 유닛 사이의 접합은 연결 강판을 이용하여 볼트 접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축물의 강도는 가장 약한 부분에 의해 결정되며, 접합부는 부재보다 약한 부분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모듈러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모듈 내부 기둥-보 접합부의 구조성능뿐 아니라 모듈러 유닛과 유닛 접합부의 구조성능도 평가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각형강관 기둥과 ㄷ형강보가 사용된 모듈이 일자형 접합철물과 십자형 접합철물로 연결된 접합부의 거동을 KBC2009 0722.2.4에 따라 모듈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에 대해 층간 변위각으로 반복 가력을 제어하는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실험체는 0.04rad 변위각까지 비교적 안적정인 거동을 보였고, 길이 방향 실험체의 결과가 에너지 흡수능력 면에서 좋은 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일자형 연결 강판이 십자형 연결 강판에 비해 변위각이 커질수록 강성이 저하하고, 기둥의 실제 변위각이 늘어나는 결과를 보였다.

라멘식 모듈러 건축물 벽체 적용을 위한 경량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An Academic Assessment of Lightweight Concrete Properties for Rhamen-type Modular Building Walls)

  • 정의인;이민재;주영길;김봉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27-5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라멘식 모듈러 건축물의 비내력 벽체 적용성 검토를 목적으로 국가건설기준센터 KCS 14 20 20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 규정하는 성능을 기준으로 바텀애시와 코팅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활용하여 경량 콘크리트 실험을 진행하였다. 코팅된 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사용할 경우, 경량 콘크리트 강도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단위 질량의 감소와 단열성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바텀애시의 경우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내부 공극 특성으로 인하여 열전도율 값이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발포폴리스티렌 비드 50%와 10~20mm의 바텀애시 50%를 굵은 골재로 대체하는 배합이 표준시방서의 단위 질량과 설계기준 강도를 만족하며 가장 열전도율이 낮은 배합으로 나타났다.

건축 임대시장에서 모듈러 건축의 적용성 연구 - 수익성 분석을 중심으로 - (A Business Model for Application of the Modular Building in the Rental Market)

  • 윤종식;신동우;차희성;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3-11
    • /
    • 2015
  • 현재 부동산 경기는 매매건수의 감소와 장기적 경기 침체로 인해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대응하여 최근 정부는 기업형 주택임대사업 육성을 통한 중산층 주거혁신방안을 발표하면서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한편 국내 주택시장은 가구구조의 변화, 전세에서 월세의 증가를 겪는 등 구조적 전환기에 접어들고 있다. 또한 1~2인 소형가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점차 가파르게 늘어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결과적으로 1~2인 소형 주택 사업이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내 건설업계는 모듈러 건축물이라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진 상태이다. 모듈러 건축이란 공장에서 모듈을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형태로서 빠른 시공성과 친환경성 및 이동성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건축기술이다. 종합해보면 부동산 시장의 변화, 모듈러 건축기술이라는 두가지 큰 이슈가 현재 건설시장의 화두이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본 논문은 시장분석을 통해 모듈러 진출분야를 선정하고 LCC분석을 통해 수익성 분석 및 사업시나리오 구상 등을 통한 임대시장에서의 모듈러 사업모델을 제안해보고 모듈러 건축물을 이용한 1~2인 소형 임대주택 사업 가능성을 판단해보고자 한다.

접합부 유한요소해석을 바탕으로 한 모듈러 구조물의 힌지접합부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Hinge Joints in Modular Structures Based o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Joints)

  • 김문찬;홍기섭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5-2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모듈러 구조물 접합부의 힌지접합부 연구에 관하여 소개한다. 모듈러 구조물은 모듈과 모듈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공사를 진행하여 단위 모듈간의 기둥 및 보의 일체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 모듈러 설계 시 이러한 구조적 특성을 무시하고 횡력에 대한 모멘트전달을 고려하여 기존 강구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하고 있다. 더구나 모멘트접합을 체결하기위해 모듈러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볼트 체결이 이루어져 조립 후 마감을 추가하는 불합리한 상황도 발생한다. 이러한 일체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힌지접합을 활용한 모듈러구조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논문에서는 기존의 모멘트접합부에서 힌지접합부로 변경하였을 때 하중의 전달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전 다른 연구에서 활용되었던 가위 모델을 변형한 변형 가위 모델을 고안하여 접합부의 기본 이론을 제안·검토하였고, 기본을 바탕으로 계산된 결과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마이다스 젠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기존 모멘트접합부로 설계되었던 모듈러구조물을 힌지접합부로 변경하여 부재내력 및 사용성을 검토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건축의 현장 작업자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의 분류 체계 제안 (Proposal of a Classification System of Checklists for Safety Management of On-Site Workers in Modular Construction)

  • 전영훈;김균태;전은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20-130
    • /
    • 2021
  • 최근 정부는 건설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예방적 차원의 작업자 안전관리 방안이 중요한 실정이다. 한편 모듈러 건축은 중고층 건축물 등으로 점차 확대 적용될 예정이나,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안전관리가 미흡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이 많아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모듈러 건축의 안전관리 방안은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나 시공오차, 하자 등 구조안전과 관련한 요소를 관리하는 품질관리에 집중되어 있어, 작업자의 안전보건을 관리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구 개발된 사례들을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도출된 모듈러 건축의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분류체계는 공장제작, 운송, 현장시공을 대분류로 구성하였으며, 하위체계는 현장시공의 6가지의 중분류 중 모듈러 골조설치 공사의 세부작업인 양중작업과 조립작업을 중심으로, 12가지의 단위작업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안전관리를 위한 관리요소에 따른 단위작업별 작업내용을 정의하고 분류체계에 최종적으로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모듈러 건축의 건설현장에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농어촌 재해복구용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Model of Modular Building System for Disaster Restorations in Fishing and Agrarian Villages)

  • 임재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3-45
    • /
    • 2007
  • Recently, large scale disasters have been occurred in rural areas. Most people suffering from the disaster live in the temporary containers. These could not provide the fundamental occupancy performanc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entilation and heating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rebuild the residence for sufferers quickly and safely. Because modular building system has some advantages such as short construction time, mobility, light-weight structure, modularity, flexi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it is expected that it could be easily applied to the disaster restoration. So,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the design model of modular building system for disaster restorations in fishing and agrarian villages. For this purpose, current counterplan for restoration was firstly investigated. Also the basic guidelin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of residence in fishing and agrarian villages. Finally, 2 types of design model such as single story residence and temporary accommodation facility were proposed. We could see that we could make the flexible building plan when applying the modular building system to the temporary housing for the sufferers.

  • PDF